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영국교육의 목표
Ⅲ. 영국교육의 특징
1. 교육의 다양성과 자율성의 존중이라고 할 수 있다
2. 영국은 헌법이 없는 나라이다
3. 개성존중의 교육이다
4. 시험제도
5. 지방자치교육행정체제이다
6. 대학의 기능분화이다
7. 교육투자면
8. 학력관리면
Ⅳ. 영국교육의 행정체제
Ⅴ. 영국교육의 대학입학시험
Ⅵ. 영국교육의 영어교육
1. 통합성
2. 위계성
3. 매체 언어의 중시
4. 지식 중심
Ⅶ. 영국교육의 체육교육
Ⅷ. 영국교육과 우리나라교육의 비교
Ⅸ. 영국교육의 제고 방안
Ⅹ. 결론
참고문헌
Ⅱ. 영국교육의 목표
Ⅲ. 영국교육의 특징
1. 교육의 다양성과 자율성의 존중이라고 할 수 있다
2. 영국은 헌법이 없는 나라이다
3. 개성존중의 교육이다
4. 시험제도
5. 지방자치교육행정체제이다
6. 대학의 기능분화이다
7. 교육투자면
8. 학력관리면
Ⅳ. 영국교육의 행정체제
Ⅴ. 영국교육의 대학입학시험
Ⅵ. 영국교육의 영어교육
1. 통합성
2. 위계성
3. 매체 언어의 중시
4. 지식 중심
Ⅶ. 영국교육의 체육교육
Ⅷ. 영국교육과 우리나라교육의 비교
Ⅸ. 영국교육의 제고 방안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앙에는 중앙재정위원회가 있고 지방교육재정은 중앙정부의 보조와 지방의 자체수입 2가지 재원으로 운영되는데 중앙정부의 보조로서 국고에서 지방교육행정당국 즉 LEA에 대한 직접적인 교부금 형식의 지원이 약 50% 상회하고 있고 국고지원교부금은 교원봉급, 의료비, 체육비, 급식비 등 특별경비를 소정의 비율로 지원하는 형식으로 매년 산출된다. 또한 중앙정부 즉 DES에서의 교부금에는 사립학교시설지원액의 65%, 초중등교사봉급전액, 사립학교 학생에 대한 보조금이 포함된다. 영국의 LEA 예산 중 교육비의 비중은 약 34%로서 우리나라에 비해 월등히 높은 편이라 할 수 있다.
Ⅴ. 영국교육의 대학입학시험
14-16세 학생들은 4번째 단계(Key Stage 4) 국가교육과정(National Curriculum Programme)에 의거하여 영어, 과학, 외국어, 체육, 수학, 국민(citizenship),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과목 등을 학습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마다 GCSE를 부여하는 민간 교육평가전문기관(GCSE Awarding Body)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GCSE 교육과정 학습의 초점이 학교 마다 다를 수 있다. 이들은 6개 이상의 과목을 이수해야 하는데, 대다수의 학생들은 최소한 5개의 과목별 시험에 응시하고 대다수의 경우 GCSE 영어, GCSE 수학, GCSE 과학시험이 포함된다. 나머지 2개는 GCSE 기타 과목이나 GCSE 단기 과목(Short Course)를 응시한다.
GCSE 시험은 수준별 시험(Tiered Papers)이다. 대다수의 과목들은 2개로 분류되는데 고급수준 시험(Higher Tier Paper)은 A에서 D의 성적을 부여하고 기본수준 시험(Foundation Tier Paper)은 C에서 G까지의 성적을 부여한다. 미술, 음악, 체육, 그리고 역사의 경우 시험은 수준별 구분이 없지만, 수학의 경우 수준별로 3개의 시험이 있다. 고급수준 시험과 기본수준 시험의 성적이 C-D에서 겹치는 이유는 1) 학생이 자신의 수준에 맞지 않는 수준별 시험에 응시하는 것을 예방하고, 2) 시험 당일 예상한 결과 보다 좋거나 나쁜 성적을 얻을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학생이 고급수준 혹은 기본수준인지의 결정은 교사가 한다. 만일 학부모의 이의 신청이 있을 경우 우선 교장과 상담하고 그 후에도 불만족스러운 경우에는 학교의 관리기관(governing board)에 항의하는 절차가 있다.
GCE A level은 GCSE시험 응시 후 2년간의 학습과정이다. 각 대학의 입학기준은 보통 A level과목에서 어느 정도의 성적을 받아야 지원할 수 있는지 해당 학과에서 제시하기 때문에 A level 시험성적은 대학입학 자격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A level 시험과목은 70개 이상이며 AS level(Advanced Subsidiary Level)과 A2 level 시험으로 나누어진다. AS시험은 A level의 첫해를 기준으로 하고 A2시험은 A level의 둘째 해에 공부하는 내용이 출제된다. 한편 AS시험은 그 자체로 자격증이지만, A2시험은 AS를 받은 후 획득하여야 A level 자격증이 주어된다. A level 성적은 대부분 시험으로 평가받으나 학교수업 성적도 20~30%정도가 최종 성적에 반영된다.
