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즈니스] 트레이드(trade)는의 의의와 성격, 고유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트레이드의 의의와 고유성

Ⅰ. 트레이드의 의의

Ⅱ. 트레이드의 고유성

1. 상품 및 생산요소 이동의 곤란
2. 무역에 대한 국가관리
3. 외국환에 의한 결제
4. 국제규칙에 따른 무역거래

Ⅲ. 트레이드의 성격

1. 기업경영적 성격
2. 국민경제적 성격
3. 세곗경제적 성격

Ⅳ. 트레이드의 주역

1. 무역업자의 의의
2. 무역업자의 분류
1) 무역업자의 업종별 분류
2) 무역상사의 경영형태별 분류

본문내용

따라서 무역업자의 범주에서 볼 때 수출업무와 수입업무를 겸영하는 업자도 있고 어느 쪽 하나의 업무만을 취급하는 업자가 있다. 이 무역업자는 자기의 명의를 가지고 자기의 계산과 위험 하에서 무역활동을 이루어가는 경우가 많으나 또한 타인의 계산과 위험 하에서 무역활동을 이루어 자기는 단순히 수수료만을 받음에 지나지 않는 업자도 있어 그 경영의 형태는 매우 복잡하다.
무역업자 중에서도 수출을 하는 이를 수출업자(exporter), 수입을 하는 이
를 수입업자(importer), 양쪽을 겸영하는 이를 수출입업자라고 부른다.
(2) 무역업자의 분류
1) 무역업자의 업종별 분류
1. 무역상사
무역상사는 도매상 또는 소매업자의 범주에 속하며 다음의 2종으로 나뉜다.
전문상사
무역업(수출 수입업)으로서 특정상품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무역상사
이다.
무역겸상사
무역업이외에 국내판매업을 겸영하는 무역상사이다. 이에는 대무역상사
와 중소무역상사가 있다.
2. 메이커
제조업자로서 무역업을 겸영하는 업체이다.
3. 기타
백화점업 서비스업 운수업 등과 무역업을 겸영하는 업체이다.
2) 무역상사의 경영형태별 분류
1. 종합무역상사(general trading company)
여러 가지 종류의 상품을 백화점식으로 종합적으로 취급하는 대규모 무역
상사이며 거액의 자본력, 경영의 종합적인 조직력, 인재력, 영업력, 정보력,
그리고 세계전지역에 걸친 지점망, 현지법인망을 복합 효율적으로 활용하
여 다국적 기업과 거의 비슷한 관점에서 거의 전 상품을 다각적인 거래형태
로 광범위하게 취급하는 무역상사이다.
2. 전문상사(special trading company)
전문상사에는 특정한 상품만을 취급하는 전문상사와 특정한 시장만을 대
상으로 하는 전문상사의 두 가지가 있다. 또 전문상사는 자국내 메이커로부
터 상품을 매입하여 외국의 대리점이나 다른 수요자에게 수출하거나 외국의
메이커나 대리점으로부터 상품을 매입하여 자국내 메이커나 다른 수요자 앞
으로 수입하는 교량역할도 한다.
다시 말하면 상품을 하나 또는 몇 가지에 한정해서 전문적으로 취급함을 원
칙으로 하고 또 메이커의 수출 창구 즉, 대리점 형태를 취하는 경우, 그리고
수입에 있어서 한 상품이 그 취급수입액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3. 중소무역상사(medium and small trading company)
일반적으로 규모가 매우 적고 2, 3명 정도로 경영해가는 소규모 무역상사로
부터 그 이상의 많은 사원 수를 가지고 경영내용도 비교적 충실한 중견무역
상사까지 그 경영형태도 다양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 계층에 속하는 무역
상사가 전체 수출입업체수의 약 80%이상을 차지한다.
이 무역상사 가운데서는 메이커를 겸영하는 업체도 많다. 특히 소규모 무
역상사인 경우 하나 또는 거의 소수의 기본적인 상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며
단순히 수수료만 받고 매입대리점 또는 해외판매 대리점 역할을 하는 업체가 많다.
이 중소무역상사인 경우 무역업무에 대한 높은 특수기능을 가지고 해외
바이어와의 특유인맥과 정보망을 통해서 세계 각 국의 국지적인 상품과부족
을 찾아내고 자기가 수출하려는 상품에 대해서는 세계시장을 꾸준히 추적하
며 견실한 매매거래를 이루어가는 기동성과 적극성이 매우 중요하다.
4. 소규모 개인무역업자
회사 형태가 아니라 개인의 소규모로 무역을 운영하는 경우로서 최근 국
재무역거래의 확대에 따라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대개 한정된 목표시
장을 대상으로 틈새상품을 소규모 단위로 직접운송 판매하여 수익을 남기
게 되며 개인적으로 처리 가능한 용량만을 취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흔히 보따리 무역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8.17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5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