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2
Ⅱ. 본론
Ⅱ-1. 몽골 개황
1) 일반개황........................................2
2) 경제개황........................................3
3) 몽골의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2006~2010년)...............3
Ⅱ-2. 몽골의 농업
1) 농업 현황.........................................4
2) 몽골농업의 특징....................................5
Ⅱ-3. 몽골 농업 협력 및 투자 환경
1) 협력 분야
(1) 농업 연수......................................6
(2) 시범 농장......................................7
(3) 남한-몽골-북한 3각 협력............................7
2) 투자 환경
(1) 투자 체계......................................8
(2) 농업 투자 환경...................................8
(3) 타지역 상권과의 연계..............................9
3) 만달솜 지역 투자 여건...............................9
4) 기타 투자 관심 분야 ...............................10
Ⅱ-4-1. 몽골 진출 한인 개황...............................11
4-2. 농업 진출 현황
1) 가나안 복지센터와 농장.............................11
2) 그린씨티 농장.....................................12
3) 지구촌 나눔 운동...................................13
Ⅲ. 결론..............................................14
Ⅱ. 본론
Ⅱ-1. 몽골 개황
1) 일반개황........................................2
2) 경제개황........................................3
3) 몽골의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2006~2010년)...............3
Ⅱ-2. 몽골의 농업
1) 농업 현황.........................................4
2) 몽골농업의 특징....................................5
Ⅱ-3. 몽골 농업 협력 및 투자 환경
1) 협력 분야
(1) 농업 연수......................................6
(2) 시범 농장......................................7
(3) 남한-몽골-북한 3각 협력............................7
2) 투자 환경
(1) 투자 체계......................................8
(2) 농업 투자 환경...................................8
(3) 타지역 상권과의 연계..............................9
3) 만달솜 지역 투자 여건...............................9
4) 기타 투자 관심 분야 ...............................10
Ⅱ-4-1. 몽골 진출 한인 개황...............................11
4-2. 농업 진출 현황
1) 가나안 복지센터와 농장.............................11
2) 그린씨티 농장.....................................12
3) 지구촌 나눔 운동...................................13
Ⅲ. 결론..............................................14
본문내용
알흐골에 27 만㏊를 50~100년 장기 임차, 식량기지로 활용하려는 계획이다.
그러나 해외식량기지 건설은 매력적인 만큼 위험도 높다. 이명박 대통령이 특정 후보지를 거론하면서까지 해외 식량기지 건설의 의지를 밝혔지만, 농지 확보부터 가시적 성과가 나 오기까지 최소 3년을 잡아야 하는 장기 투자이기 때문에 만만한 일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1960~70년대 정부 주도로 중남미에, 1980~2000년대초 민간 주도로 미국 중국 연해주(러시아)에 농업개발투자를 했지만 대부분 실패했다. 국제곡물시장에 대한 정 보 분석, 해외 농장 확보 및 생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 지원 시스템이 확충되지 않으 면, 성공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보고서는 몽골의 농업 개발 및 투자환경을 분석하고, 우리농업의 몽골 진출 현황을 통 해 보다 효율적인 대몽골 농업투자를 위해 쓰여졌다.