2002년 여름부터 새로 도입된 AEA 자격증(AEA: Advanced Extension Awards)은 우수한 A level 학생들을 도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여 A level 상위 5~10% 학생들을 위한 시험이다. 시험 범위는 A level과 같지만 더욱 심화되어 출제되는 문제들로 A2 시험보다 훨씬 어려운 시험이다.
영국의 자격시험은 QCA(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에서 관리감독을 받고 있다. QCA는 영국 교육부가 후원하는 독립된 기관으로 GCSE나 A level을 만드는 민간 교육평가전문기관(GCSE Awarding Body)을 감독할 뿐만 아니라 국가교육과정(National Curriculum)도 개발하고 평가한다. QCA가 감독하는 모든 자격증은 국가자격구조(NQ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의 6개 level에 해당된다. 이 중 level 4와 5는 고등교육 자격증이고 Entry level은 level 1의 전단계로 GCSE보다 기초적인 level이다.
Ⅵ. 영국교육의 영어교육
교육의 구조
1. 통합성
영국은 영어교육의 영역을 말하기/듣기, 읽기, 쓰기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한다. 실제로 영어교육이 시행되는 모든 국면에서 이 세 영역은 통합을 지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모든 시험 문제가 ‘쓰는’ 것을 주된 형식으로 삼고 있다는 것은 이를 입증한다. 이는 모든 읽기의 결과를 쓰는 능력으로 전환하는 것을 요구한다. 또 쓰기의 평가에서까지 ‘토론을 통해 또는 글쓰기를 통해’ 어떤 능력을 드러내 보이는 것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음도 언어활동의 통합적 운용을 통한 능력 배양을 겨냥하고 있는 증거가 된다. A-level을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교실 학습은 읽기와 쓰기의 과정에서 말하기/듣기가 요구되고, 이를 토대로 개인 성적의 20%를 차지하는 말하기/듣기 성적이 매겨진다는 점도 이러한 특색의 구체적 모습이 된다.
능력의 통합을 지향하는 경향은 영역 사이에서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영역 내의 교육 요소들 간에서도 구체적으로 보인다. 신문에 난 지원병 모집 광고를 보고 병사의 아버지가 되어 군 사령관에게 보내는 편지를 쓰라든가, 남의 가족 이야기를 기술한 글을 읽고 자신의 가족 관계에 대한 시를 쓰라든가 하는 시험문제는 실용과 문학 사이의 통합을 겨냥하고, 정보 전달과 상상적 언어 활동 사이에 통합을 겨냥하는 지향을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이처럼 영국의 영어교육은 영역 간 그리고 교육 요소 간에 통합적 활동을 매우 활발하게 지향하는 것을 제도적으로 보여 준다.
2. 위계성
영국의 영어교육은 철저히 위계성에 근거하여 계획실천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Ⅴ. 영국교육의 대학입학시험
14-16세 학생들은 4번째 단계(Key Stage 4) 국가교육과정(National Curriculum Programme)에 의거하여 영어, 과학, 외국어, 체육, 수학, 국민(citizenship),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과목 등을 학습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마다 GCSE를 부여하는 민간 교육평가전문기관(GCSE Awarding Body)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GCSE 교육과정 학습의 초점이 학교 마다 다를 수 있다. 이들은 6개 이상의 과목을 이수해야 하는데, 대다수의 학생들은 최소한 5개의 과목별 시험에 응시하고 대다수의 경우 GCSE 영어, GCSE 수학, GCSE 과학시험이 포함된다. 나머지 2개는 GCSE 기타 과목이나 GCSE 단기 과목(Short Course)를 응시한다.
GCSE 시험은 수준별 시험(Tiered Papers)이다. 대다수의 과목들은 2개로 분류되는데 고급수준 시험(Higher Tier Paper)은 A에서 D의 성적을 부여하고 기본수준 시험(Foundation Tier Paper)은 C에서 G까지의 성적을 부여한다. 미술, 음악, 체육, 그리고 역사의 경우 시험은 수준별 구분이 없지만, 수학의 경우 수준별로 3개의 시험이 있다. 고급수준 시험과 기본수준 시험의 성적이 C-D에서 겹치는 이유는 1) 학생이 자신의 수준에 맞지 않는 수준별 시험에 응시하는 것을 예방하고, 2) 시험 당일 예상한 결과 보다 좋거나 나쁜 성적을 얻을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학생이 고급수준 혹은 기본수준인지의 결정은 교사가 한다. 만일 학부모의 이의 신청이 있을 경우 우선 교장과 상담하고 그 후에도 불만족스러운 경우에는 학교의 관리기관(governing board)에 항의하는 절차가 있다.
