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총칙>
1. 제1항의 규정
(1) 표음주의의 반영(소리대로 적되)
(2) 표의주의의 반영(어법에 맞도록)

2. 제2항의 규정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

3. 제3항의 규정
(1) 표기의 기준
①원자음의 고려
②국어 특성의 존중
③관용의 존중
(2)표기의 원칙

본문내용

<한글 맞춤법>의 원리
<총칙>
제1항 :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1. 제1항의 규정
첫째 \'한글 맞춤법\'은 국어 가운데 \'표준어\'를 표기 대상으로 한다는 점,
둘째 \'한글 맞춤법\'은 표음주의를 일차적으로 지향한다는 점,
셋째 \'한글 맞춤법\'은 표음주의가 지켜지는 범위 안에서 \'어법\'을 고려한다는 점이다.
흔히 한글은 세상에서 적지 못할 말이 없다고 하고 새 울음소리며 빗소리며 바람 소리며 별별 굉음까지도 다 적을 수 있는 문자라는 점을 \"훈민정음\"에서부터 자랑하고 있고 또 그것이 어느 정도 사실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글 맞춤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한글의 표기 대상은 아무 소리나 아무 말이 아니고 바로 \'표준어\'라는 것이다.
\'한글 맞춤법\'의 표기 원리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형태 음소적 원리\'라고 말한다. \'형태 음소적\'이란 한글이 표음 문자이기는 하지만 소리대로만 적는 것이 아니라 형태소의 기본형을 밝히고 고정해 적는다는 말이다.
즉, \'꽃\'이라는 단어는 그것이 놓이는 환경에 따라 [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3.2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4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