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2
1. 품질관리의 개념 ------------------------ 2
2. 모토로라 기업소개 ------------------------ 2
3. 모토로라의 연혁 ------------------------- 2
4. 모토로라의 한국시장 점유 ------------------- 3
Ⅲ. 사례 논의 ------------------------- 4
1. 모토로라 품질실패 기사---------------------- 4
2. 모토로라 품질실패 원인 --------------------- 6
① 신제품/ 신개발 투자 미비
② 부실한 서비스
③ 브랜드 이미지의 구축 실패
④ 홍보의 미흡
⑤ 차세대 트렌드 세터로서의 역할 실패
⑥ 너무나 많은 것을 시도한 나머지 시기 흐름을 놓친 출시 전략
3. 모토로라 품질실패 대안 --------------------- 9
① 한국 지사의 위상을 제고, 우수인력 확보
② 적극적인 홍보
③ CDMA분야 R&D투자를 늘린다.
Ⅳ. 결론 --------------------------- 10
Ⅴ. 참고문헌 --------------------------- 10
Ⅵ. 작성후기 --------------------------- 11
Ⅱ. 이론적 배경 ------------------------- 2
1. 품질관리의 개념 ------------------------ 2
2. 모토로라 기업소개 ------------------------ 2
3. 모토로라의 연혁 ------------------------- 2
4. 모토로라의 한국시장 점유 ------------------- 3
Ⅲ. 사례 논의 ------------------------- 4
1. 모토로라 품질실패 기사---------------------- 4
2. 모토로라 품질실패 원인 --------------------- 6
① 신제품/ 신개발 투자 미비
② 부실한 서비스
③ 브랜드 이미지의 구축 실패
④ 홍보의 미흡
⑤ 차세대 트렌드 세터로서의 역할 실패
⑥ 너무나 많은 것을 시도한 나머지 시기 흐름을 놓친 출시 전략
3. 모토로라 품질실패 대안 --------------------- 9
① 한국 지사의 위상을 제고, 우수인력 확보
② 적극적인 홍보
③ CDMA분야 R&D투자를 늘린다.
Ⅳ. 결론 --------------------------- 10
Ⅴ. 참고문헌 --------------------------- 10
Ⅵ. 작성후기 --------------------------- 11
본문내용
고만을 주력 홍보 수단으로 삼았으며 신제품 개발 또한 삼성전자에 못미쳤다. 그 결과 소비자들은 자신의 기호를 충족시켜주는 애니콜 핸드폰에 더 매료되었다. 그리고 모토로라는 싸고 기능이 떨어지는 핸드폰이라는 이미지로 굳어지게 되었다.
④ 홍보의 미흡
모토로라는 광고 이외의 홍보마케팅(길거리 홍보나 시연회 등)을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모토로라가 주 이미지로 삼고있는 고급스러움을 잃지 않기 위해서다. 이러한 전략이 미성숙 단계의 초기 한국 핸드폰 시장에서는 문제가 될 소지가 없었다. 오히려 모토로라의 고습스러운 이미지에 걸맞는 전략이었다. 그러나 90년대 후반부터 이미 성숙화 단계에 이르기 시작한 한국의 핸드폰 시장과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한국 소비자들의 성향이 맞물리면서 핸드폰 시장에서 삼섬,LG,모토로라 등의 업체들의 엄청난 물량 공세가 시작되었다. 끊임없이 새로워지는 핸드폰 기능과 디자인의 다양성은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선택의 폭을 넓혀 주었으며 이에따라 이제는 기업들이 소비자가 자신의 제품을 알아주고 선택해 주기를 기다리는 소극적인 방식의 홍보로는 제품을 팔기 힘드 상황에 이르렀다.
그래서 기업이 소비자를 찾아가는 좀 더 적극적인 마케팅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삼성과 LG는 신제품이 나올 때마다 길거리 홍보나 타 메체를 이용하여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알리는 대대적인 홍보를 벌이는 전략을 활용했다. 그러한 홍보 전략은 늘 새로운 것에 목말라하는 한국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었고 결구 그들의 발목을 잡고 지갑을 열게 만든 것이다.
