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막걸리의 이해
(1) 막걸리의 역사
(2) 막걸리를 빚는 법
(3) 막걸리의 영양성분 및 효능
2. 막걸리의 부활
(1) 국내에서의 막걸리 열풍
(2) 해외에서의 막걸리 열풍
3. 막걸리의 세계화 방안
(1) 막걸리의 단점 극복
(2) 막걸리의 다양한 시도
(3) 막걸리의 품질 개선
(4) 다양한 안주 개발
(5) 관광 상품 개발
4. 막걸리의 시사점
(1) 막걸리의 역사
(2) 막걸리를 빚는 법
(3) 막걸리의 영양성분 및 효능
2. 막걸리의 부활
(1) 국내에서의 막걸리 열풍
(2) 해외에서의 막걸리 열풍
3. 막걸리의 세계화 방안
(1) 막걸리의 단점 극복
(2) 막걸리의 다양한 시도
(3) 막걸리의 품질 개선
(4) 다양한 안주 개발
(5) 관광 상품 개발
4. 막걸리의 시사점
본문내용
연구를 한다면 더 좋은 안주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외국인들이 즐겨먹는 치즈를 추가한 ‘치즈해물파전’은 시대적 섭식형태의 변천을 고려하고 식품 자체 기호도의 변화에 딱 맞추어 막걸리와 함께 우리음식의 세계화를 앞당기는 경쟁력 있는 음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두부김치
두부김치는 따뜻하게 데친 두부에 익은 김치와 돼지고기를 볶아 곁들인 음식으로 두부의 온화한 맛과 다공성 조직감, 상큼하고 아삭한 김치의 맛이 조화를 이루어 술안주로도 인기가 높은 음식이다. 두부김치의 주재료인 두부의 소화흡수율은 96%로 생대두가 갖는 82%에 비해 가열처리로 인해 소화흡수울이 높아지며, 단백가가 우유나 달걀 단백질의 85~95%정도로 우수한 단백질 급원이다. 또한 콜레스테롤과 유당(lactose)이 없고, 포화지방산의 함량도 낮으며, 콩 단백질이 몸속 지방 양을 줄여주고 근육의 양을 늘려주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곁들이는 김치볶음에도 캡사이신 성분이 들어 있어 다이어트에도 좋다. 두부김치는 인기 있는 막걸리 안주 중에 하나이다. 다소 매울 수 있는 김치의 맛을 두부가 줄여주기 때문에 외국인들이 먹기에도 부담이 덜하다. 김치와 돼지고기가 만났을 때의 색다른 맛, 거기에 두부와 막걸리를 더하여 세계인들의 입맛에 부응할 수 있을 것 같다.
3) 카나페
카나페는 손가락으로 집어 한 입에 먹을 수 있는 작은 요리이다. 서양에서, 카나페는 전채요리 혹은 후식이 시간에 나오기도 하지만 종종 칵테일이 나오는 시간에 곁들여져 나온다. 이 경우, 카나페는 짜거나 양념이 많이 들어가 있는 것이 적당한데 카나페를 먹는 사람들로 하여금 주류를 더 마시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카나페는 들어가는 재료의 선택이 다양하므로, 선택된 재료에 따라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 할 수 있다. 막걸리를 처음 접하는 외국인들에게 친숙한 카나페를 안주로 내고, 카나페 재료를 막걸리와 맞는 음식을 사용한다면 좋은 안주가 될 수 있을 거 같다.
4) 치즈와 젓갈의 새로운 만남
사과 조각에 어리굴젓, 크림치즈를 차례로 올린 뒤 한입에 먹는다.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조화지만 젓갈의 짠맛을 크림치즈가 부드럽게 잡아주고 사과가 새콤달콤한 맛으로 깨끗하게 마무리해준다. 별도의 조리과정을 거치지 않아 기호에 따라 야채나 과일, 젓갈, 치즈 등을 배합하면 쉽게 다양한 맛을 경험해 볼 수 있다. 발효주인 와인의 안주로 발효식품인 치즈가 제일 잘 어울리듯 막걸리도 마찬가지로 발효식품과 잘 어울린다. 전통적으로 막걸리에 김치, 젓갈, 홍탁 등을 곁들여 먹는 것도 같은 원리이며 그래서 막걸리와 치즈도 의외로 잘 어울린다.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막걸리 역시 술이기에 숙취에 효과가 있는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및 무기질이 풍부한 안주가 몸에도 좋다.
