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국제이해교육의 의미
Ⅲ. 국제이해교육의 목적
Ⅳ. 국제이해교육의 실태
Ⅴ. 국제이해교육과 재량활동
Ⅵ. 국제이해교육과 제7차교육과정
1. 7차 교육과정 개정 배경
2. 7차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방향
3.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Ⅶ. 국제이해교육의 문제점
1.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강조 미흡
2. 교사들의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3.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여건 미흡으로 세계이해를 위한 자료관이나 교실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
1) 국제이해교육 관련 교과내용의 부족
2) 국제이해교육 실시시간의 부족
3) 교사들의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교수․학습지도방법의 미숙
Ⅷ. 향후 국제이해교육의 방향
Ⅸ. 결론
참고문헌
Ⅱ. 국제이해교육의 의미
Ⅲ. 국제이해교육의 목적
Ⅳ. 국제이해교육의 실태
Ⅴ. 국제이해교육과 재량활동
Ⅵ. 국제이해교육과 제7차교육과정
1. 7차 교육과정 개정 배경
2. 7차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방향
3.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Ⅶ. 국제이해교육의 문제점
1.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강조 미흡
2. 교사들의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3.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여건 미흡으로 세계이해를 위한 자료관이나 교실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
1) 국제이해교육 관련 교과내용의 부족
2) 국제이해교육 실시시간의 부족
3) 교사들의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교수․학습지도방법의 미숙
Ⅷ. 향후 국제이해교육의 방향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될 것이고 이는 보편적인 현상으로서의 세계화의 이행보다는 개인과 국가, 혹은 지역 경쟁력 강화에 비중을 둔 세계화로의 이행이 될 것이다. 이는 국제이해교육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세계화의 방향이 아닌 바, 앞으로 국제이해교육은 이러한 국가주의나 지역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향후 국제이해교육의 방향은 세계의 상호의존성이라는 측면을 보다 다방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특히 국제이해교육의 네 가지 주요영역에서 보다 깊이 있는 교육 내용이 전달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즉 문화 간 이해(Cross-Cultural Awareness) 의 증진, 세계적 시각 및 관점(Global Perspectives)의 함양, 세계체제(Global Systems)의 이해, 세계적 문제 및 이슈(Global Problems and Issues)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국제이해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네 가지 주요 교육 분야에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국제이해교육은 교수방법에 있어서도 교사중심의 전통적 강의 방식을 지양하고 보다 현실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업 방법을 개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즉 학생들에게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사회참여능력을 길러줄 수 있도록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참여수업의 형태를 개발하여 교육현장에서 직접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Ⅸ. 결론
국제이해교육은 세계 공통의 가치발견의 철학에 기반하고 있다. 그것은 첫째 평화와 협력, 둘째 인권 및 자유, 셋째 환경보존과 공해방지, 넷째 빈곤퇴치와 양성평등이라는 가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런 공통가치의 추구가 가능하려면 타문화를 이해하는 능력과 태도가 바탕이 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타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문화상대주의적 관점과 다원주의 관점이 전제되지 않으면 불가능한 것이다. 왜냐하면 국제이해란 세계의 다른 나라 사람들과 정치, 경제, 문화의 교류, 상호의존, 갈등, 협력을 포함하는 국제관계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수준에서이든 혹은 개인적 수준에서이든 상대의 가치관, 행동양식, 제도, 태도, 관습, 예술 등 광의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을 기초로 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대의 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자문화를 중심으로 상대를 판단하고 재단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문화는 그 문화 밖의 타문화의 관점에서 우열의 판단을 내리는 가치판단이 내려져서는 안 된다는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오늘날 전 세계는 다문화사회로 변화되고 있다. 비단 서구 사회뿐 아니라 단일민족국가인 우리나라도 20세기 들어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주노동자의 숫자가 엄청나게 늘어나고, 해외 근무 노동자나 기술자들이 그곳에 영주함으로 인해 다민족,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은 이미 부정할 수 없는 우리의 현실이 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에서 ‘다름’을 ‘우열’이 아닌 ‘차이’로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국제이해교육이 우리 사회와 교육에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이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2001),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김여경(2003), 초등 사회과에서의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 제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특별시교육청(1996), 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유네스코 한국위원회(편)
오동환(1994), 미래를 대비하는 국제화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서울시교육논문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02), 외국의 국제이해교육 현황, 국제이해교육
유네스코 한국위원회(1996), 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오름
향후 국제이해교육의 방향은 세계의 상호의존성이라는 측면을 보다 다방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특히 국제이해교육의 네 가지 주요영역에서 보다 깊이 있는 교육 내용이 전달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즉 문화 간 이해(Cross-Cultural Awareness) 의 증진, 세계적 시각 및 관점(Global Perspectives)의 함양, 세계체제(Global Systems)의 이해, 세계적 문제 및 이슈(Global Problems and Issues)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국제이해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네 가지 주요 교육 분야에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국제이해교육은 교수방법에 있어서도 교사중심의 전통적 강의 방식을 지양하고 보다 현실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업 방법을 개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즉 학생들에게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사회참여능력을 길러줄 수 있도록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참여수업의 형태를 개발하여 교육현장에서 직접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Ⅸ. 결론
국제이해교육은 세계 공통의 가치발견의 철학에 기반하고 있다. 그것은 첫째 평화와 협력, 둘째 인권 및 자유, 셋째 환경보존과 공해방지, 넷째 빈곤퇴치와 양성평등이라는 가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런 공통가치의 추구가 가능하려면 타문화를 이해하는 능력과 태도가 바탕이 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타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문화상대주의적 관점과 다원주의 관점이 전제되지 않으면 불가능한 것이다. 왜냐하면 국제이해란 세계의 다른 나라 사람들과 정치, 경제, 문화의 교류, 상호의존, 갈등, 협력을 포함하는 국제관계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수준에서이든 혹은 개인적 수준에서이든 상대의 가치관, 행동양식, 제도, 태도, 관습, 예술 등 광의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을 기초로 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대의 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자문화를 중심으로 상대를 판단하고 재단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문화는 그 문화 밖의 타문화의 관점에서 우열의 판단을 내리는 가치판단이 내려져서는 안 된다는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오늘날 전 세계는 다문화사회로 변화되고 있다. 비단 서구 사회뿐 아니라 단일민족국가인 우리나라도 20세기 들어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주노동자의 숫자가 엄청나게 늘어나고, 해외 근무 노동자나 기술자들이 그곳에 영주함으로 인해 다민족,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은 이미 부정할 수 없는 우리의 현실이 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에서 ‘다름’을 ‘우열’이 아닌 ‘차이’로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국제이해교육이 우리 사회와 교육에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이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2001),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김여경(2003), 초등 사회과에서의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 제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특별시교육청(1996), 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유네스코 한국위원회(편)
오동환(1994), 미래를 대비하는 국제화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서울시교육논문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02), 외국의 국제이해교육 현황, 국제이해교육
유네스코 한국위원회(1996), 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오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