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대구지역의 전체적인 경제현황과 산업현황
2. 본론
- 섬유산업
과거부터 현재 대구지역의 섬유산업의 현황고 국제화방안
대구시의 섬유국제화전략 (2004년 전ㆍ후)
- IT 산업
대구지역 IT산업의 현황과 역할
대구 테크노파크의 역할 및 미래
- 대구 섬유산업과 IT산업의 국제화전략비교
3. 결론
지방의 세계화방안 및 나아가야 할 방향제시
대구지역의 전체적인 경제현황과 산업현황
2. 본론
- 섬유산업
과거부터 현재 대구지역의 섬유산업의 현황고 국제화방안
대구시의 섬유국제화전략 (2004년 전ㆍ후)
- IT 산업
대구지역 IT산업의 현황과 역할
대구 테크노파크의 역할 및 미래
- 대구 섬유산업과 IT산업의 국제화전략비교
3. 결론
지방의 세계화방안 및 나아가야 할 방향제시
본문내용
IMERIC(예비 GOLD ROCK)
참여품목 : 17개품목(스포츠의류, 남성의류, 여성의류, 넥타이, 와이셔츠, 내의, 양말, 스타킹, 손수건, 침장류, 커튼류, 매직글러브, 우산양산, 귀금속장신구, 구두, 목공예, 알루미늄, 주방용품)
참여업체 : 18개업체(품목당 1~2개업체)
사 업 비 : 1,400백만원
그 동안 추진내용 - 대구시 공동브랜드 개발 및 확정 : ‘96. 12월에 이루어짐
대표브랜드 : CHIMERIC(쉬메릭)『꿈같은』,『환상적인』뜻의 고급스럽고 세련된 느낌.
국내ㆍ외 상표출원
┌ 국 내 : ‘96. 12월(상표권자 : 대구광역시장)
└ 해 외 : ‘97. 5.~’98. 6.
출원국(11개국) : 미국, 영국, 독일, 일본, 홍콩, 싱가폴, 캐나다, 이태리,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UAE
공동브랜드 관리협의회 구성 : ‘97. 3월
위 원 : 11명(교수2, 관련기관6, 상의1, 대구시1, 쉬메릭협의회1)
쉬메릭 BI(심볼, 로고 등)규정집 발간 : ‘97. 10월
심볼, 로고 등 디자인 개발 완료 및 규정집 발간
참여품목 및 업체수 선정 : ‘97 ~2002. 9월
품목 확대 및 업체수 선정(5차례 실시)
● 해외홍보
해외 전문무역 홍보지(Korea Export지 등), 영문 카다로그 제작 배부ㆍ『쉬메릭 홍보관』개설
각종 국제행사(2002 월드컵 등)전시ㆍ홍보관(20개소) 운영
● 2003 추진계획
브랜드 이미지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
언론매체 및 광고매체를 통한 홍보
2003하계U대회『쉬메릭』홍보 : 선수촌, 경기장 주변 홍보관 설치
대구시민프로축구단 홍보 : 전국적 인지도 확대
각종 국제행사「전시ㆍ홍보관」설치 홍보
해외홍보 강화(무역협회, KOTRA를 통한 홍보)
2. 섬유산업의 국제화를 위한 2004년부터의 방안
● 2단계 밀라노프로젝트 추진(2004~2008)
밀라노프로젝트(‘99~’03) 추진으로 대구전시컨벤션센터, 패션디자인개발지원센터 등 H/W시설 대부 분 완료
2단계 밀라노프로젝트는 H/W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 등 S/W에 집중 투자하여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의 다품종 소량 생산체제로 지역섬유산업의 구조전환 촉진 및 국제경쟁력 강화
● 1단계 밀라노프로젝트 차질 없는 마무리(7개사업, 6,800억원) 및 섬유산업의 구조전환 촉진 및 경쟁 력 강화를 위한 2단계 밀라노프로젝트 추진(16개사업 1,471억원)
2단계 밀라노프로젝트 기본계획(안) 정부 제출(2003. 4월) 및 기본계획안 확정(2004. 2월)
섬유산업 공정별 연구개발 사업과제 공모(2004. 5월)
● 대구산업 및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과 구체적인 발전전략 제시를 위한 대구산업발전계획 수립(2004. 2월), 정부 지역산업진흥 2단계 사업(2004~2008)에 반영 추진
● 지역 섬유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센터 지원 내실화
