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과(음악과교육)의 특징,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목표,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변천,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수업관찰, 음악과(음악과교육) 중점방향, 음악과(음악과교육) 교수학습계획, 음악과(음악과교육) 평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악과(음악과교육)의 특징,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목표,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변천,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수업관찰, 음악과(음악과교육) 중점방향, 음악과(음악과교육) 교수학습계획, 음악과(음악과교육)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음악과(음악과교육)의 특징
1. 음악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의 일부분이다
2. 음악은 문화 유산을 전달하는 매체이다
3. 음악은 개인의 감정 상징화의 매체이다
4. 심미적 경험을 준다

Ⅲ.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목표

Ⅳ.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변천
1. 1838 ~ 1930
2. 1980 ~ 1960
3. 1960 ~ 1980 중반
4. 1980후반 ~

Ⅴ.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수업관찰

Ⅵ. 음악과(음악과교육)의 중점방향

Ⅶ. 음악과(음악과교육)의 교수학습계획
1. 교수․학습 계획의 기본 생각
2. 개념적 교수․학습 방법
3. 교수․학습 계획의 순서
1) 수업 목표를 분명히 한다(그 제재곡을 통해 가르칠 개념을 정한다)
2) 어떤 활동을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3) 어떤 순서로 가르칠 것인가를 결정한다
4)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선정한다
5) 학생들의 미적인 측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Ⅷ. 음악과(음악과교육)의 평가
1. 이해 영역
2. 활동 영역의 평가
1) 가창
2) 기악
3) 창작
4) 감상
3. 태도의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한다)
모든 수업에서도 그러하지만 음악수업의 계획에서 가장 먼저 생각할 것은 “음악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분명해진 목표를 갖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흥미로우면서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2) 어떤 활동을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목표가 결정되면 그 목표를 달성하는데 가장 적합한 활동이 무엇인가를 결정한다.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중에 가장 효과적인 활동을 정하고,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합적으로 사용한다. 필요하고 활용가능한 모든 방법을 사용한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효과적으로, 그러면서도 학생들이 흥미 있게 목표에 달성하느냐 하는 점이다.
3) 어떤 순서로 가르칠 것인가를 결정한다
목표와 수업활동이 결정되면 그것을 어떤 순서로 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학생들이 잘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미 배운 것을 먼저 해 보고, 그것을 토대로 다른 새로운 내용을 소개하고, 마지막에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새로운 흥미를 이끌어 내기 위해 전혀 새로운 악곡을 먼저 들어볼 수도 있고, 춤을 추며 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모든 차시 모든 제재 곡에서 모든 음악 수업의 정형적인 단계를 다 거쳐야 할 필요는 없다. 꼭 필요한 것, 효율적인 것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자. 정해져 있는 것은 없다. 목표달성을 위해, 새로운 시각과 진지한 도전이 필요하다. 창의적인 학생은 창의적인 교사가 만들 수 있다.
4)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선정한다
성공적인 수업은 교수학습 자료에 의해서 많은 도움을 받는다. 수업의 흐름에 맞는 자료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아주 효과적이고, 이를 통해 학생들은 능동적으로 학습활동에 참가하게 된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의해야 할 점은 이 자료는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고 “잘 가르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이다. 흔히 공개되는 수업에서 ‘다른 선생님들에게 무엇을 보여줄 수 있을까?’를 고민하게 된다. 그렇지만 실제로 수업활동의 주체는 “학생”이다. 다른 선생님이 보기에 근사한 자료라도 그 목표에는 부합되지 않을 수도 있고, 준비를 위해 노력한 만큼의 효과가 없을 수도 있다. 보기 좋은 자료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쳐 줄 수 있을 것인가?”이다. 그 “무엇을”을 위한 최선의 자료를 생각하자.
5) 학생들의 미적인 측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너무 효과적인 수업만을 계획하다 보면 놓치기 쉬운 부분이다. 음악은 수학이나 과학 같은 이성적인 경험이 아니라, 감정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정서적 경험이다. 그렇기 때문에 음악적 기능이나 지식에 대한 습득뿐만 아니라 음악의 미적인 측면에 대한 이해와 느낌이 보태질 때 성공적인 음악경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든 제재곡마다 합창과 합주를 하면서 교사와 학생이 지치고 힘들어 할 것이 아니라 단 한번이라도 최대한 가능한 시간을 투자해서 아름다운 합창, 합주 등의 활동을 하면서 ‘화음은 이렇게 아름다운 것이구나!’를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 더 내면화되는 음악적 경험이 될 수 있다. 학생들에게 즐겁고 아름답고 행복하고 창조적인 경험을 줄 수 있는 가치를 가진 것이 음악이다. 이것을 경험할 수 있게 하자. 단 한번의 아름다운 경험이 학생들의 일생을 바꿀 수도 있다.
Ⅷ. 음악과(음악과교육)의 평가
평가는 목표, 내용, 과정에 부합되도록 하며, 어느 특정 영역에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
1. 이해 영역
지식 위주의 평가는 지양하고 활동 영역과 관련하여 실음을 통한 평가
2. 활동 영역의 평가
1) 가창
자세, 발성, 리듬, 음정, 음악적 표현력, 태도 등을 평가
2) 기악
자세, 주법, 리듬, 음정, 음악적 표현력, 태도 등을 평가
3) 창작
음악 개념에 대한 이해, 표현력, 창의력 등을 분석하여 평가
4) 감상
음악을 듣고 작품을 이해하는 능력, 느낌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 태도 등을 평가
3. 태도의 평가
학교 내외에서의 음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평가.
참고문헌
◈ 김형태, 교실개혁과 음악교육, 전북음악교육연구회, 1993
◈ 류덕희, 음악 교수법, 정음사, 1985
◈ 석문주 외, 학습을 위한 수행평가,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 석문주, 음악적 성장을 위한 음악과 교수-학습 지도, 도서출판 풍남, 1996
◈ 석문주, 바람직한 음악 수업의 방향, 음악교육 연구 제12호, 1993
◈ 유용식, 한국 대학교육제도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고등교육연구, 2001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9.0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95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