Ⅱ. 본론
1. 몽골 개황
1) 일반개황
◆국명: 몽골(Mongolia)
◆면적: 1,567천 ㎢ (한반도의 약 7.4배)
◆주요도시:수도올란바토르(59만명),다르한(8.6만명),에르데넷(7.5만명),초이발산 (2.7만명)
◆인구: 2.7백만명(2006년)
◆민족구성: 몽골족(95%), 카자흐족(5%),
◆언어: 몽골어
◆종교: 라마교(90%이상), 회교(4%)
◆기후: 건성냉대기후
◆정부형태: 대통령 중심제
◆독립: 1921.7.11(중국)
◆국가원수: 남바린 엥흐바야르 대통령
◆의회: 인민의회(단원제 임기 6년제,76명)
◆행정구역: 21개 아이막(우리나라의 도에 해당함)
◆국제기구: UN, IMF, IBRD, ILO, FAO, WHO 등
◆공휴일: 신년휴일(1.1)
차강사르(몽골력 새해, 우리의 음력설)
여성의 날(3.8)
어린이날(6.1)
나담절(7.11~7.13) 몽골인민혁명승리일
국가선포일(11.26)
2) 경제개황
◆국민총생산 (2006년): 28억달러
◆1인당 GDP(2006): 1081달러
◆화폐단위: Tugrik(Tg)
◆회계연도: 1.1 ~ 12.31
◆산업구조(2005년): 무역 24.8%, 농업 21.7%, 공업 30,2%
◆주요 수출품 : 광물, 금속, 섬유
◆주요수입품 : 석유.석유제품, 기계류, 운송장비 등
◆주요 수출국 (2004년): 중국 46.8%, 미국 18.0%, 영국 18.8%, 일본 3.8%
◆주요 수입국: 러시아 33.2%, 중국 22.0%, 일본 7.3%, 한국 6.0%
◆경제성장률(2005년): 6.2%
◆물가상승률(2005년): 9.5%
◆무역규모(2005년): 수출 10.5억 달러, 수입 11.5억 달러
◆외환보유액(2004년): 2.4 억 달러
◆외채(2003년): 14.7억 달러
3)몽골의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2006~2010년)
단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총인구
만명
256
259
261
264
267
명목GDP
십억달러
1.75
1.91
2.04
2.18
2.33
실질 GDP 증가율
%
6.1
5.0
4.9
4.9
4.8
1인당 GDP
달러
685
740
782
824
872
CPI 상승률
%
4.50
4.64
4.26
4.12
4.13
걍싱수지/GDP
%
-8.5
-8.5
-
-
-
평균환율(Tugrik/달러)
1,245.2
1,262.1
1,292.0
1,326.7
1,360.5
자료: ADB(2006.4): GLOBAL INSIGHT(2006)
Ⅱ- 2.몽골의 농업
1)농업 현황
-몽골정부는 2001년 몽골정부령 242호로 “Food Security and Nutrition\" 이라는 장 기 농축산업 개발 프로그램(2002년~2010년)을 채택하여 추진중이다. 이는 풍부한 토 지자원에도 불구하고 곡류의 50%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축산업의 생산성도 낮은 상 황을 타개하기 위한 것이다.
2004년 기준 17만 농가가 축산분야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들이 전체 농업생산의 80% 를 차지하고 있다. 2,800만 마리의 가축이 사육되고 있으며, 이는 전년도에 비해 10% 가량 증가한 수치이다. 2004년 곡물생산량은 138,500톤, 감자 및 채소류의 생산량은 129,200톤으로 이는 몽골내 제분수요의 305, 갑자 및 채소 수요의 50%수준이다. 식 품생산에 약1,800개 기업이 종사하고 있으며, 총산업생산의 12%, 고용의 13%를 차지 하고있고.2004년에는 전년기준 2.5%의 성장을 이루었다.
-또한 ADB, WORLD BANK, FAO, IFAD, EU-TACIS등의 국제조직과 10여 개국이 몽 골지원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10년간 계획경제체제를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기 위해서 60개가 넘는 프로젝트, 총 3억 달러의 비용을 투입하였다. 2004년 식 품 및 농업분야에 25개 프로젝트가 795만 달러가 투입되어 진행되었다. 11개 프로젝트 는 기술지원이며5개는 무상원조, 3개는 차관, 4개는 지난 프로젝트에서 적됩된 기금으 로 진행되었다.
-유목.축산업은 몽골 농업의 가장 중심이 되는 분야이다. 몽골에는 양. 소. 말. 낙타. 염 소외에도 최근에는 돼지. 조류. 양봉 등이 추진되고 있다. 몽골의 유목.축산 분야의 주 된 사업방향은 육류와 각종 모의 생산이다.
유목.축산 분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목양은 몽골 전체 유목.축산 분야 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몽골 목양은 기본적으로 양고기와 지방(양비계) 의 생산과 양털 가공을 중시으로 하고있다. 몽골 양을 순종 양과 교배시켜 질 좋고 가 는 양모를 생산할 수 있는 ‘항가이’, ‘어르헝’이라는 새로운 양 품종을 개발하기도 하였 다. 목우는 유목.축산 분야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몽골에서는 몽솔고와 사를륵(야 크)이라는 두 종류의 소가 있다. 이는 두 종류의 소를 서로 교배시킴으로써 ‘하이낙’이 라는 소를 만들기도 한다. 최근에는 양질의 우유와 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순종. 잡종 소를 개발하여 번식시켜 나가고 있다.
