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마케팅] 컬러마케팅의 개요와 성공사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컬러마케팅] 컬러마케팅의 개요와 성공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컬러마케팅이란?

2. 컬러마케팅의 성장배경

3. 컬러마케팅의 효과
1) 식별성
2) 상징성
3) 연상성
4) 주목성

4. 기업과 브랜드에서 컬러의 역할
1) 기업 컬러
2) 브랜드 컬러

5. 컬러 마케팅 전략
1) 브랜드 이미지 확립
2) 상품의 특징 표출
3) 다양화에 주력
4) 새로운 색의 시도
5) 색채 코디네이션 활용
6) 오감과의 연계성 활용

6. 컬러마케팅의 성공사례
1) 삼성 지펠 냉장고
2) 샤넬(CHANEL)
3) 코카콜라(Coca-Cola)
4) 맥도날드(McDonald's)
5) 핑크색 질레트 면도기
6) 하인츠 캐첩

【 참고자료 】

본문내용

활동성과 흰색의 배색은 경쾌함을 높여주는 컬러 효과로서 이 두 가지 컬러는 유목성과 명시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코카콜라의 상징색은 기업색과 상품색에 일치하며 언제나 일정한 효과와 의미를 나타낸다. 코카콜라 레드라 불리는 빨간색은 초대 사장인 에이하 켄들러가 순회 판매용의 마차색을 한눈에 코카콜라로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빨강과 흰색으로 나누어 칠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100년이 넘도록 두 가지 컬러는 코카콜라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크리스마스 시즌이 되면 거리에는 캐롤과 크리스마스 트리들과 넉넉한 마음을 상징하듯 뚱뚱한 산타크로스가 항상 등장한다. 현재의 산타크로스의 이미지는 코카콜라 광고를 통해서 만들어졌다. 1900년대 초의 산타크로스는 여러 가지 컬러의 옷을 입고 있었으며, 근엄한 성자의 모습에서부터 꼬마요정, 난쟁이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나라마다 지역마다 다른 모습으로 나타났던 산타크로스가 현재의 이미지로 굳어버린 건 1920년대부터였다. 당시 코카콜라사는 겨울만 되면 판매부진으로 애를 먹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 광고에 산타크로스의 이미지를 등장시킨 것에서 유래되어 오늘날의 빨간색을 연상시키는 산타크로스의 이미지로 굳혀져 버린 것이다. 코카콜라의 빨간 바탕로고와 흰색으로 흘러 쓴 글씨는 산타크로스의 빨간 옷과 흰 소매 등으로 형상화되었고, 그의 수염은 코카콜라의 거품을 상징화한 것이었다. 이러한 컬러마케팅 전략마다 매년 겨울마다 코카콜라의 매출액은 하락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모든 전략이 컬러에서 비롯되었다는 데에 주목할 필요가 잇다. 또한 코카콜라는 코카콜라 레드라고 불리는 빨간색을 모든 광고나 사인보드, 패키지 디자인 등에 일관되게 적용시켜 지속적인 마케팅 관리와 함께 소비자의 뇌리에 지워지지 않는 강력한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 산타가 등장하는 코카콜라 광고 >
(자료: 한국경제)
(자료: http://cafe.naver.com/donowdonsu)
4) 맥도날드(McDonald\'s)
< 맥도날드의 로고 >
맥도날드는 햄버거, 음료수와 같은 패스트푸드의 판매를 주로 하는 회사로 1955년 레이 크록(Ray Kroc)이 설립하였다. 2011년 현재 전 세계 120개국에 30,000개 이상의 지점이 있는 패스트푸드점의 대명사가 되었다. 맥도날드의 밝은 노란색 대문자 \'M\'의 디자인은 모든 색들 중에서 가장 밝은 색으로서 감자 후라이(French Fries) 두 개를 구부린 모습으로 배고픈 행인을 유도하는데 대단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밝은 노란 색은 젊고 활기차며 외향적인 색채심리를 가지고 있으며 주목성에도 뛰어나서 멀리서도 눈에 잘 띄는 장점이 있다. 브랜드 패키지도 빨간색과 노란색을 잘 활용하고 있고, 소비자들에게 통일된 브랜드 인식을 시켰다. 맥도날드 소비자들이 노란색과 빨간색의 색깔만 보아도 맥도날드라는 것을 연상할 수 있을 정도로 컬러마케팅에 성공한 예이다.
< 맥도날드의 광고 >
(자료: 머니투데이 2011.04.03)
5) 핑크색 질레트 면도기
(1) 핑크색 데이지(Daisy) 면도기
(자료: Daisy, 한미아(2005))
1980년 중반, 일회용 면도기 시장 점유율 1위 질레트(Gillette)사는 자사가 개발한 일회용 면도기를 의외로 여성들이 많이 사용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이에 새로운 일회용 여성용 면도기 제품의 개발을 통한 시장 확보를 서둘렀으며, 즉, 기존의 T형 남성용 면도기의 몸체에 꽃무늬를 새겨 넣고, 핑크색을 사용한 면도기를 개발하여 이름을 데이지(Daisy)라고 부른 것이다. 꽃무늬와 핑크로 상징화된 데이지 면도기는 여성 사용자를 위한 디자인이라기보다, 면도기를 여성화한 시장 차별화 전략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핑크색의 데이지는 시장에서 크게 성공하여, 면도기 시장의 여성용 제품을 고착화 시켰으며, 단순히 디자인의 컬러만으로 바꿨을 뿐인데 사람들은 여성용이라는 시장 세분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여성용이라 함은 \'현대적이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대비 시킨다\'라는 관념이 일반화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질레트사는 이러한 성공에 그치지 않고 디자인 자체의 편리성을 가미하여 여성전용 면도기의 대표적인 회사로 정착하게 되었다.
(2) 비너스 핑크 면도기
또한 최근에는 질레트 비너스라는 이름의 여성용 면도기가 나왔으며, 비너스는 핑크색, 푸른색 두 가지의 디자인으로 판매하고 있다. 아래는 질레트 비너스 핑크의 광고 이미지이다.
< 질레트 비너스 핑크 >
(자료: http://cafe.naver.com/miiu)
6) 하인츠 캐첩
< 하인즈 캐첩 >
(자료: I.R.I. 색채연구소(2004)「감성만족컬러마케팅」영진닷컴)
제품의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컬러파괴\'의 사례가 있다. 미국 하인즈(Heinz)사의 초록색 캐첩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주황색과 빨간색은 식욕을 불러일으키고 파랑색은 식욕을 떨어뜨리는 색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2002년대에 들어서면서 전통적인 식품회사인 하인즈(Heinz)사에서는 초록색, 보라색 캐첩과 파랑색 감자튀김을 내놓았다.
【 참고자료 】
김훈철장영렬(2002)「컬러마케팅」커뮤니케이션북스
손일권(2003)「브랜드 아이덴뽐티 경영정신」비즈니스북스
IRI 색채연구소 저(2004)「감성만족 컬러 마케팅」영진닷컴
이혜선(2003)「색채마케팅 이화여자대학교」색채디자인연구소
유미혜(2008)「패션 브랜드의 컬러마케팅이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중앙대학교 대학원 논문
한미아(2005)「소비자시대의 컬러마케팅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논문
김미강(2003)「심벌 컬러의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논문
권은령(2004)「CI(Corporate Identity)컬러와 기업 이미지 연상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논문
김보미(2005)「컬러마케팅 전략 분석을 통한 실버상품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연구」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논문
[2011 JOY+BRAND 大賞] 삼성전자 ‘지펠 ’, 파이낸셜뉴스, 2011.03.09
샤넬 홈페이지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6.2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1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