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및 자기의견
ⅳ. 참고자료
ⅱ. 본론
ⅲ. 결론 및 자기의견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가 추구하는 방향은 방법론적으로는 엄격하지만 실용성이 낮은 현학적 과학(Pedantic Science)도 아니고, 실용성은 높지만 방법론적 엄격성이 떨어지는 대중영합적 과학(Popularist Science)도 아니고, 실용성과 방법론적 엄격성이 모두 높은 실용적 과학(Pragmatic Science)이다.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실용성과 방법론적 엄격성 모두가 낮은 미숙한 과학(Puerile Science)이다.
우리 학문의 정체성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매체에 널리 우리를 홍보해야 하고 신문이나 잡지에 산업 및 조직심리학과 관련된 칼럼을 쓸 필요도 있다. 뿐만 아니라 Monitor와 같은 미국심리학회 뉴스레터에도 산업 및 조직심리학을 알리는 글들을 적극적으로 투고해야 한다. 또한 우리 학문의 후속 세대 양성에도 관심과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ⅳ. 참고자료
김명언 (1991).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인생.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심포지움, 25-30.
성신여자대학교 산업 및 조직심리학 연구실 (참고문헌자료 본문내용)
[산업 및 조직심리학 제 9판]
Paul M. Muchinsky지음. 유태용 옮김. 시그마프레스
우리 학문의 정체성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매체에 널리 우리를 홍보해야 하고 신문이나 잡지에 산업 및 조직심리학과 관련된 칼럼을 쓸 필요도 있다. 뿐만 아니라 Monitor와 같은 미국심리학회 뉴스레터에도 산업 및 조직심리학을 알리는 글들을 적극적으로 투고해야 한다. 또한 우리 학문의 후속 세대 양성에도 관심과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ⅳ. 참고자료
김명언 (1991).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인생.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심포지움, 25-30.
성신여자대학교 산업 및 조직심리학 연구실 (참고문헌자료 본문내용)
[산업 및 조직심리학 제 9판]
Paul M. Muchinsky지음. 유태용 옮김. 시그마프레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