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칙>
1. 제1항의 규정
(1) 표음주의의 반영(소리대로 적되)
(2) 표의주의의 반영(어법에 맞도록)
2. 제2항의 규정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
3. 제3항의 규정
(1) 표기의 기준
①원자음의 고려
②국어 특성의 존중
③관용의 존중
(2)표기의 원칙
1. 제1항의 규정
(1) 표음주의의 반영(소리대로 적되)
(2) 표의주의의 반영(어법에 맞도록)
2. 제2항의 규정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
3. 제3항의 규정
(1) 표기의 기준
①원자음의 고려
②국어 특성의 존중
③관용의 존중
(2)표기의 원칙
본문내용
<한글 맞춤법>의 원리
<총칙>
제1항 :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1. 제1항의 규정
첫째 \'한글 맞춤법\'은 국어 가운데 \'표준어\'를 표기 대상으로 한다는 점,
둘째 \'한글 맞춤법\'은 표음주의를 일차적으로 지향한다는 점,
셋째 \'한글 맞춤법\'은 표음주의가 지켜지는 범위 안에서 \'어법\'을 고려한다는 점이다.
흔히 한글은 세상에서 적지 못할 말이 없다고 하고 새 울음소리며 빗소리며 바람 소리며 별별 굉음까지도 다 적을 수 있는 문자라는 점을 \"훈민정음\"에서부터 자랑하고 있고 또 그것이 어느 정도 사실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글 맞춤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한글의 표기 대상은 아무 소리나 아무 말이 아니고 바로 \'표준어\'라는 것이다.
\'한글 맞춤법\'의 표기 원리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형태 음소적 원리\'라고 말한다. \'형태 음소적\'이란 한글이 표음 문자이기는 하지만 소리대로만 적는 것이 아니라 형태소의 기본형을 밝히고 고정해 적는다는 말이다.
즉, \'꽃\'이라는 단어는 그것이 놓이는 환경에 따라 [
<총칙>
제1항 :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1. 제1항의 규정
첫째 \'한글 맞춤법\'은 국어 가운데 \'표준어\'를 표기 대상으로 한다는 점,
둘째 \'한글 맞춤법\'은 표음주의를 일차적으로 지향한다는 점,
셋째 \'한글 맞춤법\'은 표음주의가 지켜지는 범위 안에서 \'어법\'을 고려한다는 점이다.
흔히 한글은 세상에서 적지 못할 말이 없다고 하고 새 울음소리며 빗소리며 바람 소리며 별별 굉음까지도 다 적을 수 있는 문자라는 점을 \"훈민정음\"에서부터 자랑하고 있고 또 그것이 어느 정도 사실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글 맞춤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한글의 표기 대상은 아무 소리나 아무 말이 아니고 바로 \'표준어\'라는 것이다.
\'한글 맞춤법\'의 표기 원리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형태 음소적 원리\'라고 말한다. \'형태 음소적\'이란 한글이 표음 문자이기는 하지만 소리대로만 적는 것이 아니라 형태소의 기본형을 밝히고 고정해 적는다는 말이다.
즉, \'꽃\'이라는 단어는 그것이 놓이는 환경에 따라 [
추천자료
[인문과학] 한글에 대하여
로마자 표기법 - 전자법과 전사법 어느 것이 유용한가?
'조사와 의존명사의 띄어쓰기'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현대국어의 표기법과 중세국어의 표기법
한글 표기법의 변천에 대하여
현대국어정서법
국어 정서법 이야기
우리말 오용실태 조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세계의 주요 문자
한글 표기법의 변천0eal
정서법의 실태
우리글(우리말, 한글, 국어) 중요성과 어원, 우리글(우리말, 한글, 국어) 논리와 오염실태, ...
외래어 표기법을 통해 본 초등학교 정보생활 교과서
외래어 표기법 (外來語表記法) (표기의 기본 원칙, 표기 일람표, 표기 세칙, 자음, 모음(단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