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Ⅰ 기업 선정 배경
◎ 본론
Ⅱ 기업분석
(1)랄프로렌
(2)기업연혁
(3)계열 브랜드 & 로고
(4)기업철학
Ⅲ 산업구조 분석
(1)경쟁사분석
(2)SWOT분석
(3)4P분석
Ⅳ 전략분석
(1)숫자마케팅 전략
(2)올림픽마케팅 전략
Ⅶ 결론
Ⅰ 기업 선정 배경
◎ 본론
Ⅱ 기업분석
(1)랄프로렌
(2)기업연혁
(3)계열 브랜드 & 로고
(4)기업철학
Ⅲ 산업구조 분석
(1)경쟁사분석
(2)SWOT분석
(3)4P분석
Ⅳ 전략분석
(1)숫자마케팅 전략
(2)올림픽마케팅 전략
Ⅶ 결론
본문내용
목차
◎ 서론
Ⅰ 기업 선정 배경
◎ 본론
Ⅱ 기업분석
(1)랄프로렌
(2)기업연혁
(3)계열 브랜드 & 로고
(4)기업철학
Ⅲ 산업구조 분석
(1)경쟁사분석
(2)SWOT분석
(3)4P분석
Ⅳ 전략분석
(1)숫자마케팅 전략
(2)올림픽마케팅 전략
Ⅶ 결론
Ⅰ.기업선정 배경
최근 세계 경제의 전반적인 침체에 따른 소비심리의 위축 등으로 국내 의류 시장의 성장률은 감소추세에 있다. 그러나 주5일 근무제가 점점 확산되면서 캐주얼 의류 사업은 호황기를 맞이하며 나홀로 신장을 하며 의류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 올 내수 의류시장 규모는 소비심리 위축으로 지난해에 비해 3.2%성장(15조4320억원)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캐주얼의류 시장은 주5일 근무제 확산에 따른 레저인구 증가로 인해 전년보다 7.6%성장, 5조 7900억원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사실상 국내 캐주얼 의류시장은 국내기업인 삼성제일모직의 빈폴과 폴로 랄프로렌이 시장점유율 6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 2위에 해당하는 폴로 랄프로렌은 오늘날 미국을 대표하는 대표적인 미국적 라이프스타일을 가장 잘 해석해낸 의류브랜드이며 브랜드 가치 세계 85위, 세계 100대기업에서 99위에 랭크되어있는 등 한국뿐만이 아닌 세계에서 트레디셔널 캐주얼의류 시장의 최강자의 자리에 올라있다.
이에 세계 의류업계 재편과 아울러 한국인의 거의 모든 연령층이 즐겨 입고 사랑하는 폴로 랄프로렌이라는 브랜드가 어떻게 세계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었는지 조사 해보고자 한다.
Ⅱ.기업분석
(1)랄프로렌
-미국 패션의 대표 디자이너임과 동시에 세계 패션의 가장 영향력 있는 브랜드로 성 장
-1939년 뉴욕 브롱크스에서 러시안 유대이민 가정의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남
-화가인 아버지에게 뛰어난 색채감성을 물려받음
-고교 졸업 후 장갑을 팔며 야간 대학을 다니며 비즈니스를 공부하다가 중퇴한 후 1967년 넥타이 회사 리베츠 넥크웨어에 입사
-기존 트렌드 무시한 자신만의 독특한 넥타이 제작
-자본금 5만 달러로 ‘폴로 디자인’이라는 브랜드명으로 넥타이 사업 시작
-1971년 남성복 여성복 런칭, 본격적 어패럴 비즈니스 시작
-1981년 미국 디자이너 중 최초로 런던에 매장을 오픈
-1986년 패션의 메카 파리에 랄프로렌 매장을 오픈해 세계적 브랜드로 부상하는 계 기 마련
-미국 패션 디자이너 협회가 주는 5개 부분의 상을 모두 받은 유일한 디자이너.
-1989년 조지타운대학에 유방암 연구센터 설립
-1994년 뉴욕패션위크의 모금운동 주도
-1998년 1300만 달러를 지불하고 성조기의 소유권을 손에 넣음
-성조기의 소유권을 얻는 것만으로도 미국에 공헌한 위대한 인물 리스트에 오름
-2000년 할렘에 암퇴치를 위한 랄프로렌센터를 설립
“나는 패션이나 트렌드를 믿지 않는다.
디자인에는 변하지 않는 본성이 있다고 믿는다“
-랄프로렌-
뉴요커인 랄프로렌은 늘 도시의 감성으로 소비자에게 화답한다.
1967년 넥타이 디자이너로 쇼룸을 열었을 때 블루밍 데일즈 백화점에서는 그의 넥타이가 다른 고급 넥타이의 두배 가격인 15달러에 날개 돋친 듯 팔렸다. 그때 그가 했던 광고는 ‘엘레강스 시대의 향기가 나는 전설의 넥타이.유니크한 디자인은 폴로만의 특징’이다. 랄프로렌은 미국 백화점에 라이프스타일 머천다이징이라는 콘셉트를 처음 도입한 VMD(Visual Merchandising)의 대가이기도하다.
