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통음식의 상차림(일상, 일상식, 통과의례 상차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상차림(일상, 일상식, 통과의례 상차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전통음식의 상차림

Ⅰ. 일상의 상차림

Ⅱ. 일상식 상차림

1. 반상차림
2. 장국상차림
3. 죽상차림
4. 주안상차림
5. 다과상차림
6. 교자상차림
7. 수라상

Ⅲ. 통과의례 상차림

1. 백일상
2. 돌상
3. 생신상
4. 혼례상
5. 폐백음식
6. 회갑 수연상
7. 제상
8. 식기의 기명

* 참고문헌

본문내용

류나 한과생과일 등을 곁들이기도 하며, 이 때는 식혜
수정과 화채 중에서 한 가지를 놓는다. 술손님일 경우에는 주안상을 먼저 낸
후 면상을 내도록 한다.
1. 온면상: 국수(온면), 찜(민어찜, 도미찜), 전, 잡누르기, 편육, 잡채, 김치, 정
과 떡, 약식, 약과, 강정, 화채, 녹말편을 갖추어 낸다.
2. 냉면상: 국수(냉면), 소고기전골, 전, 김치, 장과, 떳수단, 화채 등을 갖추어 낸다.
(3) 죽상차림
새벽자리에서 일어나 처음 먹는 음식으로 부담없이 가벼운 음식이다. 응이 미음
죽 등의 유동식을 중심으로 하고, 여기에 맵지 않은 국물김치(동치미, 나박김치와 젓국), 찌개, 마른찬(북어보푸라기, 육포, 어포) 등을 갖추어 낸다. 죽은 그릇에 담아
중앙에 놓고 오른펀에는 공기를 놓아 조금씩 별어 먹게 한다. 죽상에는 짜고 매운 찬은 어울리지 않는다.
1. 응이상: 응이, 동치미, 소금, 꿀을 갖추어 낸다.
2. 흰죽상: 흰죽, 젓국조치, 나박김치(또는 동치미), 매듭자반, 북어무침, 포, 청장을 갖추어 낸다.
3. 잣죽상: 잣죽, 동치미, 다시마튀각, 소금, 꿀을 갖추어 낸다.
(4) 주안상차림
술을 대접하기 위해 술과 안주가 되는 음식을 고루 차린 상이다. 주안상은 혼자
드는 외상보다는 둘 이상이 경상을 하게 된다. 음식을 상에 낼 때는 먼저 술과 포
나 안주를 내어 술잔이 고루 돌려지면 찬 음식과 더운 음식을 때에 맞추어 바로바
로 내도록 한다. 술을 거의 들면 주식으로 면이나 떡국 등을 마련한다. 식사 후에는 후식으로 조과생과화채 등을 한 가지 정도씩 내도록 한다.
(5) 다과상차림
다과상은 평상시에 식사 이외의 시간에 다과만을 대접하는 경우와 주안상이나 장국상 후에 후식으로 내는 경우가 있다. 음식의 종류나 가짓수에는 차이가 있으나 떡류 조과류 생과류와 음료로는 차가운 음청류와 더운 차를 마련한다.
특히 각 계절에 잘 어울리는 떡 생과 음청류를 잘 고려하여 정성껏 마련하여 계절감을 살리도록 한다.
다과상만을 대접할 때는 떡과 조과류를 많이 준비하고, 후식상인 경우는 여러 품목 중에 각각 한두 가지씩만 마련하도록 한다.
(6) 교자상차림
교자상은 보통 큰 사각반이나 또는 대원반에 여럿을 함께 대접하는 음식상차
림으로 집안에 잔치나 경사가 있을 때 마련한다. 주된 음식들은 상의 중심에 놓
고, 국물있는 음식은 1인분씩 작은 그릇에 각각 담는다. 교자상은 한 사람씩 외
상을 차리던 형식을 여러 사람 몫을 한데 모아 간소화시켜서 차린 상차림이다.
원래 교자상의 주식은 장국상과 마찬가지로 국수나 만두 떡국으로 하고, 찬품
은 장국상이나 주안상에 차리는 음식들과 같으며, 음식을 들고 나서 다과를 내
도록 한다.
밥을 주식으로 하는 교자상을 얼교자상이라고 하는데, 주된 찬품을 들고 나
서 진지를 들 때는 다시 밥반찬이 되는 찬품과 탐을 준비하여야 되므로 매우 번
거롭다.
(7) 수라상
왕과왕비의 평상시 밥상으로, 수라는 고려 말과조선시대에 왕에게 올린 밥
을 경어로 이론 궁중용어로서, 몽골어라고 한다. ‘밥’ 이라는 한국말은 “계림유사”에 반을 ‘박거’로 음을 표시하였고, ‘화산삼재도’에도 ‘바비’로 음표하여 밥으로 고정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수라는 고려 원종 이후 몽골의 문물이 들어와 몽골어의 음식을 ‘슐라’라고 한데서 공중용어로 정착된 것으로 추측한다.
수라상의 반찬은 12가지로 정해져 있고, 내용은 계절에 따라 바뀐다. 수라상은 왕과 왕비가 같은 온돌방에서 각각 받는데, 동편에 왕, 서편에 왕비가 않는다.
겸상은 없고 시중드는 수라상궁도 각각 3명씩 대령하며, 원반(수라상)과 곁만 책상만 등 3개의 상이 들어온다.
원반에는 편수라, 합, 조치(찌게), 정(또는 선), 전골, 김치, 장,12가지 반찬류(편육 전 회 숙란 조림 구이 적 나물 생채 장아찌 젓갈 자반)를 놓고 곁반에는 팔수라, 전골함, 별식 육회, 별식 수란, 은공기 3개, 차관, 첫주밭, 빈 사기 접시 3개를 놓는다. 책상반에는 점, 곰탕, 더운 구이, 젓국조치, 전골, 고추장조치 등을 놓는다.
3) 통과의례 상차림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매까지 행하는 의식을 통과의례라고 한다. 탄생 삼칠
일 백일 돌 관례 혼례 회갑 회혼례 상례 제례 때마다 특별한 상차림
이 있다. 현재까지도 우리 식생활에서 차려지고 있다.
(1) 백일상
출생후 백일이 되는 날을 축하하기 위하여 차리는 상으로, 흰밥, 고기를 넣은
미역국, 푸른 색 나물, 백설기(신성함),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88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