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비만의 분류
Ⅰ. 발생원인에 따른 분류
1. 단순비만
2. 증후성 비만
Ⅱ. 발생시기에 따른 분류
1. 소아비만
2. 성인비만
Ⅲ. 지방조직의 형태에 따른 분류
1. 지방세포 증식형
2. 지방세포 비대형
3. 혼합형
Ⅳ. 지방분포부위에 따른 분류
1. 상반신 비만
2. 하반신 비만
Ⅴ. 지방의 체내분포형태에 따른 분류
1. 내장지방형 비만
2. 피하지방형 비만
* 참고문헌
Ⅰ. 발생원인에 따른 분류
1. 단순비만
2. 증후성 비만
Ⅱ. 발생시기에 따른 분류
1. 소아비만
2. 성인비만
Ⅲ. 지방조직의 형태에 따른 분류
1. 지방세포 증식형
2. 지방세포 비대형
3. 혼합형
Ⅳ. 지방분포부위에 따른 분류
1. 상반신 비만
2. 하반신 비만
Ⅴ. 지방의 체내분포형태에 따른 분류
1. 내장지방형 비만
2. 피하지방형 비만
*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의 성인비만에 해당한다. 치료 시 증식형
비만보다는 치료효과가 좋고 재발의 위험성이 좋다.
3) 혼합형(hypertrophy and hyperplasity)
성인이 된 후 비만해졌을 때라도 체지방량이 30kg이 넘는 중증 비만인은 지방
세포의 크기도 커지고, 수가 증가하는 혼합형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미 존재해 있
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최대에 이르면 지방세포의 수가 늘어난다.
4. 지방분포부위에 따를 분류
1) 상반신 비만(upper body obesity)
비만인의 모습이 사과처럼 위가 불룩하기 때문에 사과형이라고도 부른다. 복부
에 지방이 집중적으로 축적되어 있어서 복부비만 또는 중심성 비만이라고도 한다.
W/H(W : Weight, H : Heigt)비가 높은 경우이며, 남성에게 많고 혈청지질이 높
아 당뇨병, 고지혈증 등을 유발하며, 성인병 발병률이 높다.
2) 하반신 비만(lower body obesity)
비만인의 모습이 서양배처럼 아래 부분이 불룩한 비만이다. 사지형 비만이라고
도 하며 여성에게 주로 많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체지방이 주로 엉덩이 및 대퇴부
에 집중적으로 축적되어 있다.
5. 지방의 체내분포형태에 따른 분류
1) 내장지방형 비만
복강 내의 내장지방이 과잉축적된 형태의 비만으로, 내장지방이 증가하는 원인
은 유전, 연령증가, 과식, 운동부족 등이 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내장지방이 더
많고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며, 여성에게는 폐경 후에 현저하게 증가한다. 내장지방
형 비만은 피하지방형 비만에 비하여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대사이상과 고혈압,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
2) 피하지방형 비만
지방이 피하에 과잉 축적된 형태의 비만으로, 주로 성장기에 살이 절 경우에 피
하지방형 비만이 되는 경우가 많다. 피하지방형 비만은 미용상의 문제는 되겠지만
성인병 유발 등 건강적 측면에서 본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미용적으
로는 문제가 되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하여 주로 빼려고 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 참고문헌
- 강병우(2005). 공중보건학. 현문사
- 강흥구(2004). 의료사회복지실천론. 학현사
- 고수현 외(2002). 사회복지개론. 대학출판사
- 박노예(1993). 보건교육. 수문사
- 이영호(2002). 정신건강론. 학현사
- 양봉민(1999). 보건경제학. 나남출판
- 보건복지부(2007). 보건복지백서 2007
- 김문주 외(2000). 전신관리학. 청구문화사
비만보다는 치료효과가 좋고 재발의 위험성이 좋다.
3) 혼합형(hypertrophy and hyperplasity)
성인이 된 후 비만해졌을 때라도 체지방량이 30kg이 넘는 중증 비만인은 지방
세포의 크기도 커지고, 수가 증가하는 혼합형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미 존재해 있
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최대에 이르면 지방세포의 수가 늘어난다.
4. 지방분포부위에 따를 분류
1) 상반신 비만(upper body obesity)
비만인의 모습이 사과처럼 위가 불룩하기 때문에 사과형이라고도 부른다. 복부
에 지방이 집중적으로 축적되어 있어서 복부비만 또는 중심성 비만이라고도 한다.
W/H(W : Weight, H : Heigt)비가 높은 경우이며, 남성에게 많고 혈청지질이 높
아 당뇨병, 고지혈증 등을 유발하며, 성인병 발병률이 높다.
2) 하반신 비만(lower body obesity)
비만인의 모습이 서양배처럼 아래 부분이 불룩한 비만이다. 사지형 비만이라고
도 하며 여성에게 주로 많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체지방이 주로 엉덩이 및 대퇴부
에 집중적으로 축적되어 있다.
5. 지방의 체내분포형태에 따른 분류
1) 내장지방형 비만
복강 내의 내장지방이 과잉축적된 형태의 비만으로, 내장지방이 증가하는 원인
은 유전, 연령증가, 과식, 운동부족 등이 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내장지방이 더
많고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며, 여성에게는 폐경 후에 현저하게 증가한다. 내장지방
형 비만은 피하지방형 비만에 비하여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대사이상과 고혈압,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
2) 피하지방형 비만
지방이 피하에 과잉 축적된 형태의 비만으로, 주로 성장기에 살이 절 경우에 피
하지방형 비만이 되는 경우가 많다. 피하지방형 비만은 미용상의 문제는 되겠지만
성인병 유발 등 건강적 측면에서 본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미용적으
로는 문제가 되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하여 주로 빼려고 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 참고문헌
- 강병우(2005). 공중보건학. 현문사
- 강흥구(2004). 의료사회복지실천론. 학현사
- 고수현 외(2002). 사회복지개론. 대학출판사
- 박노예(1993). 보건교육. 수문사
- 이영호(2002). 정신건강론. 학현사
- 양봉민(1999). 보건경제학. 나남출판
- 보건복지부(2007). 보건복지백서 2007
- 김문주 외(2000). 전신관리학. 청구문화사
추천자료
이혼이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해결방안
청소년 유해간행물(만화,잡지)의 영향과 유통실태 및 개선방안
FTA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방안
한미FTA관련 한국농업부분의 영향과 대책방안
[환경영향평가제도]환경영향평가제도의 정의, 환경영향평가제도의 발달과정과 환경영향평가제...
성차별이란 무엇인가 (영향과 해결방안)
[★우수레포트★](가정폭력 사례관리) 가정폭력의 개념,가정폭력의 원인, 가정폭력특징, 미치는...
[식품영양학] 환경 호르몬에 대해서 (환경 호르몬의 정의, 환경 호르몬의 종류, 환경 호르몬...
트위터의 특징,트위터 정치적 이슈,소셜미디어, SNS특성,SNS는 스마트폰과의 결합,리트윗 기...
일본의 소프트 파워,일본 문화 전략,일본 문화의 영향력,일본 정부의 문화정책,일본의 애니메...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양육자 부재 및 잦은 교체상황이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개...
[트럼프 경제정책] 트럼프 대통령 경제정책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 정책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