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의 이해
가. 교육의 개념: 어원에 따른 접근
나. 교육의 개념: 교육에 대한 정의
2. 교육철학의 이해
가. 철학의 개념
나. 교육철학의 개념
다. 교육학에서의 교육철학의 위치
라. 교육철학의 탐구영역
마. 교육철학의 기능
가. 교육의 개념: 어원에 따른 접근
나. 교육의 개념: 교육에 대한 정의
2. 교육철학의 이해
가. 철학의 개념
나. 교육철학의 개념
다. 교육학에서의 교육철학의 위치
라. 교육철학의 탐구영역
마. 교육철학의 기능
본문내용
육학적 함의: 인간과 세계에 대한 다양한 형이상학적 신념체계에 따라 상이한 교육제 도내용방법이 구성된다
2) 인식론
-진리와 지식의 근거와 본질, 지식의 구조와 방법, 인식과 존재의 관계 및 지식의 가치를 탐구하는 영역
-교육학적 함의: 교육은 그 목적과 내용에 있어서 지식과 의식의 문제를 중심과제로 삼고 있다. 따라서 인식론은 교육을 통해 취급될 지식의 성격을 밝혀주며, 지 식의 탐구에서 유의해양 할 조건들을 제시해줌
3) 가치론
-‘무엇이 가치로운가’에 대한 탐구영역. 윤리학과 미학의 두 영역으로 구분 가능.
*윤리학은 도덕철학이라 부르며, 선과 악, 의(義)와 사(邪), 정(正)과 부정(不正)에 관한 판단 논리와 근거의 문제 다룸
*미학은 어떤 대상이 아름다운가, 추한가의 문제, 그리고 그 판단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가에 대한 문제 탐구
-교육학적 함의: 교육은 본질적으로 ‘가치의 사업’. 교육의 전 분야가 가치의 문제와 불가 분의 관계
마. 교육철학의 기능
1) 교육적 현상 탐구 방식
-과학적 접근방법과 철학적 접근 방법
*과학적 접근법: 기술/서술 - 설명 - 예측 - 통제
*철학적 접근법: 분석, 평가, 사변, 종합
2) 교육철학의 기능
(1) 분석적 기능
-교육의 이론적 탐구나 실천적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개념을 명확히 하고, 명제들 의 논리적 모순이나 모호성을 밝히는 기능
-불분명한 개념, 용어, 명제의 의미를 분명히 하고 논리적 모순을 제거하는 일련의 분석, 검토과정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
(2) 평가적/ 규범적 기능
-교육현상이나 교육적 사태에 대해 가치판단이나 평가
-교육에 관한 주장이나 이론, 명제, 원리, 실천 활동을 어떤 기준이나 준거에 의해 판단하 는 기능
-분석적 기능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음
*“교직의 자율성은 이루어지고 있는가?”
(3) 사변적 기능
-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있어서 문제 해결의 새로운 방향이나 가치를 제언하는 기능. 새로 운 가설을 제시하거나 전망하는 활동
->문제 해결의 새로운 방향 모색을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사고행위
-사변적 기능은 그 자체로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평가적ㆍ분석적 기능을 기초로 가능
*“바람직한 인간교육의 방향”: 인간교육
바람직한
(4) 종합적/통합적 기능
-교육이론이나 실천에서 제각기 따로 분리되어 있는 개별적이고 단편적인 여러 사실들을 하나의 유기적인 체계로 조직하고 통합하는 일
2) 인식론
-진리와 지식의 근거와 본질, 지식의 구조와 방법, 인식과 존재의 관계 및 지식의 가치를 탐구하는 영역
-교육학적 함의: 교육은 그 목적과 내용에 있어서 지식과 의식의 문제를 중심과제로 삼고 있다. 따라서 인식론은 교육을 통해 취급될 지식의 성격을 밝혀주며, 지 식의 탐구에서 유의해양 할 조건들을 제시해줌
3) 가치론
-‘무엇이 가치로운가’에 대한 탐구영역. 윤리학과 미학의 두 영역으로 구분 가능.
*윤리학은 도덕철학이라 부르며, 선과 악, 의(義)와 사(邪), 정(正)과 부정(不正)에 관한 판단 논리와 근거의 문제 다룸
*미학은 어떤 대상이 아름다운가, 추한가의 문제, 그리고 그 판단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가에 대한 문제 탐구
-교육학적 함의: 교육은 본질적으로 ‘가치의 사업’. 교육의 전 분야가 가치의 문제와 불가 분의 관계
마. 교육철학의 기능
1) 교육적 현상 탐구 방식
-과학적 접근방법과 철학적 접근 방법
*과학적 접근법: 기술/서술 - 설명 - 예측 - 통제
*철학적 접근법: 분석, 평가, 사변, 종합
2) 교육철학의 기능
(1) 분석적 기능
-교육의 이론적 탐구나 실천적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개념을 명확히 하고, 명제들 의 논리적 모순이나 모호성을 밝히는 기능
-불분명한 개념, 용어, 명제의 의미를 분명히 하고 논리적 모순을 제거하는 일련의 분석, 검토과정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
(2) 평가적/ 규범적 기능
-교육현상이나 교육적 사태에 대해 가치판단이나 평가
-교육에 관한 주장이나 이론, 명제, 원리, 실천 활동을 어떤 기준이나 준거에 의해 판단하 는 기능
-분석적 기능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음
*“교직의 자율성은 이루어지고 있는가?”
(3) 사변적 기능
-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있어서 문제 해결의 새로운 방향이나 가치를 제언하는 기능. 새로 운 가설을 제시하거나 전망하는 활동
->문제 해결의 새로운 방향 모색을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사고행위
-사변적 기능은 그 자체로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평가적ㆍ분석적 기능을 기초로 가능
*“바람직한 인간교육의 방향”: 인간교육
바람직한
(4) 종합적/통합적 기능
-교육이론이나 실천에서 제각기 따로 분리되어 있는 개별적이고 단편적인 여러 사실들을 하나의 유기적인 체계로 조직하고 통합하는 일
추천자료
한국 유아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존로크]의 생애, 기본철학과 교육사상
7차 교육과정 중 수월성 교육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사회변동과 교육
홍대용(湛軒 洪大容: 1731-1783)의 교육사상
교육심리학의 이해와 주요 이론&교육 정책에 대한 고찰
코메니우스
[환경][자연환경][환경교육][환경사랑][교육사업]환경(자연환경)의 의미, 환경(자연환경)의 ...
수준별수업(학습, 수준별교육과정)의 의의와 배경, 수준별수업(학습, 수준별교육과정)의 국내...
[프랑스의 교육][교육분권][교원제도][지역교육계약][문화교육정책][아카데미교육정책]프랑스...
[교육사회학][교육사회학 접근이론][교육사회학 연구방법][교육사상]교육사회학의 정의,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