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행동론 - 사전적 의미의 동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직행동론 - 사전적 의미의 동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전적 의미의 동기

◉동기부여란?

◉동기의 분류

◉동기의 특성

◉동기유발과정

1. maslow의 욕구계층이론

2. murray의 사회적 욕구론

3. 장의 이론

4. 욕구성취이론

본문내용

다.
동기유발과정
- 미충족된 욕구긴장추동행동목표 및 욕구충족 긴장감소
1. maslow의 욕구계층이론
- maslow는 인간의 욕구를 다섯 유형으로 범주화하고, 이들 욕구가 활성화되는 순서에 따라 이들을 다음과 같이 계층화하였다.
①.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로서, 음식, 주택, 성, 의복 등에 대한 욕구
②. 안전의 욕구(safety needs)
- 신체적인 보호, 직업의 안정 등에 대한 욕구
③. 사회적 욕구/소속과 애정의 욕구(belongingness and love needs)
- 소속, 친교, 애정, 우정 등에 대한 욕구
④. 자존의 욕구/존경의 욕구(esteem needs)
- 명예, 신분, 권력, 존경 등에 대한 욕구
⑤. 자아실현의 욕구(salf-actualization needs)
- 자기계발, 성장, 성취 등에 대한 욕구
- maslow의 욕구계층이론에 의하면, 충족되지 않은 저단계의 욕구로부터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이들 욕구가 행동을 야기시키는 동기유발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일단 이 욕구가 충족되면 이 욕구는 더 이상 동기유발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으며, 이제 다음 단계의 욕구가 동기유발요인으로 활성화된다.
따라서 maslow에 의하면 1.충족된 욕구는 더 이상 행동을 유발 시키지 않으며, 2.저단계의 욕구가 충족된 다음에만 고단계의 욕구가 동기화되고, 3.따라서 미충족된 욕구가 행동을 야기 시키는 동기유발의 근원이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maslow의 욕구이론에 대해서는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 되고 있다.
첫째, maslow에 의하면 일단 충족된 욕구는 더 이상 동기유발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보고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일단 충족된 욕구에 의해서도 곧, 그리고 계속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둘째, maslow이론에 의하면 욕구가 단계성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있지만, 이는 욕구에 대한 개인차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사실 개인에 따라서는 자아실현의 욕구가 안전이나 애정보다 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maslow의 주장과는 달리 두 단계 이상의 욕구(즉, 복수욕구)를 동시에 가질 수 있으며, 복수욕구에 의해 개인의 행동은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maslow의 욕구이론은 소비자의 행동 동기를 이해하는데 가장 유용한 동기유발이론으로 인정되고 이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7.03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7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