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평생교육의 동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미국의 평생교육 동향

Ⅰ. 관련법 개관

Ⅱ. 담당기구

Ⅲ. 주요 정책

1. 문해교육 프로그램
2. 성인학위제도
3. 노인 및 은퇴자 교육
4. 전역군인의 은퇴 및 직업 교육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한편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난 사람은 2012년에 66세가
되는데, 그 수가 7, 600만 명으로 추정됨에 따라 그들의 갑작스러운 퇴직으로 인한
취업인력의 부족이 우려되고 있다(평생교육진흥원, 2008).
노인 및 은퇴자 교육과 관련해서는 대학이 지역사회 노인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설립한 은퇴자 학습기구(Institute for Learning in Retirement), 노인들이 10대 청소년들의 맨토가 되거나 컴퓨터를 함께 배우는 등 다른 세대들과 함께 학습공동체
구축을 시도하는 세대간 교육 프로그램(Intergenerational Program), 학습의 기회
를 가지면서 동시에 여행을 즐길 수 있는 노인을 위한 엘더호스텔 교육 프로그램
(Elderhostel Program)등이 있다.
4. 전역군인의 은퇴 및 직업 교육
미국 국방부는 전역군인들에게 은퇴 및 직업 교육을 직접적으로 실시하지 않는
다. 실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은 보훈부(Department of Veterans Affaires)에서 운영하고 있다. 연방정부의 보훈부는 퇴역군인을 위하여 직업재활교육과 특별한 전
문훈련을 지원하며 실시하고 있다. 보훈부의 퇴직서비스국(Retirement Services
Office)은 퇴역을 앞둔 군인과 퇴역군인, 그 가족들을 위한 정보 제공처다. 퇴역군
인들은 퇴직서비스국에 방문하거나 상담을 통하여 퇴직 전후의 삶에 필요한 다양
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퇴역준비 군인과 퇴역군인들은 "제대군인원호법(GI Bill)"에 근거하여 여러 형
태의 교육에 참여할 수 있다. 퇴역군인들은 전문대학이나 대학 등에서 학비지원
을 받으면서 수업을 받을 수 있으며, 트럭운전이나 미용학교 등 비학위기관의 훈
련, 항공훈련, 독학 원격학습 및 인터넷훈련 지원, 창업훈련 등을 위한 교육적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 제대 군인들에게도 취업 또는 직업향상 교육
이 제공될 수 있는 정책의 수립에 시사점이 있다.
* 참고문헌
- 권건일, 김인아(1996). 사회교육의 이해. 서울: 양서원
- 권두승(1999). 평생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 최운실(1990). 한국의 평생교육. 서울: 양서원
- 홍두승 외(1994). 사회계층. 서울: 다산출판사
- 송영경(2007). 교육사회학의 이해. 서울: 교육아카데미
- 차갑부(2004). 평생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 남정걸(2003). 평생교육경영학. 서울: 교육과학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8.04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30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