GCE A level은 GCSE시험 응시 후 2년간의 학습과정이다. 각 대학의 입학기준은 보통 A level과목에서 어느 정도의 성적을 받아야 지원할 수 있는지 해당 학과에서 제시하기 때문에 A level 시험성적은 대학입학 자격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A level 시험과목은 70개 이상이며 AS level(Advanced Subsidiary Level)과 A2 level 시험으로 나누어진다. AS시험은 A level의 첫해를 기준으로 하고 A2시험은 A level의 둘째 해에 공부하는 내용이 출제된다. 한편 AS시험은 그 자체로 자격증이지만, A2시험은 AS를 받은 후 획득하여야 A level 자격증이 주어된다. A level 성적은 대부분 시험으로 평가받으나 학교수업 성적도 20~30%정도가 최종 성적에 반영된다.
2002년 여름부터 새로 도입된 AEA 자격증(AEA: Advanced Extension Awards)은 우수한 A level 학생들을 도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여 A level 상위 5~10% 학생들을 위한 시험이다. 시험 범위는 A level과 같지만 더욱 심화되어 출제되는 문제들로 A2 시험보다 훨씬 어려운 시험이다.
영국의 자격시험은 QCA(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에서 관리감독을 받고 있다. QCA는 영국 교육부가 후원하는 독립된 기관으로 GCSE나 A level을 만드는 민간 교육평가전문기관(GCSE Awarding Body)을 감독할 뿐만 아니라 국가교육과정(National Curriculum)도 개발하고 평가한다. QCA가 감독하는 모든 자격증은 국가자격구조(NQ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의 6개 level에 해당된다. 이 중 level 4와 5는 고등교육 자격증이고 Entry level은 level 1의 전단계로 GCSE보다 기초적인 level이다.
Ⅵ. 영국교육의 영어교육
교육의 구조
1. 통합성
영국은 영어교육의 영역을 말하기/듣기, 읽기, 쓰기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한다. 실제로 영어교육이 시행되는 모든 국면에서 이 세 영역은 통합을 지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모든 시험 문제가 ‘쓰는’ 것을 주된 형식으로 삼고 있다는 것은 이를 입증한다. 이는 모든 읽기의 결과를 쓰는 능력으로 전환하는 것을 요구한다. 또 쓰기의 평가에서까지 ‘토론을 통해 또는 글쓰기를 통해’ 어떤 능력을 드러내 보이는 것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음도 언어활동의 통합적 운용을 통한 능력 배양을 겨냥하고 있는 증거가 된다. A-level을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교실 학습은 읽기와 쓰기의 과정에서 말하기/듣기가 요구되고, 이를 토대로 개인 성적의 20%를 차지하는 말하기/듣기 성적이 매겨진다는 점도 이러한 특색의 구체적 모습이 된다.
능력의 통합을 지향하는 경향은 영역 사이에서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영역 내의 교육 요소들 간에서도 구체적으로 보인다. 신문에 난 지원병 모집 광고를 보고 병사의 아버지가 되어 군 사령관에게 보내는 편지를 쓰라든가, 남의 가족 이야기를 기술한 글을 읽고 자신의 가족 관계에 대한 시를 쓰라든가 하는 시험문제는 실용과 문학 사이의 통합을 겨냥하고, 정보 전달과 상상적 언어 활동 사이에 통합을 겨냥하는 지향을 구체적으로 보여 준다.
이처럼 영국의 영어교육은 영역 간 그리고 교육 요소 간에 통합적 활동을 매우 활발하게 지향하는 것을 제도적으로 보여 준다.
2. 위계성
영국의 영어교육은 철저히 위계성에 근거하여 계획실천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추천자료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대학입학전형 개선 방안 연구
대학입학전형제도
체육교육과정의 개념 및 교육과정 개발의 원칙
대학입시 제도개혁 및 2005 대학입시 FAQ
공교육 활성화 방안의 원인과 대책.. 모든것
수학교육학 신론 3,4장 탐구문제
교육사회 정리
학교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범/법학]
체육교육탐구 전체 요약본
대학입학전형제도 실태 및 문제점 및 나의 개선방안
우리나라와 서양교육정책의비교
학교교육 현장에서의 교육방법측면에서의문제점과 개선방안
02.체육교육탐구 {체육교육 사조론, 체육교육과정론, 체육교수방법론, 체육교사 교육론} [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