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친환경농산물의 종류
1. 유기재배농산물
2. 전환기유기농산물
3. 무농약농산물
4. 저농약농산물
Ⅲ.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
1. 친환경농산물 판매처수
2. 품목별 시장규모
1) 쌀
2) 채소류
Ⅳ. 친환경농산물의 장점
1. 영양보다는 위생을 강조하는 현실
2. 인체면역력 강화
3. 농약의 공포로부터 안전
4. 소비자단체 또는 정부기관 인증품은 수입품과 구별 용이
5. 환경운동의 실천
Ⅴ. 친환경농산물의 문제점
1. 가격이 비싸다
2. 구하기 어렵다
3. 선별이 안 된다
Ⅵ. 친환경농산물의 유통활성화 과제
1. 유통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
2. 물류시스템의 개선
1) (공동)물류센터 설치․운영
2) 산지유통센터의 활용
3) 친환경농산물의 정보체계 구축
3. 품질관리제도 개선
1) 품질관리제도의 정비
2) 품질관리제도의 홍보
4. 판매망의 확충과 판촉활동 강화
1) 판매망 확충
2) 판촉활동 및 친환경농산물 차별성 교육 강화
5. 유통 관련 정책자금 지원제도의 개선
참고문헌
Ⅱ. 친환경농산물의 종류
1. 유기재배농산물
2. 전환기유기농산물
3. 무농약농산물
4. 저농약농산물
Ⅲ.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
1. 친환경농산물 판매처수
2. 품목별 시장규모
1) 쌀
2) 채소류
Ⅳ. 친환경농산물의 장점
1. 영양보다는 위생을 강조하는 현실
2. 인체면역력 강화
3. 농약의 공포로부터 안전
4. 소비자단체 또는 정부기관 인증품은 수입품과 구별 용이
5. 환경운동의 실천
Ⅴ. 친환경농산물의 문제점
1. 가격이 비싸다
2. 구하기 어렵다
3. 선별이 안 된다
Ⅵ. 친환경농산물의 유통활성화 과제
1. 유통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
2. 물류시스템의 개선
1) (공동)물류센터 설치․운영
2) 산지유통센터의 활용
3) 친환경농산물의 정보체계 구축
3. 품질관리제도 개선
1) 품질관리제도의 정비
2) 품질관리제도의 홍보
4. 판매망의 확충과 판촉활동 강화
1) 판매망 확충
2) 판촉활동 및 친환경농산물 차별성 교육 강화
5. 유통 관련 정책자금 지원제도의 개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견고한 정착을 위해서는 품질인증제로의 일원화가 바람직하다.
- 친환경농산물의 분류를 현행 3~4단계에서 2단계로 축소한다.
○ 친환경농산물 유통업자, 가공업자 등이 친환경농산물로 표시할 경우에 대한 관리규정을 신설하고 수입 유기농산물 및 유기가공품에 대한 관리방안을 마련한다.
○ 품질관리 관계 법령이 국제기준과 현실에 부합되도록 개정보완한다.
- 친환경농산물의 국제교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 유기농산물 품질기준이 Codex지침에 부합하는지 정밀 검토 후 품질기준을 보완한다.
- 현실성이 결여된 조항은 재정비한다.
○ 품질보증의 주체는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고 보증의 객관성과 공신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당분간은 국가기관이 담당한다.
- 품질인증업무의 강화를 위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조직과 인력을 보강한다.
2) 품질관리제도의 홍보
○ 친환경농산물의 품질보증을 위한 업무수행 비용과 노력에 비해 관리제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 품질보증제도에 대한 인식의 저위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어 품질인증 및 표시제도에 대한 홍보강화가 필요하다.
○ 품질관리제도에 대해 TV, 라디오, 신문 등 언론매체를 활용한 공익광고의 확대와 각종 교육을 통하여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을 제고한다.
- 친환경농산물 홍보를 위한 최근의 공익방송과 지하철광고 후 친환경농산물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바, 전파력이 높은 TV를 이용한 공익광고를 대폭 확대한다.
4. 판매망의 확충과 판촉활동 강화
1) 판매망 확충
○ 친환경농산물 취급 점포를 확대한다.
- 하나로마트, 일정 규모의 시설을 갖춘 농산물 판매장에 친환경농산물 전문판매 코너를 확대 설치하도록 유도한다.