결국 모토로라는 변화하는 한국 핸드폰 시장의 급속한 고도화와 한국 소비자들의 성향을 정확히 분석하지 못함으로써 홍보면에 있어서 현지화에 실패하였고 이에따라 초기 고급스럽고 세련됐던 모토로라의 이미지가 낮은 기능과 가격의 제품이라는 이미지로까지 추락하게 되었다.
⑤ 차세대 트렌드 세터로서의 역할 실패
문제는 모토로라가 클랙식한 요소에 너무 의존한 나머지, 레이저 출시 이후 제품들이 너무 레이저를 닮은 (RAZR-Like) 유사 제품이 돼버렸다는 것이다. 레이저 이루 시장을 이끌 만한 흐름을 개발해 내지 못했다.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하나의 디자인으로 채우려 하였다.
⑥ 너무나 많은 것을 시도한 나머지 시기 흐름을 놓친 출시 전략
모토로라 북경에 있는 연구 개발 센터에서 리눅스 단말기를 개발해 모토밍(MOTO MING)이라는 인기 스마트폰을 내놨지만, 중화권에만 판매했고, 모토 Q (MOTO Q)모델은 3G 모델이 출시가 지연되면서 시장흐름을 놓쳤다.
이는 너무 많은 것을 한꺼번에 하려고 했기 때문에 시장 대처 능력이 떨어뜨려 모토로라의 품질관리 실패로 이어졌다.
3. 모토로라 품질실패 대안
① 한국 지사의 위상을 제고, 우수인력 확보
모토로라에서는 한국 시장을 전 세계 휴대폰 시장의 하나로 시장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신제품의 테스트 장소의 역할로서의 장소로서 인식하고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부각 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한국 시장은 현재 전 세계 수위의 있는 경쟁사가 존재하고 세계 최첨단 유행을 걷는 단말기가 가장 빠르게 나오는 시장인데다 한국 소비자들은 3세대 이동통신동여상 서비스, 카메라폰, 캠코더폰등 모두 사용해본 고급 사용자들이다.
그러므로 모토로라는 한국 시장의 위상을 제고하고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우수 인력을 확보하여 한국 시장 공략에 나서야 한다.
② 적극적인 홍보
모토로라는 길거리 홍보 및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잘 하지 않는다.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고급스런 이미지를 살리고자 하는 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맞지 않는다.
그러므로 모토로라는 다른 기업의 홍보 활동을 벤치마킹하여 세계 상황에 맞는 적극적이고 확실한 마케팅을 해야 한다.
③ CDMA분야 R&D투자를 늘린다.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유럽형 GMS방식이 70%로 비중이 높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미국 그리고 신흥시장 중국에서 CDMA방식의 휴대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CDMA시장의 진원지이고 모토로라가 전세계에서 경쟁하고 있는 삼성과 LG의 주요무대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그래서 모토로라는 한국을 CDMA휴대폰 시장의 R&D분야 중심지로 육성하고 지속적인 투자를 하여야 한다.
Ⅳ. 결론
모토로라의 실패의 가장 큰 원인분석으로 나온 것은, 큰 성공 뒤 뒤이어 터지지 않는 후속타로 분석되고 있다. 즉, 2005년 대박을 터트린 ‘레이저(RAZR)’ 시리즈 이후 자만심과 안일함이 가장 큰 원인이다. 이는 품질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모토로라의 가장 강력한 경쟁업체인 삼성전자는 2주에 한 제품 꼴로 신제품을 연구, 개발 하여 지속적으로 품질관리를 하며 고객만족을 이끌어 내고 있다.
21세기가 시작된 오늘날 세계 기업에서 품질관리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
무한경쟁의 새로운 시대에서 품질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고객에게 외면당하며 시장에서 사라지고 말 것이다.