신제품 개발 지원센터(270억원), 염색디자인실용화센터(270억원) 지원
니트시 제품공장(150억원), 섬유정보지원 센터(125억원) 지원
패션정보실(75억원), 패션디자인 개발지원 센터(203억원) 지원
● 섬유산업을 전략적 지식기반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패션ㆍ어패럴밸리 조성
패션ㆍ어패럴밸리 조성 실시설계 완료(2003. 8월)
편입지구 토지 및 지장물 보상(30%)
봉무동 일원 35만평 조성(‘99~’06, 사업비 3,007억원 : 국비 700, 민자 2,307)
현재 주거용지 보상 및 주택개발사업 MOU체결
04년부터 금호강변도로 중 어패럴밸리 진입도로 건설 추진
04년도 문화재 시굴조사, 기반시설공사 발주, 주거용지 및 산업용지 일부 분양
패션어패럴밸리 담당 조직 신설(1담당, 5명)
● 섬유전시회 개최
제3회 대구국제섬유박람회(PID)
기 간 : 2004. 3. 10~12, EXCO
사업비 : 22억원(국비 1, 시비 13, 민자 8)
※ 2003년 산자부 우수전시회로 선정
제15회 대한민국국제섬유기계전시회(KORTEX) 유치
기 간 : 2004. 5. 11~14, EXCO
사업비 : 12억원(국비 1, 시비 2, 민자 9)
※ 해외바이어 참여 : 800여명
● 연구기관 운영 보조
섬유패션 연구지원기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운영자금을 국비와 연계하여 지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11억원(운영위탁 9, 재산사용 2)
한국염색기술연구소 15억원(사업보조 10, 운영위탁 5)
한국패션센터 9억원(운영위탁 4.7, 재산사용 4.3)
3. 섬유ㆍ패션 산업의 도시 브랜드화 추진
● 패션예술축전(FashionArt In DAEGU)
세계 패션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국제적인 섬유패션도시로 도약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격년제로 개최
대구국제컬렉션 : 세계4대컬렉션 패션디자이너 초청 패션쇼
대구텍스타일아트도큐멘타 : 30개국 텍스타일디자이너 출품 전시
국제섬유패션컨퍼런스 : 각국 섬유패션 전문가 기술정보 교류
행사 준비예산 : 6억원(국비 5, 시비 1)
● 20회 섬유패션축제 개최
젊고 유능한 패션인재 발굴 양성과 시민패션감각 고취를 위해 봄가을 연2회개최 (4억원)
봄행사는 대구컬렉션, 한복패션쇼, 쉬메릭쇼, 세계패션디자인
컨테스트 등 4개종목을 PID와 연계 개최(’04년 시비 2.5억원)
가을행사는 직물과 패션의 만남전, 대학생패션쇼, 학술세미나등 4개 종목 개최(’04년 시비 1.5억원)
4. 중소기업 육성 및 국제교류 증진
기업의 장ㆍ단기 소요자금 적기 지원으로 산업설비 고도화 및 경영안정 도모
정책자금(1,711업체, 4,728억원) 및 운전자금(2,053업체, 3,108억원) 지원
신용보증재단을 통한 보증지원(6,863업체, 2,348억원)
철강재 등 원자재 구입자금 특별지원(150억원, 한국은행)
기업 해외마케팅 활동 지원을 위한 해외시장 정보조사 지원(187개사 44백만원), 해외홍보 및 컨벤션 전문인력 양성(146명), 대구통상아카데미 운영(4회 180명 수료), 수출보험료 지원(180백만원)
국내ㆍ외 투자기업 유치를 위한 국제협력기반 확충과 자매우호도시와의 교류협력 강화
중국 양㎯우시(2003. 3월), 옌
참여품목 : 17개품목(스포츠의류, 남성의류, 여성의류, 넥타이, 와이셔츠, 내의, 양말, 스타킹, 손수건, 침장류, 커튼류, 매직글러브, 우산양산, 귀금속장신구, 구두, 목공예, 알루미늄, 주방용품)
참여업체 : 18개업체(품목당 1~2개업체)
사 업 비 : 1,400백만원
그 동안 추진내용 - 대구시 공동브랜드 개발 및 확정 : ‘96. 12월에 이루어짐
대표브랜드 : CHIMERIC(쉬메릭)『꿈같은』,『환상적인』뜻의 고급스럽고 세련된 느낌.