-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파머스마켓, 직거래 장터 등 직거래시설을 친환경농산물유통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 기존 친환경농산물 유통조직 내에 사이버쇼핑몰을 개설한다.
- 현재 일부 생협에서 추진하고 있으나 소비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사이버마켓을 구축하고 농림부 통합쇼핑몰과 연계한다.
○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유지를 통해 소비확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예냉시설, 냉장차 등 직거래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 지원을 강화한다.
- 친환경농산물의 포장디자인 및 브랜드화 개발을 지원한다.
2) 판촉활동 및 친환경농산물 차별성 교육 강화
○ 친환경농산물을 단체급식 원료로 사용을 확대한다.
- 친환경농산물을 정부 및 공공기관, 대기업, 학교 및 병원, 군부대의 급식원료로 공급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 환경농업 관련 생산소비자단체, 여성단체, 정부 등이 친환경농산물 소비촉진 캠페인을 전개한다.
- 친환경농산물의 우수성 홍보, 친환경농산물 먹기 운동 등을 한다.
○ 다양한 친환경농산물 상품을 개발한다.
- 채소류 위주의 상품개발에서 곡류, 과일, 가공식품까지를 포함한 다양한 상품개발과 디자인 및 포장재를 개발한다.
○ 친환경농산물은 소득 탄성치가 크기 때문에 친환경농산물의 차별성에 대한 교육은 모든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일차적으로 고소득층을 상대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고소득 층 인구밀집지역의 소비자조직화를 유도한다.
- 도시 아파트단지 주민을 조직화하여 생산자조직과 연계함으로써 도농공동체를 형성한다.
5. 유통 관련 정책자금 지원제도의 개선
○ 친환경농산물 유통 관련 정책자금에는 수매자금, 물류시설 지원자금, 사이버마켓구축 지원자금 등이 있다.
- 수매자금 : 125억 원(환경농업단체 45억, 소비자단체 80억 원)
- 물류시설지원 : 15억 원
○ 친환경농산물을 취급하는 단체가 영세하고 담보력이 부족하여 지원자금이 유용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친환경농산물의 유통활성화를 위해 현행 담보제도의 개선과 지원규모의 확대가 필요하다.
-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을 활용한 담보제도를 개선한다.
- 직거래자금 지원 시 쌀과 기타 곡류까지 포함될 수 있도록 지원대상 품목을 확대한다.
참고문헌
김창길 외(2005) :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선호와 구매행태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창길·정학균·문동현(2009) : 최근 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 및 시장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강충관 외 8인(2005) : 친환경농산물 부가가치 제고방안 연구, 농촌진흥청
대구경북 농협지소 : 유기농법이란 무엇인가?
배경근(2006) : 친환경농업의 현황과 미래, 한국식품과학회지
유통공사 정보지원센터(2005) : 친환경 농산물 유통실태조사 농수산물
친환경 전문유통 : 자연愛 우리밀
- 친환경농산물의 분류를 현행 3~4단계에서 2단계로 축소한다.
○ 친환경농산물 유통업자, 가공업자 등이 친환경농산물로 표시할 경우에 대한 관리규정을 신설하고 수입 유기농산물 및 유기가공품에 대한 관리방안을 마련한다.
○ 품질관리 관계 법령이 국제기준과 현실에 부합되도록 개정보완한다.
- 친환경농산물의 국제교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 유기농산물 품질기준이 Codex지침에 부합하는지 정밀 검토 후 품질기준을 보완한다.
- 현실성이 결여된 조항은 재정비한다.
○ 품질보증의 주체는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고 보증의 객관성과 공신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당분간은 국가기관이 담당한다.
- 품질인증업무의 강화를 위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조직과 인력을 보강한다.
2) 품질관리제도의 홍보
○ 친환경농산물의 품질보증을 위한 업무수행 비용과 노력에 비해 관리제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 품질보증제도에 대한 인식의 저위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어 품질인증 및 표시제도에 대한 홍보강화가 필요하다.
○ 품질관리제도에 대해 TV, 라디오, 신문 등 언론매체를 활용한 공익광고의 확대와 각종 교육을 통하여 생산자와 소비자의 인식을 제고한다.
