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목차
Ⅰ. 서론
1. 기업소개
2. 선정이유
Ⅱ. 본론
1. 도요타의 마케팅 전략
1) 기업내부 환경분석
2) 기업외부 환경분석
3) 경쟁기업, 소비자 분석
4) 4P 믹스 전략
5) 도요타의 인적 4P전략
2. 도요타의 리콜사태
1) 도요타 리콜사태의 원인
2) 도요타 리콜사태의 파급효과
3. 도요타 리콜사태의 해결과정
1) 리콜사태 이후 점유율 분석
2) 리콜사태 후속조치
4. 도요타와 현대 비교분석
1) 현대와 도요타의 해와 진출 마케팅 비교 분석
2) 현대 리콜사태 분석
3) 도요타와 현대 리콜사태 비교분석
Ⅲ. 결론
5. 도요타가 현대에게 주는 시사점
1. 기업소개
2. 선정이유
Ⅱ. 본론
1. 도요타의 마케팅 전략
1) 기업내부 환경분석
2) 기업외부 환경분석
3) 경쟁기업, 소비자 분석
4) 4P 믹스 전략
5) 도요타의 인적 4P전략
2. 도요타의 리콜사태
1) 도요타 리콜사태의 원인
2) 도요타 리콜사태의 파급효과
3. 도요타 리콜사태의 해결과정
1) 리콜사태 이후 점유율 분석
2) 리콜사태 후속조치
4. 도요타와 현대 비교분석
1) 현대와 도요타의 해와 진출 마케팅 비교 분석
2) 현대 리콜사태 분석
3) 도요타와 현대 리콜사태 비교분석
Ⅲ. 결론
5. 도요타가 현대에게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를 최소화하는 방어적, 수동적 안전기술에서 자동차가 스스로 사고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를 사전에 예방하여 탑승자와 보행자를 보호하는 지능형 차량안전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영전략실 환견전략팀(2010), pp.67-68 정리요약>
<표38> 도요타와 현대 리콜 비교
도요타
현대
2009년 9월 Camry, Avalon, Tundra 등 380만대 리콜 실시
2010년 1월 RAV4, Corolla, Matrix, Avalon, Highlander, Sequoia 등 230만대 리콜 실시
이후 중국, 유럽, 미국 시장에 연이은 리콜 실시->리콜사태
원인 : 판매 급감과 급격한 엔고 현상에 의한 원가 절감, 해외 생산 확대로 인한 부품 검사관리 소홀
해결 및 전략 : 글로벌 품질위원회의 설립, 엔지니어에 대한 안전관련 임무 재부여 등 내부적인 프로세스 개선
외부적으로 해외 생산기지에 납품하는 해외 부품기업에 대한 관리 강화
2010 미국 생산 쏘나타YF 13만9500대 리콜 실시
2011 아반떼(미국명 엘란트라) 미국에서 18만 8000대 리콜 실시
2011 아반떼 하이브리드 2071대 리콜 실시
해결 및 전략 : 초기 고객 불만사항에 대한 자체 품질점검을 실시, 해당 문제점을 즉시 개선하여 국내 및 미국지역에 판매된 문제차량에 한해 자발적 리콜을 실시
더 나은 고객만족을 위해 비포 서비스프로그램을 통해 연간 2백만 명이상의 고객을 대상으로 무산점검서비스를 실시
자동차가 스스로 사고 가능성을 인식하고 사전에 예방하는 지능형 차량안전 기술로 발전하고 있음
출처 :
Ⅲ. 결론
5. 도요타의 리콜 사태가 주는 시사점
①일본 기업의 위기는 성공경험에 취해 지속적인 자기확인을 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교훈을 시사하고 있다.
