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정서의 의미와 발달 및 변화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청소년기 정서의 의미와 변화과정

Ⅰ. 정서의 의미와 발달

Ⅱ. 청소년기의 정서변화

Ⅲ. 정서발달의 영향 요인

1. 성숙
2. 학습
1) 조건형성이론
2) 모방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후천적
인 경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고 볼 수 있는 생후 9개월 된 알버트(Albert)
라는 아이에게 철쥐, 개, 토끼, 원숭이 등을 주었을 때 그는 아무런 공포도 나
타내지 않았다. 이 자체만으로 공포가 성숙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그 후 연구자는 알버트로 하여금 흰쥐에 대하여 공포를 습득하
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형성의 조작을 하였다. 알버트가 자신에게
주어진 흰쥐에게 접근하려고 할 때, 그의 머리 뒤에서 강철봉의 망치로 두들기
는 '광' 소리를 내었다. 알버트는 놀란 반응을 표시하면서 엎드렸다. 또 다시
황하는 큰 소리와 함께 흰쥐가 주어졌을 패 그는 울기 시작했다. 이 실험을 다
섯 번 반복한 후 흰쥐만을 주었더니 알버트는 흰쥐를 피하는 전형적인 공포반
응을 나타내었다.
이리하여 알버트는 이전에 공포의 반응을 표시하지 않았던 대상에 대하여 공
포반응을 습득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흰쥐에 대한 공포반응이 조건형성된 것
이다. 이 과정에서 알버트는 '쾅' 하는 소리의 무조건자극과 흰쥐의 조건자극
을 결합하였으며, 그 결과 조건자극(흰쥐)에 대한 반응(공포)이 학습되었다.
Watson은 알버트가 흰쥐와 같은 사물 즉, 토끼나 개에 대해서도 흰쥐에 대한
공포가 전이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공포를 비롯한 정서반응이
후천적으로 학습된 결과임을 주장하였다. 즉, 일상생활에서 위험한 대상이나
동물 등에 대하여 공포와 같은 정서적 반응이 나타나는 것은 이전에 어떤 조작
에 의해서든 조건화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2. 모방이론
특정 사물이나 장면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그것에 대한 타인의 반응을 관찰
하여 모방한 결과일 수 있다. 이 또한 정서를 후천적인 경험에 의해 설명하고
있지만 조건화가 아닌 사회적 장면 속에서의 관찰과 모방이 중요한 결정요인이
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Hagman은 취학 전 어린이의 공포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어린이의 공포와 어
머니의 공포 사이에는 비슷한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양자의 공포반응
간에 .667의 상관이 있었다(Bridges, 1979). 이러한 연구는 정서가 사회적 관찰과
모방의 결과임을 시사해 준다. 우리들의 행동에는 어떤 종류의 정서가 따르기
마련이어서 보다 만족스러운 정서가 뒤따랐던 행동은 다음에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불만족스러운 정서가 뒤따랐던 행동은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회
박해진다. 이러한 사실은 정서가 만족이라는 보상에 의해 강화되었기 때문이
며, 이 또한 학습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 김동위(1994). 청소년의 인간화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 남정걸(1998). 사회교육행정론. 서울: 교육과학사
- 박진규(2003). 청소년문화. 서울: 학지사
- 이춘재 등(1998). 청년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 김흥규(1994). 인간행동의 이해. 서울: 양서원
- 한상철(1998). 청소년학 개론.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 한상철, 임영식(2000). 청소년심리의 이해. 서울: 학문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