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이미지
Ⅱ. 시적 진술의 구조와 시점
<문예창작의 이해 과제 2>
2-① 이승훈 <시론:현대시와 상상력>
2-② 오규원 <현대시작법:시와 화자>
2-③ 김행숙 <눈사람>
<과제 3-1> 시 감상 및 분석하기
<과제 4-1> 시 감상 및 분석하기
<과제 4-2>비유와 활용 요약
<과제 5-1>창작시 비평
<과제 5-2> 문지문화원 “사이” 참관기
Ⅱ. 시적 진술의 구조와 시점
<문예창작의 이해 과제 2>
2-① 이승훈 <시론:현대시와 상상력>
2-② 오규원 <현대시작법:시와 화자>
2-③ 김행숙 <눈사람>
<과제 3-1> 시 감상 및 분석하기
<과제 4-1> 시 감상 및 분석하기
<과제 4-2>비유와 활용 요약
<과제 5-1>창작시 비평
<과제 5-2> 문지문화원 “사이” 참관기
본문내용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4) 활유
- 활유() personi fication ; 인간이 아닌 사물이나 추상 개념에 인간적인 요소를 부여하여 표현하는 비유법. 대상(사물이나 추상개념)은 감정 이입이 되어 생동감을 갖는다.
① 활유의 종류
⑴ 완전한 의인화 : 대상에 인간적 속성이 완전히 부여되어 있는 형태
⑵ 불완전한 의인화 : 부분적으로 인간의 속성이 부여되고 있는 형태
5) 인유와 인용적 묘사
- 인유(引喩) alolstan ; 잘 알려진 시가, 문장, 어구, 인명 등을 적절히 인용하여 자기의 의도를 살리는 방법. 인유는 역사적, 문화적 자산을 끌어들임으로써 과거의 의미와 새로운 의미를 중첩시켜 독특한 의미론적 문맥을 형성한다.
6) 제유와 환유
- 제유(提喩) synecdoche ; 사물의 일부로써 그 사물의 전체를 나타내는 비유.
- 환유(換喩) metonymy ; 사물의 일부로써 사물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사물의 일부로써 그 사물과 관계가 깊은 다른 어떤 것을 나타내는 것.
7) 풍유와 우화
- 풍유(諷諭) allegory ; 의도하는 바 본래의 의미를 숨기고 다른 말 또는 이야기를 내세워 본래의 의미를 암시하는 비유법. 이야기를 내세워 본래의 의미를 암시하는 비유법. 풍유는 표면적으로 전개되는 구체적 사실 또는 정황과 이면에 숨겨진 추상적 의미의 층이 통상적으로 존재하고, 원관념(추상적 의미)이 숨고 보조관념(구체적 사실 사건)만 나타나 있으므로 상징과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나, 풍자, 비판, 교훈성을 적극 띠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 우화(寓話) fable ; 동식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인간의 삶을 암시하는 이야기 형태. 우화의 보조관념은 모두 비인격적인 동식물이며 원관념은 인격적인 것이 된다.
8) 성유
- 성유(聲喩) onomatopoeia ; 표현하려는 대상의 소리, 동작, 상태, 의미 등을 음성으로 모사하는 비유. 음성상징 sound symbol.
① 성유의 종류
⑴ 의성 : 사물(대상)의 소리로 표현.
⑵ 의태 : 사물의 동작, 상태, 모양 등을 본따서 표현.
9) 희언법
- 희언법(戱言法) pun ; 같은 소리가 나거나, 소리는 유사하지만 뜻이전혀 다른 말을 사용하는 비유법.
4. 말의 비유
1) 도치
- 문장의 정상적인 배열 순서를 바꾸어 어떤 부분을 강조하거나 또는 정석적인 반응(감정)의 강도를 적절히 드러내는 수사법, 흔히 시적 수사에서 나타나는 유형.
