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청소년 왕따 현상
2) 집단 따돌림 가해학생
3) 집단 따돌림 피해학생
2) 집단 따돌림 가해학생
3) 집단 따돌림 피해학생
본문내용
동특성 >
- 집에 돌아온 후 피곤한 듯 주저 앉는다.
- 학용품이나 소지품이 자주 없어지거나 부서져 있다.
- 예전보다 용돈을 자주달라거나 많이 요구한다.
- 손발에 상처가 있거나 옷이 찢겨 있는 일이 잦다.
- 노트나 가방에 낙서가 많다.
- 내성적이고 소심하며 초조한 기색이 보인다.
- 학교에 가길 싫어하고 학교에 늦게 가려고 한다.
- 학교를 그만 두고 싶다거나 전학 가고 싶다고 말한다.
- 다른 아이의 괴롭힘에 대한 피해를 자주 말한다.
- 머리나 배가 아프다고 호소한다.
- 자기 방에 틀어박혀 있는 시간이 많아진다.
- 친구나 선배한테 전화 오는 것을 싫어한다.
- 참고 문헌 -
전민영 (2007). 인식대상에 따른 집단따돌림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간의 자아개념의 비교. 학위논문(석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김시몬 (2002). 집단 따돌림의원인. 상담과 선교(제35호). 한국상담선교연구원.
남락헌 (1995). 따돌림 당하는 아이의 행동 특성, 따돌림 하는 아이의행동 특성 「왕따리포트」. 서울 : 우리교육
박순옥 (1999). 일반아동과 지체부자유 아동간의 자아 개념 및 내외통제성과 외상관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집에 돌아온 후 피곤한 듯 주저 앉는다.
- 학용품이나 소지품이 자주 없어지거나 부서져 있다.
- 예전보다 용돈을 자주달라거나 많이 요구한다.
- 손발에 상처가 있거나 옷이 찢겨 있는 일이 잦다.
- 노트나 가방에 낙서가 많다.
- 내성적이고 소심하며 초조한 기색이 보인다.
- 학교에 가길 싫어하고 학교에 늦게 가려고 한다.
- 학교를 그만 두고 싶다거나 전학 가고 싶다고 말한다.
- 다른 아이의 괴롭힘에 대한 피해를 자주 말한다.
- 머리나 배가 아프다고 호소한다.
- 자기 방에 틀어박혀 있는 시간이 많아진다.
- 친구나 선배한테 전화 오는 것을 싫어한다.
- 참고 문헌 -
전민영 (2007). 인식대상에 따른 집단따돌림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간의 자아개념의 비교. 학위논문(석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김시몬 (2002). 집단 따돌림의원인. 상담과 선교(제35호). 한국상담선교연구원.
남락헌 (1995). 따돌림 당하는 아이의 행동 특성, 따돌림 하는 아이의행동 특성 「왕따리포트」. 서울 : 우리교육
박순옥 (1999). 일반아동과 지체부자유 아동간의 자아 개념 및 내외통제성과 외상관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