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평화학 입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대학교]평화학 입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2강 ~ 14강

본문내용

대한 규정을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쉽게 적용될 수 있는 국제법 체제가 아니라는 한계를 갖고 잇다.
이슬람의 평화관은 적극적 평화와 소극적 평화로 나눌 수 있다. 이슬람에 있어서 적극적 평화란 이슬람의 선교로 전 인류의 무슬림화를 뜻한다. 소극적 평화란 전쟁의 위협과 공포, 압제와 부정, 빈곤과 부정의로부터 인간을 자유롭게 하여 궁극적으로 전쟁으로부터 인류를 해방하는 것이다. 이슬람의 지하드는 이러한 평화관의 산물이다. 이슬람의 적극적 평화는 물리적 지하드 중 공격적 지하드의 개념으로 극명하게 드러난다. 다만 이러한 무력에 의한 선교는 이부 공격적 지하드의 경향이 극명히 나타났던 시기에 성행하였으나, 최근의 주요한 경향은 개인적방어적 지하드를 강조하고 있다.
3) 동양의 평화 사상
동양의 평화는 평온, 무사안일을 말한다. 그러나 현재의 평화 개념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동양의 평화사상을 크게 유교적, 도교적, 불교적 평화사상으로 나뉜다. 우선 유교적 평화는 국제간에 있어서는 전쟁 없이 화해로운 교린 관계를 유지하는 상태이며, 국내적으로는 기존정부에 대한 번역 형식의 쟁투(혁명, 민란 등) 없이 국민의 화합을 이룬 것을 의미한다. 즉 평화란 국내외로 아무런 쟁투도 일어나지 않고 인간 간에 화합의 분위기가 조성된 이른바 ‘태평’ 세월의 상태이다. 유교적 평화의 함의는 화합을 전제로 하여 물심양면의 평안 상태를 말한다. 즉 개인 간의 불평불만이나 집단 간 불평불만이 없는 상태로서 틱히 인화가 반드시 실현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교적 이상이 발현된 상태가 “이른바 대도가 행해지는 조건이 곧 대동이며, 이것이 또한 평화가 최대로 실현되는 이상(=평화)이다.” 라고 하는 대동이다.
유교적 국제관계의 중심 원리에는 “예”가 자리하고 있다. 유교적 국제관계는 서구의 적어도 형식적으로는 평등한 관계와는 전면 배치된다. 유교적 세계질서 하에서는 전쟁 또한 세계적 질서에 규율되는 제도적인 것으로 인정한다. 유교적 국제 정치는 예를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그 기본 원리는 큰 것을 섬기고 작은 것을 어여삐 여긴다는 사대자소로 압축, 요약된다. 이러한 권리-의무적관계, 즉 사대는 곧 ‘조공’과 ‘책봉’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다시 말해 주변 국가들끼리의 수평적인 관계를 지탱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교적 평화는 무위자연, 즉 억지로 무엇을 하려하지 않는 것을 평화로 본다. 따라서 ‘도’를 중심으로 하는 도교는 물에 대한 중시나 강조와도 연결된다. 즉 본질적으로 물은 낮은 곳에 처하며 부드러움과 겸손의 미덕이 있기 때문에 평화 사상의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도교적 국가는 소국과민, 즉 나라를 적게 하고 백성을 적게 하는 것을 말한다. 도교가 꿈꾸는 이상향은 소박하고 조용한 작은 국가이다. 국가 이익의 추구를 배제함으로써 비록 무기와 병사가 있더라도 그들을 쓸 일이 없도록 한다는 것이다.
불교적 평화에서 불교는 기본적으로 생명을 중시하는 사상이다. 이는 살생을 금하는 계율에 함축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생명 존중의 사상은 업과 윤회 관념에 의하여 인과관계를 중시여기는 윤리관으로 함축된다. 즉 좋은 행위는 좋은 결과로, 나쁜 행위는 나쁜 결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행위는 윤회의 원리로 현생의 행위로 인해 내생까지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에 자비와 보시를 강조하게 된다. 즉 남의 괴로움에 대해 불쌍히 여기고 기꺼이 배품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불교는 비폭력과 평화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제4강
평화운동
1.평화 운동의 기원 및 발전
사상적 의미에서 바라 볼때, 평화 운동의 기원은 종교적기원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3세기까지 기본적으로 어떤 형태의 폭력을 거부하는 평화지상주의가 존재했다.
19세기 들어 평화운동은 정부의 외교정책 혹은 군사정책을 수정하도록 요구 노력과 관련된다. 시민들에 의해 평화운동이 주도됐으며 전쟁 종식 및 방지와 교육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근대적 의미의 국제평화 운동은 \' 세력균형\' 정책이 국제관계의 규범으로 작용하던 시대적 상황을 반영했다. 그리고 20세기부터 평화 및 평화적 갈등 해결에 대한 연구가 제도화되기 시작했다.
유럽지역에서 평화운동은 대개 19세기말부터 이뤄지기 시작했으며 자유주의자들이나 사회주의자들이 주도했다. 하지만 사회적 영향력 면에서 미약했으며 이어 발발한 제1,2차 대전으로 평화운동은 침체기에 빠진다. 이후 1958년 \"핵무기 감축을 위한 캠페인\"이 평화운동의 주축을 이뤘다. 1960년대 중반 이후 다른 부문의 사회운동이 발전하면서 평화운동은 상대적 침체기에 접어들었다. 1960년대~70년대 평화운동은 성격 변화를 일으켜, 평화운동 그 자체보다는 급진적인 좌파와 무정부주의자들에 의한 테러행위로 나타났다. 즉 평화적 수단보다는 급진적이고 폭력적 수단에 의한 사회개혁을 시도한 것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평화운동의 활성화된다.
국가별로 평화운동을 살펴보면 영국은 \' 핵무기 감축을 위한 캠페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독일에서는 공산주의자부터 기독교까지 다양한 정치적 색채를 가진 단체의 집합체인 ak, 네덜란드에서는 신정치운동으로서 평화운동의 이뤄졌다. n 이태리에서는 정치적 행위자(정당,노동조합) 카톨릭교, 국가 행위체가 평화운동을 전개했으며 한국의 평화운동은 역사적 경험에서 출발하며 그 시기는 한국전의 종전부터 현재까지로 초점을 맞춰야한다. 평화운동은 군부독재 체제하의 민주화 시민운동,환경운동,산업평화운동 등의 형태로 유지되어왔다. 남북 긴장상황에서 대규모의 평화운동으로 발전의 어려웠으며 남북대립의 상황 하에서 평화노리보다는 안보논리가 더 강했다고 할 수 있다. 김대중 정부이후 북한과의 관계 개선의 진전되면서 새로운 국면에 들어선다. 촛불시위 등의 국내 평화운동은 반전운동의 전반적 흐음의 재현 인상을 준다.
2.한반도 평화 운동의 현 위치
한반도에서의 평화운동과 교육은 1990년대 중반에 시작되었다. 다른 국가들에 비해 한반도에서 평화운동과 교육의 출발이 늦었던 이유는 첫 번째, 냉전과 분단 속의 독재체체 내 평화 주장은 반체제 운동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있었으며 두 번째, 평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 부족했다. 세 번

추천자료

  • 가격6,000
  • 페이지수63페이지
  • 등록일2011.07.09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8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