몽골 유목.축산업 분야의 또 하나의 중요한 가축은 염소이다. 몽골 염소와 순종 염소간 의 교배를 통해 보통 몽골 염소보다는 캐시미어 생산량이 2배가 넘고, 무게도 10%나 더 나가는 ‘고비-고르
그러나 해외식량기지 건설은 매력적인 만큼 위험도 높다. 이명박 대통령이 특정 후보지를 거론하면서까지 해외 식량기지 건설의 의지를 밝혔지만, 농지 확보부터 가시적 성과가 나 오기까지 최소 3년을 잡아야 하는 장기 투자이기 때문에 만만한 일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1960~70년대 정부 주도로 중남미에, 1980~2000년대초 민간 주도로 미국 중국 연해주(러시아)에 농업개발투자를 했지만 대부분 실패했다. 국제곡물시장에 대한 정 보 분석, 해외 농장 확보 및 생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 지원 시스템이 확충되지 않으 면, 성공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보고서는 몽골의 농업 개발 및 투자환경을 분석하고, 우리농업의 몽골 진출 현황을 통 해 보다 효율적인 대몽골 농업투자를 위해 쓰여졌다.
Ⅱ. 본론
1. 몽골 개황
1) 일반개황
◆국명: 몽골(Mongolia)
◆면적: 1,567천 ㎢ (한반도의 약 7.4배)
◆주요도시:수도올란바토르(59만명),다르한(8.6만명),에르데넷(7.5만명),초이발산 (2.7만명)
◆인구: 2.7백만명(2006년)
◆민족구성: 몽골족(95%), 카자흐족(5%),
◆언어: 몽골어
◆종교: 라마교(90%이상), 회교(4%)
◆기후: 건성냉대기후
◆정부형태: 대통령 중심제
◆독립: 1921.7.11(중국)
◆국가원수: 남바린 엥흐바야르 대통령
◆의회: 인민의회(단원제 임기 6년제,76명)
◆행정구역: 21개 아이막(우리나라의 도에 해당함)
◆국제기구: UN, IMF, IBRD, ILO, FAO, WHO 등
◆공휴일: 신년휴일(1.1)
차강사르(몽골력 새해, 우리의 음력설)
여성의 날(3.8)
어린이날(6.1)
나담절(7.11~7.13) 몽골인민혁명승리일
국가선포일(11.26)
2) 경제개황
◆국민총생산 (2006년): 28억달러
◆1인당 GDP(2006): 1081달러
◆화폐단위: Tugrik(Tg)
◆회계연도: 1.1 ~ 12.31
◆산업구조(2005년): 무역 24.8%, 농업 21.7%, 공업 30,2%
◆주요 수출품 : 광물, 금속, 섬유
◆주요수입품 : 석유.석유제품, 기계류, 운송장비 등
◆주요 수출국 (2004년): 중국 46.8%, 미국 18.0%, 영국 18.8%, 일본 3.8%
◆주요 수입국: 러시아 33.2%, 중국 22.0%, 일본 7.3%, 한국 6.0%
◆경제성장률(2005년): 6.2%
◆물가상승률(2005년): 9.5%
◆무역규모(2005년): 수출 10.5억 달러, 수입 11.5억 달러
◆외환보유액(2004년): 2.4 억 달러
◆외채(2003년): 14.7억 달러
3)몽골의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2006~2010년)
단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총인구
만명
256
259
261
264
267
명목GDP
십억달러
1.75
1.91
2.04
2.18
2.33
실질 GDP 증가율
%
6.1
5.0
4.9
4.9
4.8
1인당 GDP
달러
685
740
782
824
872
CPI 상승률
%
4.50
4.64
4.26
4.12
4.13
걍싱수지/GDP
%
-8.5
-8.5
-
-
-
평균환율(Tugrik/달러)
1,245.2
1,262.1
1,292.0
1,326.7
1,360.5
자료: ADB(2006.4): GLOBAL INSIGHT(2006)
Ⅱ- 2.몽골의 농업
1)농업 현황
-몽골정부는 2001년 몽골정부령 242호로 “Food Security and Nutrition\" 이라는 장 기 농축산업 개발 프로그램(2002년~2010년)을 채택하여 추진중이다. 이는 풍부한 토 지자원에도 불구하고 곡류의 50%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축산업의 생산성도 낮은 상 황을 타개하기 위한 것이다.