(5) 관광 상품 개발
현재의 막걸리 열풍으로 대도시 중심의 양조장들이 활성화되고 있긴 하지만, 소규모 지역 양조장들도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관광과 만나야한다. 어느 지역을 가면 그 지역의 특산물을 맛보는 것처럼, 그 지역 술을 맛볼 수 있고 더불어 양조장도 구경할 수 있게 일정 부분 개방되어야한다. 개방이 되고, 관광자원이 되면 그 자체로 홍보와 마케팅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막걸리의 시사점
지금 우리에게 막걸리는 어떤 의미인가? 막걸리는 지금까지 서민들이 즐겨 마시는 술로 인식됐지만, 저렴한 가격에 건강과 미용에도 효과가 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다양한 상품과 시장을 창출했다. 막걸리는 술이지만 살아 있는 발효 웰빙 음료로 인식되면서 젊은 층, 특히 여성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막걸리의 인기가 치솟으면서 막걸리에 대한 뉴스들도 쏟아지고 있다. 막걸리 회사들은 막걸리가 없어서 못 팔 지경이라며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고, 한일 정상회담 직후 가진 오찬에서 일본 총리 내외는 식사순서에 따라 제공된 와인을 과감히 물리치고 한국적인 맛의 막걸리를 선택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 오찬에 곁들일 술로 막걸리가 마지막까지 거론됐을 정도로 일명 ‘막걸리 열풍’이 불고 있다. ‘코리아 와인’, ‘마코리’ 등으로 불리며 해외에서 더 주목을 받는가 하면, 건강에 좋은 웰빙주로 젊은 층의 폭발적인 지지를 얻고 있다.
이제 막걸리는 단순한 술이 아닌 우리의 강력한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막걸리의 진정한 맛과 멋을 제대로 아는 사람은 여전히 드물다. 우리 것을 알아야 지킬 수 있는 법! 막걸리의 인기가 유행처럼 그치지 않으려면 우리 술 문화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와인처럼 우리 막걸리도 마시는 법과 조화로운 음식을 함께 배워가면서 친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막걸리만의 고유한 술 문화를 정립해야만 지금의 인기가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아는 만큼 느끼고, 느낀 만큼 맛있다. 새롭게 거듭나고 있는 막걸리의 진화를 꼼꼼하게 담아낸 이 책으로 우리 술 막걸리의 정체성, 나아가 우리 전통의 세계화까지 함께 모색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참고자료>
www.suldoc.com
www.wookuksaeng.com
www.saengmakgeolli.com
www.daegutakju.co.kr
imbctvin.tistory.com
cafe.naver.com/ksdbmonitor
www.tastytimes.co.kr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막걸리 넌 누구냐 - 허시명, 예담, 2010
전통 웰빙주 막걸리 - 배송자, 하남출판사, 2010
막걸리 이야기 - 황영철, 심인, 2010
전통(傳統) 막걸리 제조기술(製造技術)의 동향(動向) 분석 - 이유선 외, 한국농업사학회 2010
우리 전통 술의 순례 - 탁주 또는 막걸리 이야기 - 허시명, 한국식품연구원, 2009
전통 술의 세계 상품화 - 신유호, 국내 학술 논문, 2008
전통 우리술의 세계화를 위한 정책과제 - 이동필, 국내 학술 논문, 2006
술, 음료의 세계 - 원융희, 백산출판사, 2003
130가지 자연을 담은 건강주이야기 - 임용규, 오성출판사, 2003
2) 두부김치
두부김치는 따뜻하게 데친 두부에 익은 김치와 돼지고기를 볶아 곁들인 음식으로 두부의 온화한 맛과 다공성 조직감, 상큼하고 아삭한 김치의 맛이 조화를 이루어 술안주로도 인기가 높은 음식이다. 두부김치의 주재료인 두부의 소화흡수율은 96%로 생대두가 갖는 82%에 비해 가열처리로 인해 소화흡수울이 높아지며, 단백가가 우유나 달걀 단백질의 85~95%정도로 우수한 단백질 급원이다. 또한 콜레스테롤과 유당(lactose)이 없고, 포화지방산의 함량도 낮으며, 콩 단백질이 몸속 지방 양을 줄여주고 근육의 양을 늘려주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곁들이는 김치볶음에도 캡사이신 성분이 들어 있어 다이어트에도 좋다. 두부김치는 인기 있는 막걸리 안주 중에 하나이다. 다소 매울 수 있는 김치의 맛을 두부가 줄여주기 때문에 외국인들이 먹기에도 부담이 덜하다. 김치와 돼지고기가 만났을 때의 색다른 맛, 거기에 두부와 막걸리를 더하여 세계인들의 입맛에 부응할 수 있을 것 같다.
3) 카나페
카나페는 손가락으로 집어 한 입에 먹을 수 있는 작은 요리이다. 서양에서, 카나페는 전채요리 혹은 후식이 시간에 나오기도 하지만 종종 칵테일이 나오는 시간에 곁들여져 나온다. 이 경우, 카나페는 짜거나 양념이 많이 들어가 있는 것이 적당한데 카나페를 먹는 사람들로 하여금 주류를 더 마시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카나페는 들어가는 재료의 선택이 다양하므로, 선택된 재료에 따라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 할 수 있다. 막걸리를 처음 접하는 외국인들에게 친숙한 카나페를 안주로 내고, 카나페 재료를 막걸리와 맞는 음식을 사용한다면 좋은 안주가 될 수 있을 거 같다.
