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코드라마(Psychodrama)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이코드라마(Psychodram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 2
1. 정의와 목적 / 2
2. 대상과 그 효과 / 3
3. 역사 / 4


Ⅱ. 주요 용어 정의 / 5


Ⅲ. 이론적 논의 / 9
1. 초이론적인 고려사항들 / 9
2. 문제해결의 촉진 / 10
3. 모레노 이론 / 11


Ⅳ. 사이코드라마의 실제 / 13
1. 구성요소와 진행과정 / 13
2. 기법 / 18
3. 연극치료 / 37
4. 사이코드라마의 원칙과 함정 / 43


Ⅷ. 사이코드라마의 사례 / 46

본문내용

입각한 이론을 이미 사용하고 있다. 주장훈련과 사회적 기술훈련에 사용되고 있는 역할 연기는 행동주의적인 것으로 봤으나 사실 모레노가 이미 “역할 훈련_role training\"이라 부른 것과 전혀 다른 점이 없다. 가족치료자들이 종종 전통적인 개인치료/상담이나 집단치료/상담에 비해서 더 사이코드라마 연출자에 가깝게 행동하는데 ”순환면접_circular interviewing\"이나 편들기_side taking, 가족조각_family sculpture은 사이코드라마에서 파생된 것이다. 통합적 심리학_psychosynthesis 과 기타 상상치료에서 하는 환상유도_guided imagery는 사이코드라마 원리와 유사한 원리에 기초를 두고 있다. 나는 역동을 경험적으로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서 상상한 장면의 구체화를 장려한다. 생체에너지 분석_bioenergeic analysis에서의 활동들은 사이코드라마 작업과 함께 활용되기도 하는데 다른 신체치료 형태들도 이와 유사하게 상승효과를 일으킨다. 알버트 폐소_Albert Pesso의 동작 치료적 접근은 사이코드라마와 아주 비슷한 방법을 사용한다(Pesso & Crandall,1991). 사이코드라마와 다른 치료법들의 통합성에 대한 주제는 『사이코드라마의 토대_Foundations of Psychodrama』라는 나의 다른 저서에서 보다 깊이 설명하였다.
2. 문제해결의 촉진
심리치료, 기업체, 학교에서의 역할연기 집단, 가족치료/상담 혹은 개인치료/상담 등 어느 집단이든지 사이코드라마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촉진할 수 있는 문제 해결에는 분명한 단계가 있다.
만약 일반화시켜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다면 때로는 문제의 본질을 구분하기가 어렵다. 극의 장면은 훨씬 구체적이고, 비언어적 행동의 영향을 분명하게 느끼게 하는 기회를 갖게 한다.
문제는 찾아내어 인식으로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내재된 가설이나 무의식적 태도를 인식시키는 것은 심리 치료/상담에 관한 문헌들의 핵심이지만 조직체 자문이나 심지어 문화비평에서도 목표가 된다. 다만 문제해결이 보다 깊은 수준에서 일어날 필요가 있다. 사이코드라마적인 방법은 특히 문제의 정서적 차원을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된다. 지지적인 분신, 과장과 여러 기법들을 활용하여 극화함으로써 주인공은 인지적 수준에서뿐 아니라 경험적 수준에서 문제에 몰입할 수 있다.
그러나 진정 문제에 대하여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다른 사람들의 견해나 감정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역할 바꾸기는 보다 공감적이 될 수 있는 교량 역할을 함으로써 직관력과 상상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방법이다.
그 상황에 영향을 주는 모든 요인들이 분명해졌을 때, 사이코드라마 방법은 보다 건설적인 해결책을 찾도록 돕는다. 대안을 실험해보고 연습하고 다양한 스타일이나 접근방법의 효과를 가늠해본다. 집단장면은 피드백을 받기가 좋고, 즐겁고 지지적인 상황은 참여자들에게 자발성과 창조성을 허용한다. 효과적인 반응의 시범은 행동주의적 접근에서 볼 때, 학습되고 강화를 받는 반면 비효율적인 순응은 즉시 분명하게 드러나 점진적으로 소거 되는 것이다(Strum, 1970)
3. 모레노 이론
사이코드라마는 네 가지 기본 개념으로 이해하면 가장 간단할 것이다. 즉, 창의력, 자발성, 유희성 그리고 연극이다. 모레노는 개인이나 집단문제의 심각한 역동은 창의력 감소라고 보았다. 그리고 창의력은 강요로는 생겨날 수 없는 것으로서, 앉아서 문제에 대해 생각하는 것만으로 창의력이 생기지는 않는다. 오히려 창의적 돌파는 몰입하고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실험할 때 온다. 실험실에서 실험을 하듯, 사이코드라마는 일종의 사회심리학 실험실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안전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즉흥의 세계로 초대를 받는데 자발성을 통해 창의력이 가장 잘 발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레노는 문제가 되는 상황의 장면을 모의 혹은 역할 연기함으로써 이들 문제의 기반이 되는 태도 혹은 정서적 뿌리를 탐색하고 보다 건설적인 대안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극은 상상과 신체적 행위를 정서와 직관, 그리고 합리적 사고와 통합하여, 지적인 동시에 경험적인 방법을 학습과 성장에 제공하는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더 나아가 다양한 사이코드라마 기법들은 광범위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특별한 실험적 도구로서 이해될 수 있다.
◀ 사이코드라마 사례 ▶ 최헌진, 사이코드라마 이론과 실제, (서울:학지사), 전문은 Ⅴ장 사례에 싣도록 한다.
(pt. : protagonist 주인공, Dr. ; director 디렉터)
장면1. 인터뷰
pt.1 : (주인공 등장, 말없이 바닥에 쭈그리고 앉는다)
Dr.1: 무엇 하고 있어요? (사이) 여긴 어디죠?
pt.2 : 두려워요. pt.의 중요한 감정이 나오고 있다. Dr.는 pt.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로 가정하고 들어간다.
Dr.2 : 자주 이러나요? (사이) 시간은?
pt.3 : 집.....낮에....
Dr.3 : 항상?
pt.4 : ........(오랜사이)
Dr.4 : 낮 시간. 집에 누구 있나요?
pt.5 : 아무도 없어요.
Dr.5 : 저녁엔?
pr.6 : 식구모두.
Dr.6 : 두려움이 느껴질때, 이렇게 쭈그리고 앉아 두려워하며...어디에 주로 있어요?
pt.7 : 여동생 방.
Dr.7 : 여동생은 몇 살?
pt.8 : 19살...(울기 시작한다) pt.의 warm-up의 정도를 알 수 있다.
Dr.8 : 왜 울고 있죠?
pr.9 : (고개를 떨군 채) 그냥...아무 생각 없어요. 여동생 이야기만 하면 슬퍼요. pt.가 혼자 warm-up 되어 있는 상태에서 “여동생 이야기만 하면 슬프다”는 얘기 또한 중요한 단서이지만, 동생의 문제로 바로 들어가기보다 계속적인 interview를 통해 pt., Dr., 그리고 관객 모두가 pt.의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서히 고개를 들어 무표정하게 창 밖 햇빛을 쳐댜본다)
Dr.9 : (주인공 행동을 말없이 주시하고 있다가)......햇빛 보면서도 아무생각없나?
pr.10 : (힘겹게, 그리고 느리게) 그래요....느낌은 차갑고, 힘이 없어지고.
  • 가격4,000
  • 페이지수55페이지
  • 등록일2011.09.19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28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