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유전학실험]4-5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 &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

본문내용

되는 DNA 농도이다.
Insert → 0.237 × 1 × 50 = 11.85 ng/μl
Vector → 2.146 × 1 × 50 = 107.3 ng/μl
④-2) 순도
OD260 / OD280 ratio을 계산한다.
Insert → 0.237 / 0.133 = 1.78
Vector → 2.146 / 1.032 = 2.08
: 순도의 값이 1.8~2.0 이면 높은 순도의 깨끗한 상태의 DNA라고 할 수 있고, 1.8 미만이면 protein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었음을 의미하며, 2.0 이상이면 각종 유기용매 같은 화학약품에 의한 contamination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의 두 경우는 순도가 떨어진다.
우리조의 순도 값은 Insert, Vector 각각 1.78 , 2.08 이 나왔다. 이것으로 보아 우리의 DNA 는 Insert의 경우 protein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순도가 떨어지며, vector의 경우에도 유기용매에 의해 contamination 이 되어 순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5. Discussion
▶ plasmid preb & insert purification의 결과에 대한 고찰
plasmid preb사진을 보면 여러 개의 band가 형성되는 것이 보인다. 사실 우리가 제한효소로 잘라주지 않았기 때문에 추출한 plasmid의 형태는 polynucleotide가 완전 할 때, 즉 공유 결합적으로 닫힌 원형 DNA상으로 유지가 되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 이중나선 DNA 가닥이 끊어있지 않고 매우 꼬여있는 Supercoiled형태를 띄고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Supercoiled의 형태 외에도 Nicked Open-Circular이나 Linear의 형태의 band가 형성되는 것으로 봐서는 과정 중에 DNA 손상이 일어나서 plasmid가 끊어져 버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sert purification의 전기영동 사진을 보면 band가 전에 비해 흐려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정제과정을 거치면서 DNA의 일부가 손실되고 씻겨내려 갔기 때문이다. 또한 정제한 PCR product에서 잔상이 보이지 않는 이유는 불필요한 것을 정제과정에서 PCR Column의 core를 통해 크기가 작은 불필요한 물질을 Column 아래로 통과시키면서 제거해 버렸기 때문이다.
▶ 정량 및 정성 분석 하는 두 가지 방법의 장단점 설명 (gel 전기영동 & spectrophotometer)
- 전기영동법에 의한 DNA의 농도계산은 비교적 방법적으로 간편하다. 전기영동 후 나타나는 band의 크기나 밝기로 양을 알 수 있으며, band의 형성정도를 보고 순수한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밝기나 크기 등의 비교는 눈짐작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극히 주관적이라서 계산하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정확성이 떨어진다. 반면에 Spectrophotometer 는 기계를 따로 써야하고 희석도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O.D값을 측정하여 농도계산을 해준다면 전기영동법에 비해 정확한 농도의 수치를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도 소량의 불순물을 확실하게 잡지는 못한다.
▶ DNA 정량 분석 및 정성 분석의 중요성
- 정제를 하는 이유는 잘린 것에 효소, 잘린 조각 등 불순물이 많기 때문에 필요한 DNA만 쓰고 측정하기 위해서 한다. 또한 제한효소 처리를 해서 Plasmid DNA와 Insert DNA를 자를 때 정제를 하지 않으면 잘 잘리지 않기 때문에 중요한 단계이다. 따라서 DNA의 정제를 통해 순도를 높여 주어야 한다.
정량을 하는 이유는 실험할 때 정확한 양의 DNA가 필요하기 때문에 한다. 그리고 계속 실험에 쓰이기 때문에 정확한 양을 측정하는 것은 중요한 단계이다. 내가 추출한 DNA의 농도가 얼만지 알아야 다음단계를 완벽히 준비하여 정확한 실험이 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최대한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도 높은 DNA를 추출하여야 vector에 잘 삽입될 수 있게 해준다.
6. Reference
생화학 제 5판 . Marry K.Campbell 외 저. 곽한식 외 역. 라이프사이언스 2007
유전공학(제2판). James D. Watson 외 저. 박영순 외 역. 탐구당 2002
생명과학 속의 기초 유전자학 및 유전정보 활용의 길라잡이 .이형환 외 저. 월드사이언스 2006
실험날짜
학 번
이 름
담당교수님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25권 3호. 강용국 외 4명. 한국동물번식학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6.2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