4) 치즈와 젓갈의 새로운 만남
사과 조각에 어리굴젓, 크림치즈를 차례로 올린 뒤 한입에 먹는다.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조화지만 젓갈의 짠맛을 크림치즈가 부드럽게 잡아주고 사과가 새콤달콤한 맛으로 깨끗하게 마무리해준다. 별도의 조리과정을 거치지 않아 기호에 따라 야채나 과일, 젓갈, 치즈 등을 배합하면 쉽게 다양한 맛을 경험해 볼 수 있다. 발효주인 와인의 안주로 발효식품인 치즈가 제일 잘 어울리듯 막걸리도 마찬가지로 발효식품과 잘 어울린다. 전통적으로 막걸리에 김치, 젓갈, 홍탁 등을 곁들여 먹는 것도 같은 원리이며 그래서 막걸리와 치즈도 의외로 잘 어울린다.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막걸리 역시 술이기에 숙취에 효과가 있는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및 무기질이 풍부한 안주가 몸에도 좋다.
(5) 관광 상품 개발
현재의 막걸리 열풍으로 대도시 중심의 양조장들이 활성화되고 있긴 하지만, 소규모 지역 양조장들도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관광과 만나야한다. 어느 지역을 가면 그 지역의 특산물을 맛보는 것처럼, 그 지역 술을 맛볼 수 있고 더불어 양조장도 구경할 수 있게 일정 부분 개방되어야한다. 개방이 되고, 관광자원이 되면 그 자체로 홍보와 마케팅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막걸리의 시사점
지금 우리에게 막걸리는 어떤 의미인가? 막걸리는 지금까지 서민들이 즐겨 마시는 술로 인식됐지만, 저렴한 가격에 건강과 미용에도 효과가 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다양한 상품과 시장을 창출했다. 막걸리는 술이지만 살아 있는 발효 웰빙 음료로 인식되면서 젊은 층, 특히 여성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막걸리의 인기가 치솟으면서 막걸리에 대한 뉴스들도 쏟아지고 있다. 막걸리 회사들은 막걸리가 없어서 못 팔 지경이라며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고, 한일 정상회담 직후 가진 오찬에서 일본 총리 내외는 식사순서에 따라 제공된 와인을 과감히 물리치고 한국적인 맛의 막걸리를 선택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 오찬에 곁들일 술로 막걸리가 마지막까지 거론됐을 정도로 일명 ‘막걸리 열풍’이 불고 있다. ‘코리아 와인’, ‘마코리’ 등으로 불리며 해외에서 더 주목을 받는가 하면, 건강에 좋은 웰빙주로 젊은 층의 폭발적인 지지를 얻고 있다.
이제 막걸리는 단순한 술이 아닌 우리의 강력한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막걸리의 진정한 맛과 멋을 제대로 아는 사람은 여전히 드물다. 우리 것을 알아야 지킬 수 있는 법! 막걸리의 인기가 유행처럼 그치지 않으려면 우리 술 문화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와인처럼 우리 막걸리도 마시는 법과 조화로운 음식을 함께 배워가면서 친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막걸리만의 고유한 술 문화를 정립해야만 지금의 인기가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아는 만큼 느끼고, 느낀 만큼 맛있다. 새롭게 거듭나고 있는 막걸리의 진화를 꼼꼼하게 담아낸 이 책으로 우리 술 막걸리의 정체성, 나아가 우리 전통의 세계화까지 함께 모색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참고자료>
www.suldoc.com
www.wookuksaeng.com
www.saengmakgeolli.com
www.daegutakju.co.kr
imbctvin.tistory.com
cafe.naver.com/ksdbmonitor
www.tastytimes.co.kr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막걸리 넌 누구냐 - 허시명, 예담, 2010
전통 웰빙주 막걸리 - 배송자, 하남출판사, 2010
막걸리 이야기 - 황영철, 심인, 2010
전통(傳統) 막걸리 제조기술(製造技術)의 동향(動向) 분석 - 이유선 외, 한국농업사학회 2010
우리 전통 술의 순례 - 탁주 또는 막걸리 이야기 - 허시명, 한국식품연구원, 2009
전통 술의 세계 상품화 - 신유호, 국내 학술 논문, 2008
전통 우리술의 세계화를 위한 정책과제 - 이동필, 국내 학술 논문, 2006
술, 음료의 세계 - 원융희, 백산출판사, 2003
130가지 자연을 담은 건강주이야기 - 임용규, 오성출판사, 2003
추천자료
제주도 관광지 개발방안
외국사례를 통한 우리나라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
관광 호텔 활성화 방안
[해양관광, 해양관광산업, 크루즈관광산업, 크루즈관광] 해양관광(해양관광산업)의 개념, 개...
[생태관광]생태관광(에코투어리즘)의 정의, 등장배경과 생태관광(에코투어리즘)의 현황 및 외...
해양관광 개발방안
우리나라 농촌관광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의료관광의 상품화 사례와 방안
관광자원을 통한 대구&#8231;경북 지역 활성화 방안
스포츠관광의 개념, 유형, 필요성, 활성화 방안
한국음식의 관광 상품화 방안
제주의 녹색관광의 활성화 방안들(관광 현황분석)
관광마케팅 - 마케팅 활성화 방안 ( 관광마케팅 의의, 부산관광마케팅 활성화 방안, 경쟁자 ...
관광이란 무엇인지 설명하고 관광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서술하십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