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교원의 권리와 의무
Ⅰ. 권리
Ⅱ. 의무
1. 선서의 의무
2. 성실의 의무
3. 복종의 의무
4. 친절, 공정의 의무
5. 청렴의 의무
6. 비밀엄수의 의무
7. 품위유지의 의무
* 참고문헌
Ⅰ. 권리
Ⅱ. 의무
1. 선서의 의무
2. 성실의 의무
3. 복종의 의무
4. 친절, 공정의 의무
5. 청렴의 의무
6. 비밀엄수의 의무
7. 품위유지의 의무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안 되
기 때문이다.
4) 친절 공정의 의무
공무원은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친절 공정하게 집무해야 한다.
5) 청렴의 의무
공무원은 직무와 관련하여 직접 또는 간접을 불문하고 사례 증여 또
는 향응을 수수할 수 없다. 즉 공무원은 직무상의 관계여하를 불문하고
그 소속 상위자에게 증여하거나 소속공무원으로부터 증여를 받아서는 안
된다.
6) 비밀엄수의 의무
공무원은 재직 중은 물론 퇴직 후에도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엄수하여
야 한다. 직무상의 비밀은 자신이 처리하는 직무에 관한 비밀뿐만 아니라
직무수행 중 알게 된 비밀도 포함된다. 비밀엄수의 의무를 위반할 경우에
는 징계의 사유가 될 뿐만 아니라, 법령에 의한 직무상의 비밀을 누설한
경우에는 형법상의 범죄를 구성하기도 한다.
7) 품위유지의 의무
공무원은 직무의 내 외를 불문하고 그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해서
는 안 된다. 공무원의 품위유지의 의무는 공적 임무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사생활까지도 포함하는 의무라고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기술한 공무원의 의무는 교육공무원법에는 교원의 의무에 관
한 사항이 모두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국가공무원법이 규정을 준용
하고 있다.
이외에도 교육공무원은 부단히 연구와 수양에 힘써야 한다는 점, 영리
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거나 소속기관장의 허가 없이 겸직할 수
없다는 점, 정당이나 정치단체에 관여하거나 가입하지 못하며 선거에 있
어서 특정정당이나 특정인을 지지 또는 반대하기 위한 정치활동을 할 수
없다는 점 등의 규제가 있다.
교육공무원은 자기의 의무를 사랑하고 이러한 복무의무의 준수에 솔선
수범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공무원 복무와 관련된 당직근무, 출장, 근무시간, 휴가 등에
관한 사항을 살펴본다.
모든 기관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당직근무제가 행해지고 있다. 당직근무
자는 모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야 하며 사고가 발생한 때는 신속한 조
치를 취하여야 한다.
출장이란, 공적인 용무를 띠고 일정기간 직장을 떠나 여행하는 것을 뜻
한다. 출장은 사무적인 용무를 띠는 경우가 있는데 출장공무원은 소정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학교의 휴업일은 관공서의 공휴일과 감독청 또는 학칙에서 정하는 하
기, 동기, 학기말 및 농번기의 휴가 또는 개교기념일로 되어 있으며, 학교
를 포함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규정되어 있다.
공무원의 휴가는 연가, 병가, 공가 및 특별휴가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연가일수, 병가, 공가, 특별휴가에 관한 구체적 사항은 공무원 복
무규정 제15조 내지 제20조에 각각 규정되어 있다.
* 참고문헌
- 김종철(1982).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 왕기황(1997). 교육조직론. 집문당
- 윤정일 외(1995). 교육재정론. 서울: 도서출판 하우
- 김정한 외(2004). 교육행정 및 경영의 이해. 서울: 형성출판사
- 박성식(1998). 교육행정관리론. 서울: 학지사
- 오석홍(1983). 인사행정론. 서울: 박영사
- 이학종. 조직행동론 -이론과 실제연구- 서울: 세경사
기 때문이다.
4) 친절 공정의 의무
공무원은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 친절 공정하게 집무해야 한다.
