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머리말
Ⅱ.국어의 음절 구조
1.《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절
2.국어의 음절 구조
Ⅲ. 맺음말
Ⅱ.국어의 음절 구조
1.《훈민정음》에 나타난 음절
2.국어의 음절 구조
Ⅲ. 맺음말
본문내용
이 음절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가령 한 음절에 정점을 이루는 정점음이 있고 그 앞뒤에 주변적인 주변음이 있다면, 이러한 음절구조는 봉우리형의 구조로서 우선 음절의 정점음을 중심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정점음은 ‘이 / i /’와 같이 핵모음만으로 구성되기도 하며, ‘요 / jo /’와 같이 부음인 반모음이 첨가되기도 한다. 그리고 정점음의 앞뒤, 즉 음절초와 음절말에 주변음이 오게 된다. 따라서 국어의 음절구조는 정점음에 주변음이 덧보태진 구조이다.
음 절
(주변음) (정점음) (주변음)
자음1 반모음1 모음 반모음2 자음2 (음운분류)
ㅂ ㅃ ㅍ j- w- -j ㅂ ㄷ ㄱ
: ㅁ ㄴ ㅇ (음운)
ㅎ ㄹ
이러한 구조에 음운을 배정한다면 다음과 같다.
음절초 주변음
<자음1>
: ㅂ ㅃ ㅍ ㄷ ㄸ ㅌ ㅅ ㅆ ㅈ
ㅉ ㅊ ㄱ ㄲ ㅋ ㅁ ㄴ ㅇ ㄹ ㅎ
정 점 음
<핵모음>
: ㅣ ㅟ ㅔ ㅚ ㅐ ㅡ ㅜ ㅓ ㅗ ㅏ
<부 음>
: (반모음1) j- w-
(반모음2) -j
음절말 주변음
<자음2>
: ㅂ ㄷ ㄱ ㅁ ㄴ ㅇ ㄹ
음절의 핵모음에 부수하는 음운은 흔히 반모음 또는 활음이라 불리는/j. w/인데, 음절의 정점음에는 단모음뿐만 아니라 부음인 반모음(활음)이 결합한 이중모음도 포함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국어에 실제로 존재하는 음절유형은 다음과 같다.
제1유형
V
이미, 아이, 오이
제2유형
G1
V
여러, 부여, 가야금
제3유형
C1
V
나, 저, 공기, 농구
제4유형
C1
G1
V
겨, 궤, 궁녀, 사과
제5유형
V
G2
의(義), 마의태자
제6유형
V
C2
옥(玉), 알
제7유형
C1
V
G2
법의(버
가령 한 음절에 정점을 이루는 정점음이 있고 그 앞뒤에 주변적인 주변음이 있다면, 이러한 음절구조는 봉우리형의 구조로서 우선 음절의 정점음을 중심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정점음은 ‘이 / i /’와 같이 핵모음만으로 구성되기도 하며, ‘요 / jo /’와 같이 부음인 반모음이 첨가되기도 한다. 그리고 정점음의 앞뒤, 즉 음절초와 음절말에 주변음이 오게 된다. 따라서 국어의 음절구조는 정점음에 주변음이 덧보태진 구조이다.
음 절
(주변음) (정점음) (주변음)
자음1 반모음1 모음 반모음2 자음2 (음운분류)
ㅂ ㅃ ㅍ j- w- -j ㅂ ㄷ ㄱ
: ㅁ ㄴ ㅇ (음운)
ㅎ ㄹ
이러한 구조에 음운을 배정한다면 다음과 같다.
음절초 주변음
<자음1>
: ㅂ ㅃ ㅍ ㄷ ㄸ ㅌ ㅅ ㅆ ㅈ
ㅉ ㅊ ㄱ ㄲ ㅋ ㅁ ㄴ ㅇ ㄹ ㅎ
정 점 음
<핵모음>
: ㅣ ㅟ ㅔ ㅚ ㅐ ㅡ ㅜ ㅓ ㅗ ㅏ
<부 음>
: (반모음1) j- w-
(반모음2) -j
음절말 주변음
<자음2>
: ㅂ ㄷ ㄱ ㅁ ㄴ ㅇ ㄹ
음절의 핵모음에 부수하는 음운은 흔히 반모음 또는 활음이라 불리는/j. w/인데, 음절의 정점음에는 단모음뿐만 아니라 부음인 반모음(활음)이 결합한 이중모음도 포함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국어에 실제로 존재하는 음절유형은 다음과 같다.
제1유형
V
이미, 아이, 오이
제2유형
G1
V
여러, 부여, 가야금
제3유형
C1
V
나, 저, 공기, 농구
제4유형
C1
G1
V
겨, 궤, 궁녀, 사과
제5유형
V
G2
의(義), 마의태자
제6유형
V
C2
옥(玉), 알
제7유형
C1
V
G2
법의(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