랄프 로렌은 1970년 수트,넥타이,셔츠 등을 팔 수 있는 조그마한 부티크를 열고 그 곳을 마호가니 나무와 금장으로 장식해 신사 클럽과 같은 이미지로 만들었다. 그래서 셔츠 한 장을 살 생각으로 들어온 손님도 폴로 부티크 안에 들어오면 이것저것 고르기 시작해 결국에는 한 벌을 맞추어 구매하도록 유도하였다.
랄프로렌은 시대를 초월하는 옷들을 꿈과 리얼리티의 조화를 엘리건트로 표현했다.
그 스스로를 철학적인 대본을 쓰는 작가로 말할 정도로 개개인의 캐릭터 역할에 부합하는 특별한 의류 아이템을 창조해 냈다.
또한 상품 기획에서부터 광고에 이르기까지 철저하게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그는 제품 다각화라는 경영방침을 통해 “아침에 폴로 향수를 뿌리고 밤에 폴로 이불에서 하루를 정리 한다”는 미국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냈다.
무조건 트렌드를 쫓기보다는 품격 있고 전통스러운 멋을 살리면서 실용적인 옷을 만들어내는 가장 미국적인 디자이너 랄프로렌. 그의 전통과 실용의 조화라는 패션 철학이 세월이 가도 변하지 않는 명품을 만들어낸 것이다.
(2)기업연혁
1967년: 넥타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폴로 상표 설립
1969년: 뉴욕의 블루밍데일 백화점에 남성복 매장내 부티크 설립
1970년: 남성복 분야에서 코티상(Coty Award)수상
1971년: 베벌리 힐스에 랄프로렌 매장 오픈.
남성복의 기본 컨셉을 반영한 RALPH LAUREN 여성복 출시
1975년: 랄프로렌이 미국 패션 상(American Fashion Award) 수상
1976년: 일본의(주)세이브와 남성복 제조판매를 위한 라이센스 계약체결
남성복 부문에서 코티 상의 명예회원이 되고 여성복 부문에서 두 번째로
코티 상 수상
1978년: 첫 향수 LAUREN & POLO 출시 수영복 잠옷 아이템추가
1982년: 국내 도입
1983년: 토탈 홈 컬렉션을 시작한 첫 번째 패션 디자이너가 됨
1986년: 뉴욕 메디슨 에비뉴 72번가 라이렌더맨션에 랄프로렌 남성복 프레그
◎ 서론
Ⅰ 기업 선정 배경
◎ 본론
Ⅱ 기업분석
(1)랄프로렌
(2)기업연혁
(3)계열 브랜드 & 로고
(4)기업철학
Ⅲ 산업구조 분석
(1)경쟁사분석
(2)SWOT분석
(3)4P분석
Ⅳ 전략분석
(1)숫자마케팅 전략
(2)올림픽마케팅 전략
Ⅶ 결론
Ⅰ.기업선정 배경
최근 세계 경제의 전반적인 침체에 따른 소비심리의 위축 등으로 국내 의류 시장의 성장률은 감소추세에 있다. 그러나 주5일 근무제가 점점 확산되면서 캐주얼 의류 사업은 호황기를 맞이하며 나홀로 신장을 하며 의류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 올 내수 의류시장 규모는 소비심리 위축으로 지난해에 비해 3.2%성장(15조4320억원)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캐주얼의류 시장은 주5일 근무제 확산에 따른 레저인구 증가로 인해 전년보다 7.6%성장, 5조 7900억원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사실상 국내 캐주얼 의류시장은 국내기업인 삼성제일모직의 빈폴과 폴로 랄프로렌이 시장점유율 6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 2위에 해당하는 폴로 랄프로렌은 오늘날 미국을 대표하는 대표적인 미국적 라이프스타일을 가장 잘 해석해낸 의류브랜드이며 브랜드 가치 세계 85위, 세계 100대기업에서 99위에 랭크되어있는 등 한국뿐만이 아닌 세계에서 트레디셔널 캐주얼의류 시장의 최강자의 자리에 올라있다.
이에 세계 의류업계 재편과 아울러 한국인의 거의 모든 연령층이 즐겨 입고 사랑하는 폴로 랄프로렌이라는 브랜드가 어떻게 세계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었는지 조사 해보고자 한다.
Ⅱ.기업분석
(1)랄프로렌
-미국 패션의 대표 디자이너임과 동시에 세계 패션의 가장 영향력 있는 브랜드로 성 장
-1939년 뉴욕 브롱크스에서 러시안 유대이민 가정의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남
-화가인 아버지에게 뛰어난 색채감성을 물려받음
-고교 졸업 후 장갑을 팔며 야간 대학을 다니며 비즈니스를 공부하다가 중퇴한 후 1967년 넥타이 회사 리베츠 넥크웨어에 입사
-기존 트렌드 무시한 자신만의 독특한 넥타이 제작
-자본금 5만 달러로 ‘폴로 디자인’이라는 브랜드명으로 넥타이 사업 시작
-1971년 남성복 여성복 런칭, 본격적 어패럴 비즈니스 시작
-1981년 미국 디자이너 중 최초로 런던에 매장을 오픈
-1986년 패션의 메카 파리에 랄프로렌 매장을 오픈해 세계적 브랜드로 부상하는 계 기 마련
-미국 패션 디자이너 협회가 주는 5개 부분의 상을 모두 받은 유일한 디자이너.
