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전략적 제휴란 무엇인가?
1) 전략적 제휴의 정의
2) 전략적 제휴의 목적
3) 전략적 제휴의 주요 유형
4) 제휴파트너 선정상의 유의점
5) 성공적인 전략적 제휴를 위한 제휴 요건
6) 성공적인 제휴경영기법
☞성공사례
Ⅰ. 개요
Ⅱ. 외부 환경 분석
Ⅲ. 내부 환경 분석
1) LG
2) PHILLIPS
Ⅳ. 각 기업의 전략적 제휴의 이유
Ⅴ. 제휴의 과정
Ⅵ. LG - PHILLIPS의 목표
Ⅶ. 전략적 제휴의 의미
Ⅷ. 시너지 효과
Ⅸ. 결론
☞실패사례
Ⅰ. 개 요
1. 대우자동차 연혁
1) 회사 연혁과 최근의 대우자동차 활동
2) 회사의 주요목적
Ⅱ. 대우자동차와 GM의 전략적 제휴당시의 기업환경
1. 자원적, 경제적 상황
2. 정치적 상황
3. 기술적 상황
4. 경쟁적 상황
Ⅲ. 제휴당시 대우자동차가 지닌 강점과 약점
1. 강점과 기회
2. 약점과 위협
Ⅳ. 대우자동차와 GM의 전략적 제휴 과정
1. 대우자동차 이전시절
2. 전략적 제휴 초기
3. 전략적 제휴 중기
4. 전략적 제휴 말기
Ⅴ. 전략적 제휴청산 당시의 기업환경
1. 사회, 정치적 환경
2. 경제적 환경
3. 경쟁적 환경
4. 기술적 환경
5. 자원적 환경
6. 대우자동차 기업내부상황
Ⅵ. 대우자동차와 GM과의 전략적 제휴는 왜 실패로 끝났는가?
1. 성공적인 제휴방법의 3요소
2. 그밖에 다른 실패요인들
Ⅶ. Recommendation
Ⅷ.GM DAEWOO최근동향
1) 전략적 제휴의 정의
2) 전략적 제휴의 목적
3) 전략적 제휴의 주요 유형
4) 제휴파트너 선정상의 유의점
5) 성공적인 전략적 제휴를 위한 제휴 요건
6) 성공적인 제휴경영기법
☞성공사례
Ⅰ. 개요
Ⅱ. 외부 환경 분석
Ⅲ. 내부 환경 분석
1) LG
2) PHILLIPS
Ⅳ. 각 기업의 전략적 제휴의 이유
Ⅴ. 제휴의 과정
Ⅵ. LG - PHILLIPS의 목표
Ⅶ. 전략적 제휴의 의미
Ⅷ. 시너지 효과
Ⅸ. 결론
☞실패사례
Ⅰ. 개 요
1. 대우자동차 연혁
1) 회사 연혁과 최근의 대우자동차 활동
2) 회사의 주요목적
Ⅱ. 대우자동차와 GM의 전략적 제휴당시의 기업환경
1. 자원적, 경제적 상황
2. 정치적 상황
3. 기술적 상황
4. 경쟁적 상황
Ⅲ. 제휴당시 대우자동차가 지닌 강점과 약점
1. 강점과 기회
2. 약점과 위협
Ⅳ. 대우자동차와 GM의 전략적 제휴 과정
1. 대우자동차 이전시절
2. 전략적 제휴 초기
3. 전략적 제휴 중기
4. 전략적 제휴 말기
Ⅴ. 전략적 제휴청산 당시의 기업환경
1. 사회, 정치적 환경
2. 경제적 환경
3. 경쟁적 환경
4. 기술적 환경
5. 자원적 환경
6. 대우자동차 기업내부상황
Ⅵ. 대우자동차와 GM과의 전략적 제휴는 왜 실패로 끝났는가?
