목차
1. 정의
2. 원인
3. 역학
4. 증상 또는 주요 검사소견
5. 검사
6. 치료
7. 간호
8. 경과·합병증
2. 원인
3. 역학
4. 증상 또는 주요 검사소견
5. 검사
6. 치료
7. 간호
8. 경과·합병증
본문내용
별 검사로 시행하여 양성으로 나왔거나 사슬알균 B군의 감염 상태를 모르면서 37주 이전 분만, 조기 양막파수 18시간 이상, 혹은 분만 중 발열이 있는 경우에는 분만 중에 항생제를 투여하면 신생아의 사슬알균 B군 집락 형성 및 사슬알균 B군에 의한 조기 발현 신생아 패혈증을 줄일 수 있다.
8. 경과·합병증
신생아 패혈증의 경우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인데 비해 그 진행이 급격하여 수시간에서 수일 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또한 세균성 뇌수막염이 동반된 경우 이와 더불어 뇌농양, 뇌실염, 수두증 및 경련 등이 동반되어 이후 간질이나 뇌성마비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패혈증 쇼크의 사망률은 초기 감염부위, 다발생 기관 부전의 여부, 세균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그람 음성 장관성 패혈증에서는 사망률이 40~60%이지만 비뇨기계 패혈증은 원발성 패혈증보다 예후가 훨씬 좋다. 수막구균성 패혈증에서의 불량한 예후 인자는 저혈압, 혼수, 백혈구 감소증(<5000/ml) 혈소판감소증(<10만개/ml)등과 저피브리노겐(<150ml/dl), 뇌척수액에서 세포증다증은 없으나 그람 염색에서 세균의 확인, 점상출혈의 조기 출현(1시간 이내), 저체온 등이 있다.
분만과정이나 신생아실에서 아기를 취급할 때 무균적으로 다룬다.
분만시에 양수염의 증상이 있거나 모체가 분만전에 열이 있었을 때는 항생제 요법을 시행한다. 또한 아기의 혈액 배양, 비인두 배양, 소변 배양 등 검사를 하여 원인균을 빨리 발견토록 한다.
조기파막이 분만 24시간 이전에 파열되었을 때는 항생제 요법을 시행하고 배양검사가 음성으로 나오면 항생제를 중단한다.
8. 경과·합병증
신생아 패혈증의 경우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인데 비해 그 진행이 급격하여 수시간에서 수일 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또한 세균성 뇌수막염이 동반된 경우 이와 더불어 뇌농양, 뇌실염, 수두증 및 경련 등이 동반되어 이후 간질이나 뇌성마비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패혈증 쇼크의 사망률은 초기 감염부위, 다발생 기관 부전의 여부, 세균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그람 음성 장관성 패혈증에서는 사망률이 40~60%이지만 비뇨기계 패혈증은 원발성 패혈증보다 예후가 훨씬 좋다. 수막구균성 패혈증에서의 불량한 예후 인자는 저혈압, 혼수, 백혈구 감소증(<5000/ml) 혈소판감소증(<10만개/ml)등과 저피브리노겐(<150ml/dl), 뇌척수액에서 세포증다증은 없으나 그람 염색에서 세균의 확인, 점상출혈의 조기 출현(1시간 이내), 저체온 등이 있다.
분만과정이나 신생아실에서 아기를 취급할 때 무균적으로 다룬다.
분만시에 양수염의 증상이 있거나 모체가 분만전에 열이 있었을 때는 항생제 요법을 시행한다. 또한 아기의 혈액 배양, 비인두 배양, 소변 배양 등 검사를 하여 원인균을 빨리 발견토록 한다.
조기파막이 분만 24시간 이전에 파열되었을 때는 항생제 요법을 시행하고 배양검사가 음성으로 나오면 항생제를 중단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