-1989년 조지타운대학에 유방암 연구센터 설립
-1994년 뉴욕패션위크의 모금운동 주도
-1998년 1300만 달러를 지불하고 성조기의 소유권을 손에 넣음
-성조기의 소유권을 얻는 것만으로도 미국에 공헌한 위대한 인물 리스트에 오름
-2000년 할렘에 암퇴치를 위한 랄프로렌센터를 설립
“나는 패션이나 트렌드를 믿지 않는다.
디자인에는 변하지 않는 본성이 있다고 믿는다“
-랄프로렌-
뉴요커인 랄프로렌은 늘 도시의 감성으로 소비자에게 화답한다.
1967년 넥타이 디자이너로 쇼룸을 열었을 때 블루밍 데일즈 백화점에서는 그의 넥타이가 다른 고급 넥타이의 두배 가격인 15달러에 날개 돋친 듯 팔렸다. 그때 그가 했던 광고는 ‘엘레강스 시대의 향기가 나는 전설의 넥타이.유니크한 디자인은 폴로만의 특징’이다. 랄프로렌은 미국 백화점에 라이프스타일 머천다이징이라는 콘셉트를 처음 도입한 VMD(Visual Merchandising)의 대가이기도하다.
랄프 로렌은 1970년 수트,넥타이,셔츠 등을 팔 수 있는 조그마한 부티크를 열고 그 곳을 마호가니 나무와 금장으로 장식해 신사 클럽과 같은 이미지로 만들었다. 그래서 셔츠 한 장을 살 생각으로 들어온 손님도 폴로 부티크 안에 들어오면 이것저것 고르기 시작해 결국에는 한 벌을 맞추어 구매하도록 유도하였다.
랄프로렌은 시대를 초월하는 옷들을 꿈과 리얼리티의 조화를 엘리건트로 표현했다.
그 스스로를 철학적인 대본을 쓰는 작가로 말할 정도로 개개인의 캐릭터 역할에 부합하는 특별한 의류 아이템을 창조해 냈다.
또한 상품 기획에서부터 광고에 이르기까지 철저하게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그는 제품 다각화라는 경영방침을 통해 “아침에 폴로 향수를 뿌리고 밤에 폴로 이불에서 하루를 정리 한다”는 미국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냈다.
무조건 트렌드를 쫓기보다는 품격 있고 전통스러운 멋을 살리면서 실용적인 옷을 만들어내는 가장 미국적인 디자이너 랄프로렌. 그의 전통과 실용의 조화라는 패션 철학이 세월이 가도 변하지 않는 명품을 만들어낸 것이다.
(2)기업연혁
1967년: 넥타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폴로 상표 설립
1969년: 뉴욕의 블루밍데일 백화점에 남성복 매장내 부티크 설립
1970년: 남성복 분야에서 코티상(Coty Award)수상
1971년: 베벌리 힐스에 랄프로렌 매장 오픈.
남성복의 기본 컨셉을 반영한 RALPH LAUREN 여성복 출시
1975년: 랄프로렌이 미국 패션 상(American Fashion Award) 수상
1976년: 일본의(주)세이브와 남성복 제조판매를 위한 라이센스 계약체결
남성복 부문에서 코티 상의 명예회원이 되고 여성복 부문에서 두 번째로
코티 상 수상
1978년: 첫 향수 LAUREN & POLO 출시 수영복 잠옷 아이템추가
1982년: 국내 도입
1983년: 토탈 홈 컬렉션을 시작한 첫 번째 패션 디자이너가 됨
1986년: 뉴욕 메디슨 에비뉴 72번가 라이렌더맨션에 랄프로렌 남성복 프레그
키워드
추천자료
코카콜라와 펩시콜라의 국제 경영전략비교분석
해외시장진출(국제경영상)
[경영] 아웃소싱의 성공적인 도입방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마케팅전략 비교
M&A 이해 및 최근동향과 사례분석
한반도의 동북아 물류중심지화의 가능성 및 전략과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글로벌 경영 성공 사례 (R&D/신제품개발)
글로벌 경영 현지화 전략
대한항공 마케팅 및 경영전략 (시장현황분석, SWOT, 7PS, STP분석, 경쟁사분석, 외부마케팅, ...
[국제경영] 외식산업[`아웃백 vs 빕스`] 마케팅 전략 분석
호텔신라 경영전략 분석 연구보고서 호텔신라 마케팅 객실 F&B SWOT STP 4P 인사관리 개...
국제관광전략론 - 글럽메드의 관광 전략에 관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