- 친환경농산물 홍보를 위한 최근의 공익방송과 지하철광고 후 친환경농산물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바, 전파력이 높은 TV를 이용한 공익광고를 대폭 확대한다.
4. 판매망의 확충과 판촉활동 강화
1) 판매망 확충
○ 친환경농산물 취급 점포를 확대한다.
- 하나로마트, 일정 규모의 시설을 갖춘 농산물 판매장에 친환경농산물 전문판매 코너를 확대 설치하도록 유도한다.
-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파머스마켓, 직거래 장터 등 직거래시설을 친환경농산물유통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 기존 친환경농산물 유통조직 내에 사이버쇼핑몰을 개설한다.
- 현재 일부 생협에서 추진하고 있으나 소비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사이버마켓을 구축하고 농림부 통합쇼핑몰과 연계한다.
○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유지를 통해 소비확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예냉시설, 냉장차 등 직거래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 지원을 강화한다.
- 친환경농산물의 포장디자인 및 브랜드화 개발을 지원한다.
2) 판촉활동 및 친환경농산물 차별성 교육 강화
○ 친환경농산물을 단체급식 원료로 사용을 확대한다.
- 친환경농산물을 정부 및 공공기관, 대기업, 학교 및 병원, 군부대의 급식원료로 공급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 환경농업 관련 생산소비자단체, 여성단체, 정부 등이 친환경농산물 소비촉진 캠페인을 전개한다.
- 친환경농산물의 우수성 홍보, 친환경농산물 먹기 운동 등을 한다.
○ 다양한 친환경농산물 상품을 개발한다.
- 채소류 위주의 상품개발에서 곡류, 과일, 가공식품까지를 포함한 다양한 상품개발과 디자인 및 포장재를 개발한다.
○ 친환경농산물은 소득 탄성치가 크기 때문에 친환경농산물의 차별성에 대한 교육은 모든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일차적으로 고소득층을 상대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고소득 층 인구밀집지역의 소비자조직화를 유도한다.
- 도시 아파트단지 주민을 조직화하여 생산자조직과 연계함으로써 도농공동체를 형성한다.
5. 유통 관련 정책자금 지원제도의 개선
○ 친환경농산물 유통 관련 정책자금에는 수매자금, 물류시설 지원자금, 사이버마켓구축 지원자금 등이 있다.
- 수매자금 : 125억 원(환경농업단체 45억, 소비자단체 80억 원)
- 물류시설지원 : 15억 원
○ 친환경농산물을 취급하는 단체가 영세하고 담보력이 부족하여 지원자금이 유용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친환경농산물의 유통활성화를 위해 현행 담보제도의 개선과 지원규모의 확대가 필요하다.
-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을 활용한 담보제도를 개선한다.
- 직거래자금 지원 시 쌀과 기타 곡류까지 포함될 수 있도록 지원대상 품목을 확대한다.
참고문헌
김창길 외(2005) :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선호와 구매행태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창길·정학균·문동현(2009) : 최근 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 및 시장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강충관 외 8인(2005) : 친환경농산물 부가가치 제고방안 연구, 농촌진흥청
대구경북 농협지소 : 유기농법이란 무엇인가?
배경근(2006) : 친환경농업의 현황과 미래, 한국식품과학회지
유통공사 정보지원센터(2005) : 친환경 농산물 유통실태조사 농수산물
친환경 전문유통 : 자연愛 우리밀
추천자료
- 산지농업환경의 특성과 환경지속성을 위한 최적 영농관리 방안
- [유통]백화점 및 할인점 PB상품
- [웰빙][웰빙열풍][웰빙음식][웰빙산업][웰빙족][웰빙소비자][웰빙시대][웰빙사례]웰빙의 개념...
- 유기농가공식품
- 로컬푸드운동의 정의와 해외사례 및 국내 로컬푸드운동 활성화방안 (A+리포트)
- 햇사레 복숭아의 성공요인 및 현황과 발전 방향
- 함평나비축제 레포트
- 하나로클럽
- [마케팅 제안서 작성] 농협 하나로 클럽을 위한 마케팅 제안서
- [구기자, 구기자 특성, 구기자 이용, 구기자 효능, 구기자차, 건강음료, 구기자 추출물, 항산...
- 레이첼카슨의 침북의 봄을 읽고
- (농축산환경학 A형)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을 위한 농축산물의 안전성 확보와 다원적 기능 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