-도요타자동차가 품질과 안전 중시의 문화를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으로 ‘품질결함’으로 위기에 빠진 것은 조기 수 차례의 위험신호가 있었지만, 제때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 글로벌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인재 육성이나 보사 시스템의 이식 보다 속도 중심의 양적 팽창에 치우쳤고, 무리하게 비용절감을 추진한 결과, 글로벌 기지에서 품질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이는 국내 기업에게 과유불급의 교훈을 시사한다. <박현성(2010), p9>
②국내 기업도 일본기업의 위기에서 배울 것을 배우되, 일본의 저력 또한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우선 위기가 발생하면 작은 경고에도 주의를 집중하면서 토명하고도 신속하게 선제 대응을 해나가야 하며, 성장과 경쟁 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철저히 준비된 전략적 글로벌화와 함께 파트너의 경쟁력을 생각하는 상생형 원가절감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박현성(2010), p9>
③소비자 불만 내지 피해 관련 정보기치의 재인식 필요
-이번 도요타자동차의 대량리콜사태가 기업에 주는 가장 소중한 교훈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 내지 피해에 여하히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요타자동차 리콜사태의 확대 경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콜대상 차종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제기 뿐만 아니라 사망사고를 포함한 다수의 사고가 접수되었으니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기보다는 소극적으로 대처 내지 결함을 은폐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는 태도를 취함으로써 대량리콜 사태를 자초한 것으로 분석된다.
④소비자 안전을 우선하는 품질관리체제 필요
-리콜관련 소송현황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요타 자동차는 이미 미국과 캐나다에 서 집단소송을 포함하여 수십 여건의 소송에 휘말리게 되었고, 향후 관련소송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도요타자동차와 관련한 사상사고도 지난 10년간 34명이나 되는 것으로 드러난 바, 자동차와 같이 본래적으로 위험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안전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소비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추가되는 자동차부품과 장치들이 갈수 록 전자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유통 전에 충분한 안정성 검증이 선행되어 야 할 것이다.
⑤도요타 사태를 반면고사로 하여 유사함 품질 결함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사전 대응조치 필요
-미국시장에서 도요타와 현대의 가격 경쟁이 도요타 사태를 일으킨 하나의 배경이다. 국내 완성차 기업은 도요타와 유사한 성장 전략으로 미국 시장에서 경쟁해 왔다는 점에서 유사한 사태가 발생치 않도록 철저한 사전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도요타는 미국 정, 관계에 두터운 인맥을 가진 세계적 기업이며, 수십명의 상, 하원 의원 등 막강한 홍보력을 지녔음에도 품질결함, 대량 리콜 사태 앞에서 ‘품질 도요타’의 명성이 일시에 붕괴었다. 국내 완성차 기업은 보다 철저한 품질 관리를 위하여 부품업체와의 관계 등에서 구조적인 문제는 없는지 점검하고 미비점을 혁신하여야 할 것이다.
⑥부품 중소기업과의 협력 강화 필요
-기업 차원의 상생협력 강화해야 할 것이다. 국내 자동차 품질이 미국 등 해외에서 인정받는 데에는 국내 부품 중소기업들의 저가격 고품질의 부품 공급이 크게 공헌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의 매출액 대비 R&D비율은 3.4%로 위곡의 4.3%에 비하여 낮으며, 특히 중소 협력업체는 2.6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납품 단가 인하 → 낮은 이익률 →낮은 R&D 투자로 연계되어 악순환이 반복되는 현상 지속되고 있다. 완성차 기업은 부품 중소기업과의 거래에서 단기 차익보다는 중 장기적 협력관계에 중점을 두어 부품의 안정적 품질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또 무리한 원가 절감이 도요타 품질 결함의 직접적 원임임을 교훈 삼아 부품 기업이 최소한의 이익률과 R&D 재원을 확보하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⑦중소기업 종업원의 임금 수준 향상을 위하여 노사가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국내 1차 부품 기업 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 등 미숙련 인력이 기계장비 운전 등 주요 생산 활동에 다수 투입되고 있다. 종업원들의 근속 년수가 5년 이하인 인력이 전체의 67%를 점유할 정도로 숙련도가 낮다. 이 같은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대 ·중소기업간 임금격차이며, 부품 중소기업 종업원들은 대기업 근로자의