국내ㆍ외 상표출원
┌ 국 내 : ‘96. 12월(상표권자 : 대구광역시장)
└ 해 외 : ‘97. 5.~’98. 6.
출원국(11개국) : 미국, 영국, 독일, 일본, 홍콩, 싱가폴, 캐나다, 이태리,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UAE
공동브랜드 관리협의회 구성 : ‘97. 3월
위 원 : 11명(교수2, 관련기관6, 상의1, 대구시1, 쉬메릭협의회1)
쉬메릭 BI(심볼, 로고 등)규정집 발간 : ‘97. 10월
심볼, 로고 등 디자인 개발 완료 및 규정집 발간
참여품목 및 업체수 선정 : ‘97 ~2002. 9월
품목 확대 및 업체수 선정(5차례 실시)
● 해외홍보
해외 전문무역 홍보지(Korea Export지 등), 영문 카다로그 제작 배부ㆍ『쉬메릭 홍보관』개설
각종 국제행사(2002 월드컵 등)전시ㆍ홍보관(20개소) 운영
● 2003 추진계획
브랜드 이미지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
언론매체 및 광고매체를 통한 홍보
2003하계U대회『쉬메릭』홍보 : 선수촌, 경기장 주변 홍보관 설치
대구시민프로축구단 홍보 : 전국적 인지도 확대
각종 국제행사「전시ㆍ홍보관」설치 홍보
해외홍보 강화(무역협회, KOTRA를 통한 홍보)
2. 섬유산업의 국제화를 위한 2004년부터의 방안
● 2단계 밀라노프로젝트 추진(2004~2008)
밀라노프로젝트(‘99~’03) 추진으로 대구전시컨벤션센터, 패션디자인개발지원센터 등 H/W시설 대부 분 완료
2단계 밀라노프로젝트는 H/W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 등 S/W에 집중 투자하여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의 다품종 소량 생산체제로 지역섬유산업의 구조전환 촉진 및 국제경쟁력 강화
● 1단계 밀라노프로젝트 차질 없는 마무리(7개사업, 6,800억원) 및 섬유산업의 구조전환 촉진 및 경쟁 력 강화를 위한 2단계 밀라노프로젝트 추진(16개사업 1,471억원)
2단계 밀라노프로젝트 기본계획(안) 정부 제출(2003. 4월) 및 기본계획안 확정(2004. 2월)
섬유산업 공정별 연구개발 사업과제 공모(2004. 5월)
● 대구산업 및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과 구체적인 발전전략 제시를 위한 대구산업발전계획 수립(2004. 2월), 정부 지역산업진흥 2단계 사업(2004~2008)에 반영 추진
● 지역 섬유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센터 지원 내실화
신제품 개발 지원센터(270억원), 염색디자인실용화센터(270억원) 지원
니트시 제품공장(150억원), 섬유정보지원 센터(125억원) 지원
패션정보실(75억원), 패션디자인 개발지원 센터(203억원) 지원
● 섬유산업을 전략적 지식기반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패션ㆍ어패럴밸리 조성
패션ㆍ어패럴밸리 조성 실시설계 완료(2003. 8월)
편입지구 토지 및 지장물 보상(30%)
봉무동 일원 35만평 조성(‘99~’06, 사업비 3,007억원 : 국비 700, 민자 2,307)
현재 주거용지 보상 및 주택개발사업 MOU체결
04년부터 금호강변도로 중 어패럴밸리 진입도로 건설 추진
04년도 문화재 시굴조사, 기반시설공사 발주, 주거용지 및 산업용지 일부 분양
패션어패럴밸리 담당 조직 신설(1담당, 5명)
● 섬유전시회 개최
제3회 대구국제섬유박람회(PID)
기 간 : 2004. 3. 10~12, EXCO
사업비 : 22억원(국비 1, 시비 13, 민자 8)