5) 청렴의 의무
공무원은 직무와 관련하여 직접 또는 간접을 불문하고 사례 증여 또
는 향응을 수수할 수 없다. 즉 공무원은 직무상의 관계여하를 불문하고
그 소속 상위자에게 증여하거나 소속공무원으로부터 증여를 받아서는 안
된다.
6) 비밀엄수의 의무
공무원은 재직 중은 물론 퇴직 후에도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엄수하여
야 한다. 직무상의 비밀은 자신이 처리하는 직무에 관한 비밀뿐만 아니라
직무수행 중 알게 된 비밀도 포함된다. 비밀엄수의 의무를 위반할 경우에
는 징계의 사유가 될 뿐만 아니라, 법령에 의한 직무상의 비밀을 누설한
경우에는 형법상의 범죄를 구성하기도 한다.
7) 품위유지의 의무
공무원은 직무의 내 외를 불문하고 그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해서
는 안 된다. 공무원의 품위유지의 의무는 공적 임무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사생활까지도 포함하는 의무라고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기술한 공무원의 의무는 교육공무원법에는 교원의 의무에 관
한 사항이 모두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국가공무원법이 규정을 준용
하고 있다.
이외에도 교육공무원은 부단히 연구와 수양에 힘써야 한다는 점, 영리
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거나 소속기관장의 허가 없이 겸직할 수
없다는 점, 정당이나 정치단체에 관여하거나 가입하지 못하며 선거에 있
어서 특정정당이나 특정인을 지지 또는 반대하기 위한 정치활동을 할 수
없다는 점 등의 규제가 있다.
교육공무원은 자기의 의무를 사랑하고 이러한 복무의무의 준수에 솔선
수범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공무원 복무와 관련된 당직근무, 출장, 근무시간, 휴가 등에
관한 사항을 살펴본다.
모든 기관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당직근무제가 행해지고 있다. 당직근무
자는 모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야 하며 사고가 발생한 때는 신속한 조
치를 취하여야 한다.
출장이란, 공적인 용무를 띠고 일정기간 직장을 떠나 여행하는 것을 뜻
한다. 출장은 사무적인 용무를 띠는 경우가 있는데 출장공무원은 소정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학교의 휴업일은 관공서의 공휴일과 감독청 또는 학칙에서 정하는 하
기, 동기, 학기말 및 농번기의 휴가 또는 개교기념일로 되어 있으며, 학교
를 포함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규정되어 있다.
공무원의 휴가는 연가, 병가, 공가 및 특별휴가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연가일수, 병가, 공가, 특별휴가에 관한 구체적 사항은 공무원 복
무규정 제15조 내지 제20조에 각각 규정되어 있다.
* 참고문헌
- 김종철(1982).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 왕기황(1997). 교육조직론. 집문당
- 윤정일 외(1995). 교육재정론. 서울: 도서출판 하우
- 김정한 외(2004). 교육행정 및 경영의 이해. 서울: 형성출판사
- 박성식(1998). 교육행정관리론. 서울: 학지사
- 오석홍(1983). 인사행정론. 서울: 박영사
- 이학종. 조직행동론 -이론과 실제연구- 서울: 세경사
추천자료
이혼이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해결방안
청소년 유해간행물(만화,잡지)의 영향과 유통실태 및 개선방안
FTA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방안
한미FTA관련 한국농업부분의 영향과 대책방안
[환경영향평가제도]환경영향평가제도의 정의, 환경영향평가제도의 발달과정과 환경영향평가제...
성차별이란 무엇인가 (영향과 해결방안)
[★우수레포트★](가정폭력 사례관리) 가정폭력의 개념,가정폭력의 원인, 가정폭력특징, 미치는...
[식품영양학] 환경 호르몬에 대해서 (환경 호르몬의 정의, 환경 호르몬의 종류, 환경 호르몬...
트위터의 특징,트위터 정치적 이슈,소셜미디어, SNS특성,SNS는 스마트폰과의 결합,리트윗 기...
일본의 소프트 파워,일본 문화 전략,일본 문화의 영향력,일본 정부의 문화정책,일본의 애니메...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양육자 부재 및 잦은 교체상황이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개...
[트럼프 경제정책] 트럼프 대통령 경제정책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 정책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