1. 성공적인 제휴방법의 3요소
2. 그밖에 다른 실패요인들
Ⅶ. Recommendation
Ⅷ.GM DAEWOO최근동향
본문내용
D보다 화면이 바뀌는 속도가 빠르다. TFT-LCD처럼 비스듬한 위치에서 보면 화면이 잘 보이지 않는 \'좁은 시야각\'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벽걸이TV에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4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로는 PDP 이외의 대안이 없다는 것이 찬성론자들의 주장인 반면 수년 내에 PDP의 최대 단점인 생산원가 절감과 열처리 기술 개발이 어렵다는 반대론 자들의 주장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PDP의 성공여부에 대한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결국 기술개발과 관련한 가장 큰 문제는 생산원가를 합리적인 수준으로 내리는 문제와 전력 소모량을 줄이는 것으로 요약된다. 따라서 업체들은 양산 투자는 좀더 지켜본 뒤에 결정하겠다는 자세이다. PDP의 성장이 앞으로의 LCD 시장의 미지수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LCD 시장은 매력적이라고 판단된다.
3. 잠재적인 진출 기업 → 대만기업
앞으로 대만기업이 경쟁자로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까지는 미미하다.
또, 대만기업은 단기성 이익 중시의 경향이 강해 향후 시장 흐름에 따라 투자계획을 철회할 가능성도 있는데, 이는 독자적인 사업전개와 조기 기술 확보가 어려운 LCD의 특성상 주로 생산제휴의 형태로 진행하므로 좋은 상대가 없으면 사업을 포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제휴관계를 공식적으로 표명한 三菱-中華映管(CPT), 日本IBM- 宏碁電腦(Acer), 東芝-華新麗華등은 계획대로 추진할 것이나, 생산개시 시점은 당초 계획보다 6개월 정도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최근 松下와 聯友光電(UNIPAQ) 사이에 제휴관계를 맺은 것으로 보이나, 松下는 아직 공식적인 발표는 하지 않고 있으며, 奇美實業(CHI-MEI)은 COLOR FILTER 에 전념할 것으로 보이고, 元太科技(Prime View) 와 東元光電(TECO)은 DROP할 가능성이 높다.
4. 공급자 → 힘있는 공급자는 없음.
5. 구매자 → 노트북, 디지털 TV, 핸드폰 등 액정이 들어가는 모든 제품
현재는 주력 시장은 Notebook PC 시장으로 점차 Desktop PC의 Monitor용으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Notebook PC의 수요에 파생되어 TFT-LCD의 수요도 높은데, 현재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적은 편이라서 가격도 높게 책정되어 있으며, 구매자에 대한 marketpower는 높다고 할 수 있다.
LG LCD 사업현황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에 의해 LG반도체가 현대반도체에게 매각된 이후 LG반도체가 가지고 있던 LCD부분과 LG전자가 가지고 있던 LCD부분을 통합하여, LG-LCD를 설립하였으며, LG전자가 100%로 지분 보유
1. 98년 사업실적 및 99년 예상
98년 매출 5억불. 99년 18억불 이상 목표 (전년대비 약 3.5배)
2. PHYSICAL RESOURCE
급격히 성장하는 시장수요에 신속히 대응키 위해 기존 1공장 (370 X 470mm 라인), 2공장(590 X 670mm 라인)의 생산 Capa를 최대한 확장, 금년내 투입기준 각 월 70,000 Glass 생산 Capa 확보
차세대 생산시설로 건설 예정인 3공장은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큰 대형 Glass 사이즈(680 X 880 mm)로 2단계에 걸쳐 완공될 예정인데, 2000년에 월 10,000 Glass 양산 체계를 갖춘 후, 2001년내에 투입기준 월 50,000 Glass 생산 Capa 확보가 가능 할 것으로 전망
3. TECHNICAL RESOURCE
Gear Hinge, Side Mounting 등 독자개발기술에 대한 세계적인 특허를 보유, 로열티를 거의 지불하지 않아 원가 경쟁력에 기여.
노트북PC의 핵심인 경량/박형 기술을 독자개발해 World Top 수준에 있으며, 개발중인 고개구율 기술과 고효율 Back light 기술 또한 강점기술임.
독자개발한 AV 배향기술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독보적인 기술임.
저온 Poly-Si TFT LCD 기술을 개발, 국내최초로 노트북 PC용 대면적 제품개발에 성공.
4. FINANCIAL RESOURCE
LG전자와 LG반도체의 TFT-LCD분야가 합쳐져 만들어진 자본금 7250억원의 기업으로 LG전자가 100% 전액 출자
LG는 ▶반도체매각 ▶유상증자 ▶외자유치를 통해 엄청난 현금을 손에 쥐게 됐다. 현대로부터 현금 1조5천6백억 원을 받는다 2002년까지1조원을 받음, 올해 유상증자로만 1조2천억 원을 마련.
