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인도네시아 식민통치 속 이슬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인도네시아 식민통치 속 이슬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일본의 인도네시아 식민통치의 배경

본론. 1. 초기 정책
식민 경제
행정권의 재편성
탈서구화

본론. 2. 이슬람의 정치세력화와 식민통치의 활성화
인도네시아 이슬람
이슬람 세력의 등장
이슬람의 정치세력화와 그 목적
마슈미(Masyumi)

결론.
인도네시아의 독립

본문내용

집을 위하여 자바와 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전 주민을 10에서 20가구씩 묶어서 단위로 조직하였고, 근린화합의 뜻으로 전통적인 인도네시아 사회조직으로 상부상조가 중심사상이었다. 일본은 이 조직을 ‘도나리구미(隣組)’라 칭하고 중앙의 각종 지시를 내리고 쌀, 설탕, 담배, 옷가지 등 약소한 배급품을 제공함으로써 오랜 네덜란드 식민통치를 통하여 행정력이 거의 미치지 않았던 오지에 까지 정치바람을 일으켜 인도네시아 전역에 민족주의 운동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마슈미에 의한 효과적인 동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인도네시아 대중에 대한 통제력을 점차 잃어갔다. 1944년 2월 이래 인도네시아 민중 저항운동이 곳곳서 빈번하게 일어났다. 일본은 이에 대처하기 위해 자바의 여러 지역에 마슈미의 지부를설치하여 조직을 총괄하게 함으로써 지방의 이슬람세력에 대한 확고한 지배력을 행사하려고 하였으나 혁명세력은 쉽게 소멸되지 않았다. 대도시의 신교육을 받은 청년들은 비밀 지하조직을 결성하였는데 전쟁이 점차 일본에 불리하게 전개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독립을 이룰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1944년9월7일 일본은 인도네시아인들의 소요를 진정시킬 목적으로 독립을 약속하였다. 일본 식민주의자들은 각종 전위 조직과 중앙 지역의 참의원을 활용하여 인도네시아인 노동력을 동원하고 철저히 착취했고, 대부분은 전쟁 수행을 위한 군사도로 건설에 투입됐다. 이때의 희생자 수는 500만에 달한다.
자바 호꼬까이’의 자체 청년 구성원으로 조직된 ‘선구자전선(Barisan Pelopor)’ 또한 청년들을 동원하기 위해 만들어 졌는데 초기와는 달리 1945년 5월부터는 게릴라 훈련에 투입되기 시작했다.
마슈미는 일본 식민정부의 주요부서의 하나처럼 인도네시아 이슬람사회의 친일 정책에 여러 노력을 했고, 현대화된 온건한 민족주의자들도 마슈미의 지나친 친일성향에 혐오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결론.
인도네시아의 독립
1944년 10월 이후 일본의 급속한 붕괴는 독립을 전제로 한 실질적인 것을 요구받게 되었다. 1945년2월 필리핀 군도가 일본에 해방되자 일본 해군은 적대자세를 포기하고 패전후 식민통치의 청산과 본국으로의 철수에 대비하여 인도네시아인들의 호의를 최대한 확보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들의 지배력이 소멸되고 있다고 판단되자, 1945년3월 ‘인도네시아독립준비조사위원회(BPUPKI: Badan Penyelidik Usaha Persiapan Kemerdekaan Indonesia)’를 설립발표하였다. 1945년 8월6일 히로시마에 원자탄이 투하되고 전황이 바뀌어 바로 그날 자카르타에서는 ‘인도네시아독립준비위원회(PPKI:Panitia Persiapan Kemerdekaan Indonesia)’의 수카르노와 핫타를 정ㆍ부의장으로 선출하였고 1945년8월15일 일본은 드디어 연합군에 항복 하였다. 수카르노가 독립선언문을 낭독함으로써 가장 혹독하고 힘들었던 3년반 동안의 일본식민통치가 막을 내리고 인도네시아는 신생독립군으로 새롭게 탄생하게 된다.
이 짧았지만 혹독했던 일본의 식민통치의 중심에 있었던 것은 바로 이슬람 세력이다. 이슬람 세력을 얼마나 잘 이용하고 이끄느냐가 인도네시아의 효과적인 통치를 결정짓는다고 말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이슬람 세력은 어느 정도 일본이 성공을 거두는 듯 했지만 일본의 기대에 부흥하지 않았으며 일본은 3년 반의 시간동안 통치국을 효과적으로 운영하지 못했다. 인도네시아 이슬람 사회는 외부의 영향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도네시아인들의 자체적인 역량을 통해 점진적으로 민족주의 운동에 기여하였고 활동하였다. 이처럼 이슬람은 인도네시아 사회의 중심이며 문화이며 사회이며 생활이라고 할 수 있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9.07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0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