※ 2003년 산자부 우수전시회로 선정
제15회 대한민국국제섬유기계전시회(KORTEX) 유치
기 간 : 2004. 5. 11~14, EXCO
사업비 : 12억원(국비 1, 시비 2, 민자 9)
※ 해외바이어 참여 : 800여명
● 연구기관 운영 보조
섬유패션 연구지원기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운영자금을 국비와 연계하여 지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11억원(운영위탁 9, 재산사용 2)
한국염색기술연구소 15억원(사업보조 10, 운영위탁 5)
한국패션센터 9억원(운영위탁 4.7, 재산사용 4.3)
3. 섬유ㆍ패션 산업의 도시 브랜드화 추진
● 패션예술축전(FashionArt In DAEGU)
세계 패션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국제적인 섬유패션도시로 도약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격년제로 개최
대구국제컬렉션 : 세계4대컬렉션 패션디자이너 초청 패션쇼
대구텍스타일아트도큐멘타 : 30개국 텍스타일디자이너 출품 전시
국제섬유패션컨퍼런스 : 각국 섬유패션 전문가 기술정보 교류
행사 준비예산 : 6억원(국비 5, 시비 1)
● 20회 섬유패션축제 개최
젊고 유능한 패션인재 발굴 양성과 시민패션감각 고취를 위해 봄가을 연2회개최 (4억원)
봄행사는 대구컬렉션, 한복패션쇼, 쉬메릭쇼, 세계패션디자인
컨테스트 등 4개종목을 PID와 연계 개최(’04년 시비 2.5억원)
가을행사는 직물과 패션의 만남전, 대학생패션쇼, 학술세미나등 4개 종목 개최(’04년 시비 1.5억원)
4. 중소기업 육성 및 국제교류 증진
기업의 장ㆍ단기 소요자금 적기 지원으로 산업설비 고도화 및 경영안정 도모
정책자금(1,711업체, 4,728억원) 및 운전자금(2,053업체, 3,108억원) 지원
신용보증재단을 통한 보증지원(6,863업체, 2,348억원)
철강재 등 원자재 구입자금 특별지원(150억원, 한국은행)
기업 해외마케팅 활동 지원을 위한 해외시장 정보조사 지원(187개사 44백만원), 해외홍보 및 컨벤션 전문인력 양성(146명), 대구통상아카데미 운영(4회 180명 수료), 수출보험료 지원(180백만원)
국내ㆍ외 투자기업 유치를 위한 국제협력기반 확충과 자매우호도시와의 교류협력 강화
중국 양㎯우시(2003. 3월), 옌
키워드
추천자료
항공운송산업의 국제 마케팅전략
국내 벤처산업의 국제화 전략
한국(대구/부산/제주) 컨벤션산업의 현황
문화콘텐츠산업의 국제 경쟁력 및 주요 지역 전략산업별 진출방안
[국제경영]국제 기업의 전략적 제휴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국제경영학]글로벌 물류 산업과 경영전략 분석
미래산업전략 국제회의
산업별 성장, 산업별 생산지수변동과 스펙트럼분석, 산업별 생산변동 총체적 충격과 부문충격...
인적자원개발론(대구도시철도와 산업인력공단)
[일본유통, 일본유통 매출부진, 일본유통 국제비교, 일본유통 물류혁신, 게임산업, 도매업]일...
충청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정책 _ 추진배경 및 주요 내용(광역경제권 발전정책, 선도산업정책)...
[국제경영학] 삼성모바일의 중국 진출전략 (모바일 및 스마트폰 산업의 개요, 삼성모바일 경...
글로벌 경영이란,세계의 글로벌화와 다국적 기업,글로벌기업의 경영관리,글로벌금융환경,정치...
[국제물류론] 산업 집중 전략 - 한 우물만 파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