Philips
1. 회사 현황
Philips그룹은 1891년 네덜란드 아인드호벤에서 창업된 이래 이상된 유럽의 대표적인 종합 전기전자회사로서 성장하면서 7개 사업 Unit (Consumer Electronics / Business Electronics/ Domestic Appliances & Personal Care / Semiconductor/ Lighting / Medical System / Components )로 조직화 되었다.
2. 주요 사항
98년의 총매출 340억弗로 세계 전기전자 업계에서 8위. 특히 모니터, 면도기 분야 세계 2위의 위치를 차지해온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이다.
전세계 40개국에 267개의 생산기지, 150개국에 판매 및 서비스 조직이 있으며, 본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위치해 있다. 전체 종업원은 265,000여명으로 알려져 있다.
반도체/전자부품/의료장비/산업 기기 분야가 전체 매출의 60%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며, 지역적으로는 구주를 본거지로 아주/미주지역으로의
확대를 추진중이다. 연간 매출액 약 6%에 이르는 연구, 개발비용에 투자하는 등 연구 개발부분 중요시하는 기업 풍토를 지니고 있다.
3. 강 점
* 높은 인지도( 전 세계적인 가전 브랜드 업체로서의 명성)
* 전세계적인 사업망
* 다양한 가전제품 생산과 판매로 인한 강력한 사업 Know-how 구축
전략적 제휴의 이유
1.LG-LCD
LCD의 제품특성상 라인 하나를 새로 신설하는데 있어 1조원 가량의 투자비용이 소요되고 한 기업이 이러한 투자비용을 감당하는 것은 몹시 위험한 일이며, 이러한 투자 RISK를 분산할 수 있기를 LG-LCD는 바라고 있었다. 또한 정부가 IMF이후 부채비율 200%를
3. 잠재적인 진출 기업 → 대만기업
앞으로 대만기업이 경쟁자로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까지는 미미하다.
또, 대만기업은 단기성 이익 중시의 경향이 강해 향후 시장 흐름에 따라 투자계획을 철회할 가능성도 있는데, 이는 독자적인 사업전개와 조기 기술 확보가 어려운 LCD의 특성상 주로 생산제휴의 형태로 진행하므로 좋은 상대가 없으면 사업을 포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제휴관계를 공식적으로 표명한 三菱-中華映管(CPT), 日本IBM- 宏碁電腦(Acer), 東芝-華新麗華등은 계획대로 추진할 것이나, 생산개시 시점은 당초 계획보다 6개월 정도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최근 松下와 聯友光電(UNIPAQ) 사이에 제휴관계를 맺은 것으로 보이나, 松下는 아직 공식적인 발표는 하지 않고 있으며, 奇美實業(CHI-MEI)은 COLOR FILTER 에 전념할 것으로 보이고, 元太科技(Prime View) 와 東元光電(TECO)은 DROP할 가능성이 높다.
4. 공급자 → 힘있는 공급자는 없음.
5. 구매자 → 노트북, 디지털 TV, 핸드폰 등 액정이 들어가는 모든 제품
현재는 주력 시장은 Notebook PC 시장으로 점차 Desktop PC의 Monitor용으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Notebook PC의 수요에 파생되어 TFT-LCD의 수요도 높은데, 현재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적은 편이라서 가격도 높게 책정되어 있으며, 구매자에 대한 marketpower는 높다고 할 수 있다.
LG LCD 사업현황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부에 의해 LG반도체가 현대반도체에게 매각된 이후 LG반도체가 가지고 있던 LCD부분과 LG전자가 가지고 있던 LCD부분을 통합하여, LG-LCD를 설립하였으며, LG전자가 100%로 지분 보유
1. 98년 사업실적 및 99년 예상
98년 매출 5억불. 99년 18억불 이상 목표 (전년대비 약 3.5배)
2. PHYSICAL RESOURCE
급격히 성장하는 시장수요에 신속히 대응키 위해 기존 1공장 (370 X 470mm 라인), 2공장(590 X 670mm 라인)의 생산 Capa를 최대한 확장, 금년내 투입기준 각 월 70,000 Glass 생산 Capa 확보
차세대 생산시설로 건설 예정인 3공장은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큰 대형 Glass 사이즈(680 X 880 mm)로 2단계에 걸쳐 완공될 예정인데, 2000년에 월 10,000 Glass 양산 체계를 갖춘 후, 2001년내에 투입기준 월 50,000 Glass 생산 Capa 확보가 가능 할 것으로 전망
3. TECHNICAL RESOURCE
Gear Hinge, Side Mounting 등 독자개발기술에 대한 세계적인 특허를 보유, 로열티를 거의 지불하지 않아 원가 경쟁력에 기여.