<표38> 도요타와 현대 리콜 비교
도요타
현대
2009년 9월 Camry, Avalon, Tundra 등 380만대 리콜 실시
2010년 1월 RAV4, Corolla, Matrix, Avalon, Highlander, Sequoia 등 230만대 리콜 실시
이후 중국, 유럽, 미국 시장에 연이은 리콜 실시->리콜사태
원인 : 판매 급감과 급격한 엔고 현상에 의한 원가 절감, 해외 생산 확대로 인한 부품 검사관리 소홀
해결 및 전략 : 글로벌 품질위원회의 설립, 엔지니어에 대한 안전관련 임무 재부여 등 내부적인 프로세스 개선
외부적으로 해외 생산기지에 납품하는 해외 부품기업에 대한 관리 강화
2010 미국 생산 쏘나타YF 13만9500대 리콜 실시
2011 아반떼(미국명 엘란트라) 미국에서 18만 8000대 리콜 실시
2011 아반떼 하이브리드 2071대 리콜 실시
해결 및 전략 : 초기 고객 불만사항에 대한 자체 품질점검을 실시, 해당 문제점을 즉시 개선하여 국내 및 미국지역에 판매된 문제차량에 한해 자발적 리콜을 실시
더 나은 고객만족을 위해 비포 서비스프로그램을 통해 연간 2백만 명이상의 고객을 대상으로 무산점검서비스를 실시
자동차가 스스로 사고 가능성을 인식하고 사전에 예방하는 지능형 차량안전 기술로 발전하고 있음
출처 :
Ⅲ. 결론
5. 도요타의 리콜 사태가 주는 시사점
①일본 기업의 위기는 성공경험에 취해 지속적인 자기확인을 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교훈을 시사하고 있다.
-도요타자동차가 품질과 안전 중시의 문화를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으로 ‘품질결함’으로 위기에 빠진 것은 조기 수 차례의 위험신호가 있었지만, 제때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 글로벌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인재 육성이나 보사 시스템의 이식 보다 속도 중심의 양적 팽창에 치우쳤고, 무리하게 비용절감을 추진한 결과, 글로벌 기지에서 품질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이는 국내 기업에게 과유불급의 교훈을 시사한다. <박현성(2010), p9>
②국내 기업도 일본기업의 위기에서 배울 것을 배우되, 일본의 저력 또한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우선 위기가 발생하면 작은 경고에도 주의를 집중하면서 토명하고도 신속하게 선제 대응을 해나가야 하며, 성장과 경쟁 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철저히 준비된 전략적 글로벌화와 함께 파트너의 경쟁력을 생각하는 상생형 원가절감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박현성(2010), p9>
③소비자 불만 내지 피해 관련 정보기치의 재인식 필요
-이번 도요타자동차의 대량리콜사태가 기업에 주는 가장 소중한 교훈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 내지 피해에 여하히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요타자동차 리콜사태의 확대 경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콜대상 차종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제기 뿐만 아니라 사망사고를 포함한 다수의 사고가 접수되었으니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기보다는 소극적으로 대처 내지 결함을 은폐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는 태도를 취함으로써 대량리콜 사태를 자초한 것으로 분석된다.
④소비자 안전을 우선하는 품질관리체제 필요
-리콜관련 소송현황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요타 자동차는 이미 미국과 캐나다에 서 집단소송을 포함하여 수십 여건의 소송에 휘말리게 되었고, 향후 관련소송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도요타자동차와 관련한 사상사고도 지난 10년간 34명이나 되는 것으로 드러난 바, 자동차와 같이 본래적으로 위험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안전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소비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추가되는 자동차부품과 장치들이 갈수 록 전자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유통 전에 충분한 안정성 검증이 선행되어 야 할 것이다.