제품은 생산에서 소비되기 까지 다양한 단계를 거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이 품질관리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품질관리가 제대로 된 상품과 그렇지 않은 상품은 결국 시장에서 극단적인 평가를 받게 됨으로써 기업의 손실 나아가 국가적 손실을 입히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상품의 설계, 제조, 유통 과정 등 모든 기업 활동에서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얼마나 큰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모토로라도 뒤늦게 품질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실수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실행하고 있다. 실패 뒤에 이어지는 성공이 더 값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의 모토로라를 관심을 갖고 지켜 볼 것이다.
Ⅴ. 참고문헌
1. 강박유 저 / 혁신 품질경영론 / 지구문화사 / 2004
2. 박영택 저 / 품질경영론 / 박영사 / 2001
3. 박재흥저 / 현대 품질경영론 / 박영사 / 2007
4. 서명덕기자 / “모토로라, ‘전통’에 집착하다 시장 흐름 놓쳐”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2008
5. 이경종저 / 품질경영실무(기업의 품직혁신활동 사례중심) / 한올출판사 / 2009
④ 홍보의 미흡
모토로라는 광고 이외의 홍보마케팅(길거리 홍보나 시연회 등)을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모토로라가 주 이미지로 삼고있는 고급스러움을 잃지 않기 위해서다. 이러한 전략이 미성숙 단계의 초기 한국 핸드폰 시장에서는 문제가 될 소지가 없었다. 오히려 모토로라의 고습스러운 이미지에 걸맞는 전략이었다. 그러나 90년대 후반부터 이미 성숙화 단계에 이르기 시작한 한국의 핸드폰 시장과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한국 소비자들의 성향이 맞물리면서 핸드폰 시장에서 삼섬,LG,모토로라 등의 업체들의 엄청난 물량 공세가 시작되었다. 끊임없이 새로워지는 핸드폰 기능과 디자인의 다양성은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 선택의 폭을 넓혀 주었으며 이에따라 이제는 기업들이 소비자가 자신의 제품을 알아주고 선택해 주기를 기다리는 소극적인 방식의 홍보로는 제품을 팔기 힘드 상황에 이르렀다.
그래서 기업이 소비자를 찾아가는 좀 더 적극적인 마케팅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삼성과 LG는 신제품이 나올 때마다 길거리 홍보나 타 메체를 이용하여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알리는 대대적인 홍보를 벌이는 전략을 활용했다. 그러한 홍보 전략은 늘 새로운 것에 목말라하는 한국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었고 결구 그들의 발목을 잡고 지갑을 열게 만든 것이다.
결국 모토로라는 변화하는 한국 핸드폰 시장의 급속한 고도화와 한국 소비자들의 성향을 정확히 분석하지 못함으로써 홍보면에 있어서 현지화에 실패하였고 이에따라 초기 고급스럽고 세련됐던 모토로라의 이미지가 낮은 기능과 가격의 제품이라는 이미지로까지 추락하게 되었다.
⑤ 차세대 트렌드 세터로서의 역할 실패
문제는 모토로라가 클랙식한 요소에 너무 의존한 나머지, 레이저 출시 이후 제품들이 너무 레이저를 닮은 (RAZR-Like) 유사 제품이 돼버렸다는 것이다. 레이저 이루 시장을 이끌 만한 흐름을 개발해 내지 못했다.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하나의 디자인으로 채우려 하였다.
⑥ 너무나 많은 것을 시도한 나머지 시기 흐름을 놓친 출시 전략
모토로라 북경에 있는 연구 개발 센터에서 리눅스 단말기를 개발해 모토밍(MOTO MING)이라는 인기 스마트폰을 내놨지만, 중화권에만 판매했고, 모토 Q (MOTO Q)모델은 3G 모델이 출시가 지연되면서 시장흐름을 놓쳤다.
이는 너무 많은 것을 한꺼번에 하려고 했기 때문에 시장 대처 능력이 떨어뜨려 모토로라의 품질관리 실패로 이어졌다.
