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 살벌한 와인”의 신제품 프로젝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달콤 살벌한 와인”의 신제품 프로젝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달콤 살벌한 와인” 후기


2. 아이디어 창출 과정
(브레인스토밍)


3. 아이디어 평가 과정
(기술포트폴리오)


4. 아이디어 실현 단계
(Gerwin의 신제품 개발 단계)


5. 와인 회사의 혁신 사례 예시

본문내용

리기가 힘들기 때문에 제품 생산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상으로 우리 기업은 아이디어 창출 과정에서 나온 5가지 제안들 중에서 일회용 포장 와인과 무알코올 와인을 생산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다른 아이디어인 거봉 또는 다른 과일로 와인 만들기와 쉽게 딸 수 있는 와인은 기술 포트폴리오의 관점에서 본 결과 투자를 회수하는 쪽이 현명한 선택이라 판단되어 투자를 회수하였고, 마지막으로 온도별로 색이 바뀌는 와인은 우리 회사에서 생산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타 기업에게 노하우를 판매하기로 결정하였다.
3. 아이디어 실현 과정 (Gerwin의 이론)
아이디어 실현 과정에서 우리는 기존의 방법인 각 단계별로 각 기능 영역을 중요시 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 생산 초기 단계에서부터 마케팅 부문과 연구개발 부문, 그리고 생산 부문이 모두 참여하여 신제품 개발 초기의 전략적 약점을 보안해주는 저윈(Gerwin)의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저윈(Gerwin)의 새로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모형을 지니고 있다.
<마케팅부문>
마케팅 부문에서 가장 먼저 시도된 것은 소비자에 대한 시장 조사였다. 다음의 설문지는 “달콤 살벌한 와인” 팀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각 구성원이 10명씩의 대상자로 하여금 실제로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만들어졌다.
아래의 설문을 통해 소비자들의 와인에 대한 태도와 와인의 대중성에 대해서 조사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문항에 대한 결과로는 ②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1명 ③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12명 ④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17명으로 나왔다. 이 결과로 보면 우리가 예상한 것과 같이 아직까지는 많은 젊은 층의 소비자들이 와인에 대해 거의 접해 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문항에 대한 결과로는 ①번 문항과 ②번 문항에서 모든 의견이 나왔다. ①번 문항은 11명으로 나왔고, ②번 문항에서 19명으로 나왔다. 이 결과로 보면 우리 기업의 와인을 홍보하기 위해서 중점적으로 공략해야 하는 부분이 패밀리 레스토랑이라는 판단을 할 수가 있었다.
3. 문항에 대한 결과로는 ①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19명, ②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4명, ④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7명으로 나왔다. 이 결과로 보면 일반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와인에 대해 아직까지 비싸다는 견해가 주를 이루었다.
4. 문항에 대한 결과로는 ①번 문항에 대한 의견으로 1명이 나왔고, ②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3명, ③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11명이 나왔고, ④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15명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아 우리 기업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마케팅 활동으로 소비자들에게 쉽게 인식 시킬 수 있는 와인이 필요해 보였다.
5. 문항에 대한 결과는 ③번 문항의 의견이 1명, ④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29명으로 와인을 접할 기회가 없다는 쪽에 압도적인 의견이 나왔다. 이것을 보면 아직까지 와인에 대해서는 일반 계층만이 애용하는 것으로 보여 졌다.
6. 문항에 대한 결과는 ①번 문항의 의견은 10명, ②번 문항이 8명이 나왔고, ③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8명, ④번 문항의 의견이 4명으로 기타 의견은 인식이 부족하다는 의견과 먹을 기회가 없고, 선뜻 와인을 먹기가 부담스럽다는 의견과 구매 장소가 마땅치 않다는 의견이 나왔다. 여러 가지 의견이 나왔는데 결과적으로 와인에 대한 인식과 와인의 대중성이 부족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7. 문항에 대한 결과는 ①번 문항의 의견이 21명이고, ②번 문항이 3명, ③번 문항이 6명으로 나왔다. 이 결과 우리 기업에서 만들고자 하는 일회용 포장 와인에 대한 시장성이 어느 정도 뛰어나다고 판단되어 진다.
8. 문항의 결과는 ①번 문항의 의견이 11명이고, ②번 문항이 8명이고, ③번 문항의 의견이 4명, ④번 문항이 7명으로 나타났다. 이번 문항에서 여러 가지 의견이 나왔는데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달콤한 맛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아 아직 와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반적으로 와인을 애용하는 계층의 경우 와인의 달콤한 맛 보다는 떫은 맛의 와인이 고급 와인으로 취급되는 것이 대부분인데 반에 우리가 설문한 젊은 계층의 소비자들의 경우 와인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아직은 주류이기 보다는 음료에 가까운 달콤한 맛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여 졌다.
9. 문항에 대한 결과로는 ①번 문항이 25명이 나왔고, ③번 문항이 4명이고, ④번 문항이 1명으로 나왔다. 이것으로 보아 거의 대부분의 젊은 층의 소비자들은 스테이크를 먹을 때 와인을 찾는 경우가 많았다. 일반적으로 젊은 층의 소비자들이 스테이크를 이용하는 곳이 패밀리 레스토랑이 대부분이므로 우리가 중점적으로 마케팅 활동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곳 역시 패밀리 레스토랑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10. 문항에 대한 결과가 ①번 문항이 4명이고, ②번 문항에 대한 의견이 12명으로 나왔고, ③번 문항의 의견이 10명이고, ④번 문항이 4명으로 나왔다. 이 결과 대부분의 소비자가 소주 1병 가량을 먹는 것으로 보여 졌다. 일반적으로 소주의 알코올 도수가 19~21도가 대부분이고 와인의 경우 11~12도로 소주보다는 알코올 도수가 낮지만 맥주보다는 높기 때문에 술을 잘 먹지 못 하는 소비자의 경우 쉽게 접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우리 기업이 만들고자 하는 무알코올 와인의 기술적 매력성이 뛰어나다고 보여 진다.
이번 설문 결과로 보아 젊은 층의 소비자들의 경우 대부분이 아직까지 와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와인의 대중성이 떨어진다고 보여 지고, 따라서 우리 기업의 주된 마케팅 전략으로 대중성에 기여한 마케팅 전략을 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우리 기업에서 신제품 개발을 하고자 하는 일회용 포장 와인과 무알코올 와인에 대한 인식 역시 시장성 측면에서 기대되어 신제품 개발 후 고도의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 보여 진다.
< 설 문 지 >
1. 지금까지 접해본 와인의 종류는 얼마나 됩니까?
① 10 병 이상.
② 5~10 병.
③ 1~5 병.
④ 없다.
2. 와인을 이용하셨다면, 구체적으로 어디서 이용을 하셨습니까?
① 대형 할인 마트.
② 패밀리 레스토랑.
③ 와인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8.19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6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