2) 과장
- 의미나 인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실이나 현상을 실제보다 더 보태거나 더 줄여서 하는 수사법. 실제보다 더 보탤 경우를 향대 과장(向大誇張) overstatement, 더 축소해서 표현할 경우를 향소 과장(向小誇張) understatement 라 일컬음. 과장hyperbole이 비유의 형태로 나타날 때, 그것을 장유(諭) 라고도 한다.
3) 대조와 모순 어법
- 대조(對照) contrast ; 서로 상반되거나 모순되는 어구를 연결하여 대비의 느낌을 강조하는 동시에, 그 대비와 대립 자체가 또 하나의 통일을 이루게 하는 수사법. 음악의 대위법과 같은 원리. 어조가 비슷한 말을 병립시키는 대구와 구별됨.
- 모순어법(矛盾語法) axymoron ; 대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지만, 모순되는 관념의 결합 상태. 그러나 이 모순은 외형적일 뿐이다.
4) 반복과 열거
- 반복(反復) repetition ;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구를 반복하여 그 의미를 강조하고, 동시에 리듬을 살리는 수사법.
- 열거(列擧) enumeration ; 동위의 어구를 적절히 살려 강조와 리듬을 표현하는 수사법.
5) 반어와 역설
- 반어(反語) irony ; 실상 또는 진실을 안으로 숨기는 수사법.
- 역설(逆說) paradox ; 표면적으로는 모순되는 것 같지만, 그 표면적인 진술 너머에서 진실을 드러내고 있는 수사법. 표현된 것과 은폐하고 있는 표현의 구조가 반어와 유사하므로, 역설을 반어의 한 종류로 보기도 함.
6) 영탄과 돈호법
- 영탄(詠嘆) exclamation ; 감정을 강조하기 위해서 ‘오, 아아....’ 등의 감탄사, 감탄 조사, 감탄형 어미 등을 활용하는 수사법.
- 돈호법(頓呼法) apostrophe ; 시문의 중간에 갑작스럽게 사물 또는 사람의 이름을 넣어 정서적 충격을 불러일으키는 수사법. 영탄법의 독특한 형태로 볼 수 있다.
7) 역언법
- 역언법(逆言法) paralipsis ; 어떤 부분을 의도적으로 생략함으로써 오히려 작가가 생략한 의미를 강조하는 효과를 얻도록 하는 수사법. 고로 그 생략은 충분히 검토된 표현의 하나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함.
8) 수사적 의문법
- 수사적 의문법(修辭的 疑問法) rhetorical question ; 응답을 바라고 하는 질문의 형태가 아닌, 질문이라기보다 질문의 형식을 빈 주장이다. 주장 또는 느낌을 직접 진술하는 것보다 더 큰 효과를 얻기 위한 수사법.
9) 완곡어법
- 완곡어법(婉曲語法) euphemism ; 그리스어로 ‘좋게 말하다’라는 뜻으로부터 연유한 것. 불유쾌하거나 무섭거나 비위에 거슬리는 것을 가리키는 데 쓰이는 말 대신 이보다 모호하거나 우회적인, 또는 덜 일반화된 말을 사용하는 수사법.
<과제 5-1>
창작시 비평
非笑-이상훈
굉장히 이미지가 강한 시다. 첫 번째 연의 ‘깃털마저 모두 뽑힌 채 / 한구석에 널브러져 있는 / 몸뚱아리’ 는 깃털이란 단어로, 새의 어떤 종이 깃털마저 모두 뽑힌 채 잔혹한 모습으로 널부러져 있음을 시각적으로 상상케 한다. 시는 두 번째 연으로 넘어가며 더욱 잔혹한 느낌을 들게 한다. “그 머리를/ 잘라낸다” 라는 어구는 화자가 실제로 새 종류를 도살하는 일을 하는 건지, 아니면 새로 비유된 다른 생물을 도살하는 것인지는 몰라도, 무엇을 도살하는 일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세 번째 연에서 “비린내에 역겨움을 느낀다”라는 부분은 도살하는 일을 가지고 있는 화자이지만, 아직 인간적인 면모가 남아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네 번째 연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과는 다른 밝은 무언가를 갈망하는 마음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만, 다섯 번째 연인 “밤이 먼저 왔다”라는 행에서, 화자가 소망하는 것은 좌절
4) 활유
- 활유() personi fication ; 인간이 아닌 사물이나 추상 개념에 인간적인 요소를 부여하여 표현하는 비유법. 대상(사물이나 추상개념)은 감정 이입이 되어 생동감을 갖는다.
