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상론
2. 영상 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의 원형 구조
3. 영상 메시지는 두뇌에서 어떻게 처리되는가
4.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감각 이론과 지각 이론
5. 영상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 요소들
2. 영상 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의 원형 구조
3. 영상 메시지는 두뇌에서 어떻게 처리되는가
4.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감각 이론과 지각 이론
5. 영상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 요소들
본문내용
영상 매체학개론
영상 커뮤니케이션론
1. 영상론
문법이 문자를 위해 개발되었듯이 같은 방식으로 교육자들이 사진을 위해 영상 문법을 개발하지 못했다. 사람들은 문자를 읽는 방법에 대해 배우지만 영상을 읽는 방법에 대해서는 배우지 못한다. 새로운 영상 시대에서는 오직 글을 쓰는 방법만을 알거나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만을 알아서는 안 된다. 지각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은 모든 문자와 그림을 사용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1) 사물을 보는 과정은 눈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가
헉슬리(Aldous Huxley) -
정확히 본다는 것은 주로 명확한 사고의 결과로 이루어 진다
정확히 본다는 것은 바른 감각과 지각의 산물이다
감각(sensing) + 선택(selecting) + 지각(perceiving) = 보기(seeing)
정확하게 보기의
-첫 단계는 감각하는 것이다.
-두번째 단계는 시각의 범위 내에서 특정한 부분을 선택하는것
선택한다는 것은 이러한 감각이 제공하는 거대한 가능성의 프레임 내에서 장면의 특정한 부분만을 분리하는 것이다. 선택하는 것은 의식적이고 지력을 요하는 행동이다.이것은 단순히 보는 것이라기 보다는 장면에 있는 대상에 완전히 집중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한다는 것은 범위 내에서 눈에 가장 분명하게 보이는 대상을 분리하는 것이다. 즉 다른 모든 것과 분리된 하나의 작은 대상에 정신적 활동을 집중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 인식하는 것
많이 알수록 많이 보게 된다.’- 높은 수준의 인식으로 이미지를 처리한다는 것은 시계 안에 있는 대상에 대해 단순히 관찰의 행위로서가 아니라 의미를 찾을 목적으로 고도의 집중적인 정신적 행위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영상 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의 원형 구조
영상 커뮤니케이션은 많이 알수록 많이 감각하고 많이 감각할수록 더 많이 선택하게 된다.많이 선택할수록 많이 지각하게 되고 많이 지각 할수록 더 많이 기억한다.그리고 더 많이 기억할 수록 더 많이 배우게 된다.
정관에 가장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은 인간의 눈이 아니다 감각하고 선택하고 지각하는 과정은 면밀한 살핌과 식견이 있는 마음을 필요로 한다.
1) 빛과 색
가시적인 빛은 단순히 우리 두뇌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화학적 반응이다. 눈의 뒷 부분에 있는 빛 감각기관에 광자로부터 자극이 없다면 빛은 보이지 않을 것이다.
2) 키스할 때 눈을 감는 이유는
눈이 인간의 감각능력중 70퍼센트 이상을 차지한다.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은 나머지 30퍼센트 정도를 차지하면서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키스를 할
영상 커뮤니케이션론
1. 영상론
문법이 문자를 위해 개발되었듯이 같은 방식으로 교육자들이 사진을 위해 영상 문법을 개발하지 못했다. 사람들은 문자를 읽는 방법에 대해 배우지만 영상을 읽는 방법에 대해서는 배우지 못한다. 새로운 영상 시대에서는 오직 글을 쓰는 방법만을 알거나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만을 알아서는 안 된다. 지각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은 모든 문자와 그림을 사용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1) 사물을 보는 과정은 눈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가
헉슬리(Aldous Huxley) -
정확히 본다는 것은 주로 명확한 사고의 결과로 이루어 진다
정확히 본다는 것은 바른 감각과 지각의 산물이다
감각(sensing) + 선택(selecting) + 지각(perceiving) = 보기(seeing)
정확하게 보기의
-첫 단계는 감각하는 것이다.
-두번째 단계는 시각의 범위 내에서 특정한 부분을 선택하는것
선택한다는 것은 이러한 감각이 제공하는 거대한 가능성의 프레임 내에서 장면의 특정한 부분만을 분리하는 것이다. 선택하는 것은 의식적이고 지력을 요하는 행동이다.이것은 단순히 보는 것이라기 보다는 장면에 있는 대상에 완전히 집중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한다는 것은 범위 내에서 눈에 가장 분명하게 보이는 대상을 분리하는 것이다. 즉 다른 모든 것과 분리된 하나의 작은 대상에 정신적 활동을 집중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 인식하는 것
많이 알수록 많이 보게 된다.’- 높은 수준의 인식으로 이미지를 처리한다는 것은 시계 안에 있는 대상에 대해 단순히 관찰의 행위로서가 아니라 의미를 찾을 목적으로 고도의 집중적인 정신적 행위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영상 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의 원형 구조
영상 커뮤니케이션은 많이 알수록 많이 감각하고 많이 감각할수록 더 많이 선택하게 된다.많이 선택할수록 많이 지각하게 되고 많이 지각 할수록 더 많이 기억한다.그리고 더 많이 기억할 수록 더 많이 배우게 된다.
정관에 가장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은 인간의 눈이 아니다 감각하고 선택하고 지각하는 과정은 면밀한 살핌과 식견이 있는 마음을 필요로 한다.
1) 빛과 색
가시적인 빛은 단순히 우리 두뇌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화학적 반응이다. 눈의 뒷 부분에 있는 빛 감각기관에 광자로부터 자극이 없다면 빛은 보이지 않을 것이다.
2) 키스할 때 눈을 감는 이유는
눈이 인간의 감각능력중 70퍼센트 이상을 차지한다.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은 나머지 30퍼센트 정도를 차지하면서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키스를 할
추천자료
한류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의 가능성 찾기
영화속 PPL ; 광고사례와 마케팅 효과 (A+받았슴다)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수용자 본질(청소년)
디지털 TV 설문조사 결과분석 국내외 디지털 TV 시장 현황과 전망
[영상문화]영화 속 PPL과 상품구매효과 연구
기술적 형상 시대의 영상문화
[정보화사회][정보사회]정보화사회의 도래, 쌍방향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정치적 의미, 정보기술...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하여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의 개요와 모션그래픽 이용한 사례 분석
아시아의 M커머스(엠커머스)시장, 아시아의 영상산업시장, 아시아의 IT(기술정보화)시장, 아...
모션그래픽 기술적인 표현방법과 활용, 광고에서의 모션그래픽 사례
[방송편성의 이론과 실제 공통] 방송환경 변화(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따라서 방송수용자의 ...
[방송편성의 이론과 실제 공통] 2013-14년 방송된 혹은 방송중인 TV프로그램 2편 이상을 선정...
커뮤니케이션과인간 ) 구체적 갈등 사례 1-2개(1개 혹은 최대 2개)를 선택한 후 1) 갈등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