⑤도요타 사태를 반면고사로 하여 유사함 품질 결함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사전 대응조치 필요
-미국시장에서 도요타와 현대의 가격 경쟁이 도요타 사태를 일으킨 하나의 배경이다. 국내 완성차 기업은 도요타와 유사한 성장 전략으로 미국 시장에서 경쟁해 왔다는 점에서 유사한 사태가 발생치 않도록 철저한 사전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도요타는 미국 정, 관계에 두터운 인맥을 가진 세계적 기업이며, 수십명의 상, 하원 의원 등 막강한 홍보력을 지녔음에도 품질결함, 대량 리콜 사태 앞에서 ‘품질 도요타’의 명성이 일시에 붕괴었다. 국내 완성차 기업은 보다 철저한 품질 관리를 위하여 부품업체와의 관계 등에서 구조적인 문제는 없는지 점검하고 미비점을 혁신하여야 할 것이다.
⑥부품 중소기업과의 협력 강화 필요
-기업 차원의 상생협력 강화해야 할 것이다. 국내 자동차 품질이 미국 등 해외에서 인정받는 데에는 국내 부품 중소기업들의 저가격 고품질의 부품 공급이 크게 공헌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의 매출액 대비 R&D비율은 3.4%로 위곡의 4.3%에 비하여 낮으며, 특히 중소 협력업체는 2.6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납품 단가 인하 → 낮은 이익률 →낮은 R&D 투자로 연계되어 악순환이 반복되는 현상 지속되고 있다. 완성차 기업은 부품 중소기업과의 거래에서 단기 차익보다는 중 장기적 협력관계에 중점을 두어 부품의 안정적 품질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또 무리한 원가 절감이 도요타 품질 결함의 직접적 원임임을 교훈 삼아 부품 기업이 최소한의 이익률과 R&D 재원을 확보하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⑦중소기업 종업원의 임금 수준 향상을 위하여 노사가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국내 1차 부품 기업 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 등 미숙련 인력이 기계장비 운전 등 주요 생산 활동에 다수 투입되고 있다. 종업원들의 근속 년수가 5년 이하인 인력이 전체의 67%를 점유할 정도로 숙련도가 낮다. 이 같은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대 ·중소기업간 임금격차이며, 부품 중소기업 종업원들은 대기업 근로자의
키워드
추천자료
[마케팅조사]블리자드와 엔씨소프트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마케팅] 블루클럽과 박준미용 마케팅 비교분석
[마케팅조사론]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의 마케팅 비교분석 (리포트)
국내 국외의 자동차 비교분석 ,경영전략분석, 성공사례, 성공전략, 마케팅전략, STP전략, SWO...
[마케팅전략] 프랜차이즈업체들의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보고서
[마케팅전략] 프랜차이즈업체들의 마케팅전략 비교분석.PPT자료
스마트폰 마케팅전략분석<삼성옴니아2와 아이폰비교분석>
아디다스 vs 나이키 마케팅믹스 4P전략 비교분석과 마케팅전략 공통점,차이점 및 나이키,아디...
진에어(Jin Air) 기업 마케팅전략분석과 진에어 경영분석 및 진에어 단점극복위한 방안제안 (...
SKT(SK텔레콤 SK Telecom) vs KT 기업 경쟁전략 비교분석과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PPT자료
코오롱스포츠(Kolon Sports) vs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 브랜드 비교분석 및 노스페이스,...
리츠칼튼호텔 vs 롯데호텔 호텔경영 마케팅전략 비교분석및 롯데호텔,리츠칼튼 새로운 전략제...
제주항공(Jeju Air) 기업분석 및 제주항공 경영전략, 마케팅전략분석과 제주항공 약점 보완방...
애플 vs 삼성전자 경영,마케팅전략 비교분석과 삼성,애플 특허분쟁 사례분석과 두기업 미래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