① 활유의 종류
⑴ 완전한 의인화 : 대상에 인간적 속성이 완전히 부여되어 있는 형태
⑵ 불완전한 의인화 : 부분적으로 인간의 속성이 부여되고 있는 형태
5) 인유와 인용적 묘사
- 인유(引喩) alolstan ; 잘 알려진 시가, 문장, 어구, 인명 등을 적절히 인용하여 자기의 의도를 살리는 방법. 인유는 역사적, 문화적 자산을 끌어들임으로써 과거의 의미와 새로운 의미를 중첩시켜 독특한 의미론적 문맥을 형성한다.
6) 제유와 환유
- 제유(提喩) synecdoche ; 사물의 일부로써 그 사물의 전체를 나타내는 비유.
- 환유(換喩) metonymy ; 사물의 일부로써 사물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사물의 일부로써 그 사물과 관계가 깊은 다른 어떤 것을 나타내는 것.
7) 풍유와 우화
- 풍유(諷諭) allegory ; 의도하는 바 본래의 의미를 숨기고 다른 말 또는 이야기를 내세워 본래의 의미를 암시하는 비유법. 이야기를 내세워 본래의 의미를 암시하는 비유법. 풍유는 표면적으로 전개되는 구체적 사실 또는 정황과 이면에 숨겨진 추상적 의미의 층이 통상적으로 존재하고, 원관념(추상적 의미)이 숨고 보조관념(구체적 사실 사건)만 나타나 있으므로 상징과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나, 풍자, 비판, 교훈성을 적극 띠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 우화(寓話) fable ; 동식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인간의 삶을 암시하는 이야기 형태. 우화의 보조관념은 모두 비인격적인 동식물이며 원관념은 인격적인 것이 된다.
8) 성유
- 성유(聲喩) onomatopoeia ; 표현하려는 대상의 소리, 동작, 상태, 의미 등을 음성으로 모사하는 비유. 음성상징 sound symbol.
① 성유의 종류
⑴ 의성 : 사물(대상)의 소리로 표현.
⑵ 의태 : 사물의 동작, 상태, 모양 등을 본따서 표현.
9) 희언법
- 희언법(戱言法) pun ; 같은 소리가 나거나, 소리는 유사하지만 뜻이전혀 다른 말을 사용하는 비유법.
4. 말의 비유
1) 도치
- 문장의 정상적인 배열 순서를 바꾸어 어떤 부분을 강조하거나 또는 정석적인 반응(감정)의 강도를 적절히 드러내는 수사법, 흔히 시적 수사에서 나타나는 유형.
2) 과장
- 의미나 인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실이나 현상을 실제보다 더 보태거나 더 줄여서 하는 수사법. 실제보다 더 보탤 경우를 향대 과장(向大誇張) overstatement, 더 축소해서 표현할 경우를 향소 과장(向小誇張) understatement 라 일컬음. 과장hyperbole이 비유의 형태로 나타날 때, 그것을 장유(諭) 라고도 한다.
3) 대조와 모순 어법
- 대조(對照) contrast ; 서로 상반되거나 모순되는 어구를 연결하여 대비의 느낌을 강조하는 동시에, 그 대비와 대립 자체가 또 하나의 통일을 이루게 하는 수사법. 음악의 대위법과 같은 원리. 어조가 비슷한 말을 병립시키는 대구와 구별됨.
- 모순어법(矛盾語法) axymoron ; 대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지만, 모순되는 관념의 결합 상태. 그러나 이 모순은 외형적일 뿐이다.
4) 반복과 열거
- 반복(反復) repetition ;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구를 반복하여 그 의미를 강조하고, 동시에 리듬을 살리는 수사법.
