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의 국제화와 신제품 개발 3M에 대한 사례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R&D의 국제화와 신제품 개발 3M에 대한 사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
1.1연구개발의 국제화
1.2신제품 개발에 대한 이론적 배경

2. 기업분석
(1)기업소개-사업조직, 재무현황, 신제품개발
(2)경영이념-경영원리, 기업목표, 인적자원관리
(3)기업의 책임-주요책임과 환경방침
(4)3M의 SWOT분석
(5)조직문화


3. 3M의 성공적인 마케팅전략
(1)기업이 추구하는 4가지 성공전략(핵심역량)
(2)전반적인 전략

Ⅲ. 결론

본문내용

으로 사전에 분류하는 방법과 실증적 자료를 통해 사후적으로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사후분류방법에서 Cooper는 122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기업이 자사의 신제품들을 개발할 때 전반적으로 추구하는 다음과 같은 5개의 전략군, 즉 기술주도형 전략, 균형전략, 방어적 집중적 기술부족전략, 저예산보수전략, 고예산 다각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기술주도형 전략은 R&D지향적으로 첨단 기술의 적용, 혁신적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신제품 아이디어의 획득 등의 공격적인 신제품개발 프로그램을 갖고 있다. 균형전략은 기술지향성과 마케팅지향성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이상적인 신제품개발전략이다. 기술부족전략은 강한 마케팅지향성을 보이고 있어 신제품 경쟁적 우위를 추구하기는 하나 기술적인 능력이 부족하고 방어적인 신제품개발 프로그램을 보유하는 능력이다. 저예산 보수적전략은 상대적으로 낮은 R&D비용을 지출하고 위험성이 낮은 성숙기에서의 모방제품을 주로 제조하는 유형이다. 고예산 다각화전략은 많은 R&D비용을 사용하고 새로운 제품, 시장, 유통, 광고를 추구한다. Cooper은 이러한 신제품개발전략유형을 다양한 신제품성과척도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Cooper의 신제품전략군에 대한 프레임웍을 이용하여 국내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적용시킨 결과 4개의 신제품전략군을 도출하였다. 이들은 기술주도형이고 시장적합형, 공격형이고 기술지향적이며 시너지를 추구하는 유형, 기술결여 고성장시장추구유형, 다각화 유형이다. 여기서 기술지향적 측면과 마케팅지향적 측면을 균형있게 조화한 신제품전략이 높은 성과를 가져다 준다는 결론을 이끌어 냈다.
Cooper의 연구를 토대로 한국기업에 적용시킨 결과 균형형 전략, 시술지향형전략, 시너지추구형 전략, 보수형 전략 등 4가지 전략군을 도출했다. 그는 4개의 신제품 전략 중에서 가장 이상적인 신제품개발전략은 기술 및 R&D 지향성과 마케팅지향성이 균형을 이룬 균형전략으로서 성과변수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성공률을 보이고 있으며 기술지향적 전략과 시너지추구형 전략은 높은 수준의 신제품 실패율을 보이고 있음을 밝혀냈다.
기업의 신제품개발전략을 지원할당의 측면에서 기업이 개발에 역점을 둘 신제품의 유형을 선정하고, 신제품개발을 위한 기술원천을 선정하는 두 가지 의사결정요소로 구성된다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그는 신제품유형을 선정하는 전략으로 대혁신 제품개발 중심전략, 소혁신 제품개발 중심전략, 대혁신 제품과 소혁신 제품개발에 균형 있게 자원을 할당하는 균형전략이라는 3가지 전략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기술획득방법으로는 내부기술 의존전략, 외부기술 의존전략, 내부기술과 외부기술을 혼합하여 활용하는 혼합전략이라는 3가지 기술획득 전략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난 후 두 가지 전략을 결합하여 9가지 유형의 신제품 개발전략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첨단산업과 비첨단산업을 구분시키면서 신제품개발전략을 다각화추구전략, 시너지추구전략, 무전략, 균형전략 등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신제품 개발전략을 반응전략과 능동적 전략으로 나누었다. <표Ⅱ-1>은 각 전략의 유형들이다.
대응전략
선도전략
방어전략
모방전략
후속개량전략
순응전략
R&D전략
마케팅전략
제품개발부전략
인수전략
2.기업분석
2.1기업소개
(1) 3M의 사업 조직
3M의 조직은 7개의 주요 사업(Business)과 40여개의 사업단위(Division)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용 사업 (Industrial Business)
의료 사업 (Health Care Business)
소비자 및 오피스 사업 (Consumer and Office Business)
디스플레이 및 그래픽 사업 (Display and Graphics Business)
전자 및 커뮤니케이션 사업 (Electro and Communications Business)
안전 및 프로텍션 서비스 시장 ( Safety, Security and Protection Services Business)
운송 사업 (Transportation Business)
(2)연혁과 신제품개발
1920년-세계 최초의 방수용 샌드페이퍼를 개발방수용 샌드페이퍼는 자동차 제조 과정에서 공중의 먼지를 줄여주는 제품으로서 공정 과정에서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공장 근로자들의 건강을 위해서도 획기적인 기여를 한 제품이었다.
1925년-3M의 두 번째 혁신제품 마스킹 테이프는 3M의 사업이 다양화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을 뿐 아니라, 스카치® 브랜드 테이프의 기원이 된다.
여러 해를 거치면서 기술적인 진보는 박스 포장용 스카치® 셀로판 테이프로 이어졌으며, 이 기술들은 곧 수백 가지 용도로 응용.
1940년대-3M은 방위산업용 소재들을 생산. 이는 고속도로용 스카치라이트™ 반사시트, 마그네틱 음성녹음용 테이프, 필라멘트 접착 테이프 생산으로 이어졌으며, 3M이 오프셋 인쇄판 및 그래픽 산업에 진출하게 된 계기가 된다.
1950년대-3M은 써모-팩스™ 복사 프로세스, 스카치 가드™ 섬유보호제, 비디오테이프, 스카치-브라이트® 클리닝 패드와 함께 전자/전기 및 기계 관련 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새로운 제품들을 소개하였다.
1960년대- 드라이-실버 마이크로 필름, 사진용 제품, 카본리스 종이, OHP 시스템과 함께 의료 및 치과 제품들을 소개하였다.
1970 ~1980년대- 의약품과 방사선 의학품, 에너지 관련 제품, 사무용품 등 다양한 3M 제품들이 전세계로 뻗어나갔다.
1990년대- 혁신적인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매출액 150억 달러를 달성. 면역 의약품, 전자 디스플레이 제품용 휘도강화필름, 잉크젯 프린터와 핸드폰 등의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연성회로 등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었다.
1990년대- 개인 정보 보호와 눈부심 방지, 전자파 차단 기능을 접목시킨 최초의 컴퓨터 스크린 악세서리 3M™ 프라이버시 플러스 필터, CFC가 첨가되지 않은 세계 최초의 천식환자용 인공호흡기, 3M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마이크로 리플리케이션 기술을 적용한 연마재 제품들을 출시.
2004년- 혁신적인 제품들의 공헌에 힘입어 성장한 3M은 매출액 200억 달러를 돌파하였고 최근 가장 혁신적인 제품으로는 포스트-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7.22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07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