3. 모토로라 품질실패 대안
① 한국 지사의 위상을 제고, 우수인력 확보
모토로라에서는 한국 시장을 전 세계 휴대폰 시장의 하나로 시장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신제품의 테스트 장소의 역할로서의 장소로서 인식하고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부각 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한국 시장은 현재 전 세계 수위의 있는 경쟁사가 존재하고 세계 최첨단 유행을 걷는 단말기가 가장 빠르게 나오는 시장인데다 한국 소비자들은 3세대 이동통신동여상 서비스, 카메라폰, 캠코더폰등 모두 사용해본 고급 사용자들이다.
그러므로 모토로라는 한국 시장의 위상을 제고하고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우수 인력을 확보하여 한국 시장 공략에 나서야 한다.
② 적극적인 홍보
모토로라는 길거리 홍보 및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잘 하지 않는다.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고급스런 이미지를 살리고자 하는 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맞지 않는다.
그러므로 모토로라는 다른 기업의 홍보 활동을 벤치마킹하여 세계 상황에 맞는 적극적이고 확실한 마케팅을 해야 한다.
③ CDMA분야 R&D투자를 늘린다.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유럽형 GMS방식이 70%로 비중이 높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미국 그리고 신흥시장 중국에서 CDMA방식의 휴대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CDMA시장의 진원지이고 모토로라가 전세계에서 경쟁하고 있는 삼성과 LG의 주요무대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그래서 모토로라는 한국을 CDMA휴대폰 시장의 R&D분야 중심지로 육성하고 지속적인 투자를 하여야 한다.
Ⅳ. 결론
모토로라의 실패의 가장 큰 원인분석으로 나온 것은, 큰 성공 뒤 뒤이어 터지지 않는 후속타로 분석되고 있다. 즉, 2005년 대박을 터트린 ‘레이저(RAZR)’ 시리즈 이후 자만심과 안일함이 가장 큰 원인이다. 이는 품질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모토로라의 가장 강력한 경쟁업체인 삼성전자는 2주에 한 제품 꼴로 신제품을 연구, 개발 하여 지속적으로 품질관리를 하며 고객만족을 이끌어 내고 있다.
21세기가 시작된 오늘날 세계 기업에서 품질관리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
무한경쟁의 새로운 시대에서 품질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고객에게 외면당하며 시장에서 사라지고 말 것이다.
제품은 생산에서 소비되기 까지 다양한 단계를 거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이 품질관리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품질관리가 제대로 된 상품과 그렇지 않은 상품은 결국 시장에서 극단적인 평가를 받게 됨으로써 기업의 손실 나아가 국가적 손실을 입히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상품의 설계, 제조, 유통 과정 등 모든 기업 활동에서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얼마나 큰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모토로라도 뒤늦게 품질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실수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실행하고 있다. 실패 뒤에 이어지는 성공이 더 값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의 모토로라를 관심을 갖고 지켜 볼 것이다.
Ⅴ. 참고문헌
1. 강박유 저 / 혁신 품질경영론 / 지구문화사 / 2004
2. 박영택 저 / 품질경영론 / 박영사 / 2001
3. 박재흥저 / 현대 품질경영론 / 박영사 / 2007
4. 서명덕기자 / “모토로라, ‘전통’에 집착하다 시장 흐름 놓쳐”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 2008
5. 이경종저 / 품질경영실무(기업의 품직혁신활동 사례중심) / 한올출판사 / 2009
추천자료
품질관리제도 : 총체적 품질관리(TQM)와 6시그마, 정책품질관리메뉴얼
[TQM][총체적품질경영][품질경영][총체적품질관리][[TQM사례][총체적품질경영사례][총체적품...
운영관리상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서비스운영관리
서비스 운영관리
[품질관리] 품질의 개념, 품질관리의 의의와 발전과정, 전사적 품질경영
[품질경영] 품질경영(QM : quality management)의 목표, 무결점운동, 품질관리서클(QCC, QC분...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_ 유아교육기관운영의 원리와 운영관리의 과정, 보육 및 교육기관 운영...
정책政策품질관리제도의 의의와 정책품질관리의 체계 및 정책품질관리제도 추진상의 이슈
[생산운영] 동서식품 Competitive Advantage of OSCM For DongSuh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