노트북PC의 핵심인 경량/박형 기술을 독자개발해 World Top 수준에 있으며, 개발중인 고개구율 기술과 고효율 Back light 기술 또한 강점기술임.
독자개발한 AV 배향기술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독보적인 기술임.
저온 Poly-Si TFT LCD 기술을 개발, 국내최초로 노트북 PC용 대면적 제품개발에 성공.
4. FINANCIAL RESOURCE
LG전자와 LG반도체의 TFT-LCD분야가 합쳐져 만들어진 자본금 7250억원의 기업으로 LG전자가 100% 전액 출자
LG는 ▶반도체매각 ▶유상증자 ▶외자유치를 통해 엄청난 현금을 손에 쥐게 됐다. 현대로부터 현금 1조5천6백억 원을 받는다 2002년까지1조원을 받음, 올해 유상증자로만 1조2천억 원을 마련.
Philips
1. 회사 현황
Philips그룹은 1891년 네덜란드 아인드호벤에서 창업된 이래 이상된 유럽의 대표적인 종합 전기전자회사로서 성장하면서 7개 사업 Unit (Consumer Electronics / Business Electronics/ Domestic Appliances & Personal Care / Semiconductor/ Lighting / Medical System / Components )로 조직화 되었다.
2. 주요 사항
98년의 총매출 340억弗로 세계 전기전자 업계에서 8위. 특히 모니터, 면도기 분야 세계 2위의 위치를 차지해온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이다.
전세계 40개국에 267개의 생산기지, 150개국에 판매 및 서비스 조직이 있으며, 본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위치해 있다. 전체 종업원은 265,000여명으로 알려져 있다.
반도체/전자부품/의료장비/산업 기기 분야가 전체 매출의 60%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며, 지역적으로는 구주를 본거지로 아주/미주지역으로의
확대를 추진중이다. 연간 매출액 약 6%에 이르는 연구, 개발비용에 투자하는 등 연구 개발부분 중요시하는 기업 풍토를 지니고 있다.
3. 강 점
* 높은 인지도( 전 세계적인 가전 브랜드 업체로서의 명성)
* 전세계적인 사업망
* 다양한 가전제품 생산과 판매로 인한 강력한 사업 Know-how 구축
전략적 제휴의 이유
1.LG-LCD
LCD의 제품특성상 라인 하나를 새로 신설하는데 있어 1조원 가량의 투자비용이 소요되고 한 기업이 이러한 투자비용을 감당하는 것은 몹시 위험한 일이며, 이러한 투자 RISK를 분산할 수 있기를 LG-LCD는 바라고 있었다. 또한 정부가 IMF이후 부채비율 200%를
추천자료
[전략적제휴]전략적 제휴의 현황과 국내 항공사들의 전략적 제휴
[인문과학] [전략적제휴A+] 전략적제휴 유형과 마케팅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전략적 제휴사례 ...
[전략적제휴A+] 전략적제휴 유형과 마케팅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전략적 제휴사례 및 실패요인...
LG생명과학과 전략적제휴,전략적제휴사례,LG생명과학기업분석,LG생명과학마케팅전략.PPT자료
국제합작투자와전략적제휴,기능적 제휴와 국제합작투자 차이점,국제합작투자와 전략적 제휴의...
[글로벌 전략] 기업의 전략적 제휴 - 이노블록 및 LG 하우시스의 전략적 제휴 - 기업의전략적...
애플의효과적인전략적제휴, 애플전략적제휴, 전략적제휴사례, 전략적제휴 - 전략적 제휴란, ...
전략적제휴,전략적제휴사례및유형,성공적인 전략적제휴,LG전자의 전략적제휴
[글로벌전략] 카카오톡과 네이버라인의 전략적제휴 사례 비교 - 카카오톡 전략적제휴, 네이버...
전략적제휴, 합작투자, 기업 인수합병 (전략적 제휴의 정의, 목적, 유형, 성공적인 제휴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