- 열거(列擧) enumeration ; 동위의 어구를 적절히 살려 강조와 리듬을 표현하는 수사법.
5) 반어와 역설
- 반어(反語) irony ; 실상 또는 진실을 안으로 숨기는 수사법.
- 역설(逆說) paradox ; 표면적으로는 모순되는 것 같지만, 그 표면적인 진술 너머에서 진실을 드러내고 있는 수사법. 표현된 것과 은폐하고 있는 표현의 구조가 반어와 유사하므로, 역설을 반어의 한 종류로 보기도 함.
6) 영탄과 돈호법
- 영탄(詠嘆) exclamation ; 감정을 강조하기 위해서 ‘오, 아아....’ 등의 감탄사, 감탄 조사, 감탄형 어미 등을 활용하는 수사법.
- 돈호법(頓呼法) apostrophe ; 시문의 중간에 갑작스럽게 사물 또는 사람의 이름을 넣어 정서적 충격을 불러일으키는 수사법. 영탄법의 독특한 형태로 볼 수 있다.
7) 역언법
- 역언법(逆言法) paralipsis ; 어떤 부분을 의도적으로 생략함으로써 오히려 작가가 생략한 의미를 강조하는 효과를 얻도록 하는 수사법. 고로 그 생략은 충분히 검토된 표현의 하나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함.
8) 수사적 의문법
- 수사적 의문법(修辭的 疑問法) rhetorical question ; 응답을 바라고 하는 질문의 형태가 아닌, 질문이라기보다 질문의 형식을 빈 주장이다. 주장 또는 느낌을 직접 진술하는 것보다 더 큰 효과를 얻기 위한 수사법.
9) 완곡어법
- 완곡어법(婉曲語法) euphemism ; 그리스어로 ‘좋게 말하다’라는 뜻으로부터 연유한 것. 불유쾌하거나 무섭거나 비위에 거슬리는 것을 가리키는 데 쓰이는 말 대신 이보다 모호하거나 우회적인, 또는 덜 일반화된 말을 사용하는 수사법.
<과제 5-1>
창작시 비평
非笑-이상훈
굉장히 이미지가 강한 시다. 첫 번째 연의 ‘깃털마저 모두 뽑힌 채 / 한구석에 널브러져 있는 / 몸뚱아리’ 는 깃털이란 단어로, 새의 어떤 종이 깃털마저 모두 뽑힌 채 잔혹한 모습으로 널부러져 있음을 시각적으로 상상케 한다. 시는 두 번째 연으로 넘어가며 더욱 잔혹한 느낌을 들게 한다. “그 머리를/ 잘라낸다” 라는 어구는 화자가 실제로 새 종류를 도살하는 일을 하는 건지, 아니면 새로 비유된 다른 생물을 도살하는 것인지는 몰라도, 무엇을 도살하는 일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세 번째 연에서 “비린내에 역겨움을 느낀다”라는 부분은 도살하는 일을 가지고 있는 화자이지만, 아직 인간적인 면모가 남아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네 번째 연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과는 다른 밝은 무언가를 갈망하는 마음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만, 다섯 번째 연인 “밤이 먼저 왔다”라는 행에서, 화자가 소망하는 것은 좌절
키워드
추천자료
근대성의 구조
기업 경영환경 분석 - 서울 디즈니랜드
환타(FanTa)의 광고 및 판매촉진 전략
KTF와 SKT 조직구조 비교
만전춘별사
[웹사이트구조론] 웹 사이트 기획서
신화와 원형
주식시장의 환경변화와 코스닥시장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유형, 특징, 기능과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연구개발동향 ...
<형식주의 비평의 실제> -이효석『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C언어를 이용한 성적관리프로그램 설계(A+자료)
정신역동이론 -분석심리학이론 (Jung의 생애, 성격의 구조, 성격발달단계, Jung 이론의 평가)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Outback SteakHouse) - 아웃백 시장상황 분석,아웃백 4P 3C분석,거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