2004년 기준 17만 농가가 축산분야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들이 전체 농업생산의 80% 를 차지하고 있다. 2,800만 마리의 가축이 사육되고 있으며, 이는 전년도에 비해 10% 가량 증가한 수치이다. 2004년 곡물생산량은 138,500톤, 감자 및 채소류의 생산량은 129,200톤으로 이는 몽골내 제분수요의 305, 갑자 및 채소 수요의 50%수준이다. 식 품생산에 약1,800개 기업이 종사하고 있으며, 총산업생산의 12%, 고용의 13%를 차지 하고있고.2004년에는 전년기준 2.5%의 성장을 이루었다.
-또한 ADB, WORLD BANK, FAO, IFAD, EU-TACIS등의 국제조직과 10여 개국이 몽 골지원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10년간 계획경제체제를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기 위해서 60개가 넘는 프로젝트, 총 3억 달러의 비용을 투입하였다. 2004년 식 품 및 농업분야에 25개 프로젝트가 795만 달러가 투입되어 진행되었다. 11개 프로젝트 는 기술지원이며5개는 무상원조, 3개는 차관, 4개는 지난 프로젝트에서 적됩된 기금으 로 진행되었다.
-유목.축산업은 몽골 농업의 가장 중심이 되는 분야이다. 몽골에는 양. 소. 말. 낙타. 염 소외에도 최근에는 돼지. 조류. 양봉 등이 추진되고 있다. 몽골의 유목.축산 분야의 주 된 사업방향은 육류와 각종 모의 생산이다.
유목.축산 분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목양은 몽골 전체 유목.축산 분야 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몽골 목양은 기본적으로 양고기와 지방(양비계) 의 생산과 양털 가공을 중시으로 하고있다. 몽골 양을 순종 양과 교배시켜 질 좋고 가 는 양모를 생산할 수 있는 ‘항가이’, ‘어르헝’이라는 새로운 양 품종을 개발하기도 하였 다. 목우는 유목.축산 분야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몽골에서는 몽솔고와 사를륵(야 크)이라는 두 종류의 소가 있다. 이는 두 종류의 소를 서로 교배시킴으로써 ‘하이낙’이 라는 소를 만들기도 한다. 최근에는 양질의 우유와 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순종. 잡종 소를 개발하여 번식시켜 나가고 있다.
몽골 유목.축산업 분야의 또 하나의 중요한 가축은 염소이다. 몽골 염소와 순종 염소간 의 교배를 통해 보통 몽골 염소보다는 캐시미어 생산량이 2배가 넘고, 무게도 10%나 더 나가는 ‘고비-고르
추천자료
부천시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현황 및 성공조건 - 클러스터의 개황, 사업현황, 문화산업의 특성
[남북통일외교정책][남한과 북한의 통일외교정책][남북통일][외교정책][남북관계]남북통일외...
[토지제도개혁][남한과 북한 토지제도개혁 비교][남북통일 이후 토지제도개혁]토지제도개혁 ...
[통일][남북통일][통일정책][남북통일정책]남한사회의 이념 갈등, 남한의 통일정책 변천과정...
[통일][남북통일][남북통일정책][남한과 북한의 통일정책 비교]통일의 의미, 남북통일 희망의...
[화폐][고대 페르시아 화폐제도][북한 화폐제도][남한 화폐제도][EU(유럽연합) 화폐제도]화폐...
남한부적응 탈북 청소년의 남한사회 문화 적응을 위한 사업 프로그램
남북갈등(남한과 북한의 갈등)의 기원, 남북갈등(남한과 북한의 갈등)의 쟁점사항, 남북갈등(...
[남북갈등][남한과 북한의 갈등][극우세력]남북갈등(남한과 북한의 갈등)의 배경, 남북갈등(...
이라크 (Republic of Iraq) - 국가개황, 사회문화, 정치. 인물, 이라크전쟁 원인과 결과.pptx
농업교육의발달 PPT(농업교육개황, 농업교육배경, 농업계고등학교, 고등농업교육, 농업교육발...
산동성, 산서성 조사, [산동성 산서성 개황, 산동성 요리, 관광지 및 산동성 당면과제, 산동...
한국 IBM 사업개황 및 취업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