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간호의 필요성 200601251 홍인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정간호의 필요성 200601251 홍인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가정간호사업

2)가정간호사업의 필요성

3)가정간호 대상자

4)가정간호사업의 목적

5)가정간호의 특정

6)가정간호사업의 운영

본문내용

법인체로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독립된 조직체계를 갖추고 비영리적으로 윤영되는 기관.
-대상: 재가환자와 그 가족
-유형: 보건소와 같은 공공기관을 통한 가정간호사업과 비영리법인인 대한간호협회 산 하 일부 지부에서 실시하는 가정간호 사업.
-재원조달방법: 의료급여나 정부의 재정지원이 주가 됨.
②의료기관(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
-1974년 원주 기독병원에서 시작된 병원중심의 가정간호가 우리나라 최초의 가정간호사 업의 기록.
-대상자: 의료기관에서 입원한 후 조기 퇴원한 환자와 과거 입원경력이 있고, 재입원이 요구되는 왜래 및 응급실 환자 중 다음에 해당하는 자로 진료담당의사 또는 한 의사가 가정에서 계속적인 치료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
③가정간호의 범위: 간호, 검체의 채취 및 운반, 투약, 주사, 응급처치 등의 교육 및 훈련, 상담, 건강관리에 관한 다른 보건의료기관에의 의뢰.
④가정간호 관련내용
-가정간호 중 검체의 채취, 및 운반, 투약, 주사 또는 치료적 의료행위인 간호를 하는 경 우에는 의사 또는 한의사의 처방에 의하여야 하며, 처방의 유효기간은 처방일로부터 90 일임.
-가정간호를 실시하는 의료기관의 장은 가정전문간호사를 2인 이상 두어야 하며, 가정간 호에 관한 기록을 5년간 보존하여야 함.
⑤가정간호비용 지불방법
-가정간호가 입원대체서비스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입원진료비 급여기준과 동일하게 적 용.
-기본방문료 + 해당환자에게만 추가로 적용되는 개별행위료 = 보험급여 항목으로 포함 시켜 본인 20% 부담, 나머지는 국민건강보험 재정에서 부담.
-교통비= 비보험급여 항목으로 전액 본인부담.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8.18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6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