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현 황
2 이공계 기피 현상에 따른 문제점
3 이공계 기피 현상 해소 방안
(1) 이공계·기초학문분야 대학등록금 우대
(2) 교육과정을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내용으로 개편
(3) 엔지니어 존중 사회적 인식 제고
(4) 이공계 출신의 진출 경로 확대
(5) 5급 공무원 임용(舊, 기술고시)에 이공계 기술인력 비중 확대
1 현 황
2 이공계 기피 현상에 따른 문제점
3 이공계 기피 현상 해소 방안
(1) 이공계·기초학문분야 대학등록금 우대
(2) 교육과정을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내용으로 개편
(3) 엔지니어 존중 사회적 인식 제고
(4) 이공계 출신의 진출 경로 확대
(5) 5급 공무원 임용(舊, 기술고시)에 이공계 기술인력 비중 확대
본문내용
현장에서 요구하는 내용으로 개편
― 이공계 대학교육 과정을 기업현장에서 즉시 사용가능한 방식으로 바꾸어 취업 후 기업에서 별도의 교육없이도 현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개편
(3) 엔지니어 존중 사회적 인식 제고
― 정부와 대학, 산업계가 함께 사회경제적으로 이공계 인력의 소득과 평판을 높여주는 방식의 접근을 해야 하고 특히 기업은 관리직 임금이 현장기술직보다 높은 구조를 바꿔야 함
(4) 이공계 출신의 진출 경로 확대
― 이공계에 인재가 많이 진출하려면 졸업 후 보수와 안정성, 역할 등의 만족도가 높은 소위 ‘훌륭한 일자리’를 많이 제공해야함
― 정치권을 포함한 공직 전반과 일반 산업계와 금융권, 언론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국가와 대학, 사회가 함께 노력
(5) 5급 공무원 임용(구, 기술고시)에 이공계 기술인력 비중 확대
― 고위 공무원의 관문이라 불리는 구 기술고시는 이름만 일반직 5급 공무원으로 통일되었을 뿐 직군 구분으로 행정직과 기술직으로 분류되어, 2010년 이공계 출신 임용 실적이 30% 정도로 부진하므로 5급 공무원 임용(구, 기술고시)에 이공계 기술인력 비중을 확대
― 또한 39개 중앙행정기관의 고위공무원단 임용의 경우도 이공계 임용이 전혀 없는 부처가 총 39개 중 6군데로 15%나 되고, 평균 임용률 25.8%이하의 부처는 전체의 절반이 넘는 56%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 이공계 출신 고위공무원 확대로 국가과학기술정책 실효성을 높여 정부는 이공계 출신 고위공무원 확대로 국가과학기술정책 실효성을 높여야 할 것 임
※ 참고문헌 :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국정감사 자료
― 이공계 대학교육 과정을 기업현장에서 즉시 사용가능한 방식으로 바꾸어 취업 후 기업에서 별도의 교육없이도 현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개편
(3) 엔지니어 존중 사회적 인식 제고
― 정부와 대학, 산업계가 함께 사회경제적으로 이공계 인력의 소득과 평판을 높여주는 방식의 접근을 해야 하고 특히 기업은 관리직 임금이 현장기술직보다 높은 구조를 바꿔야 함
(4) 이공계 출신의 진출 경로 확대
― 이공계에 인재가 많이 진출하려면 졸업 후 보수와 안정성, 역할 등의 만족도가 높은 소위 ‘훌륭한 일자리’를 많이 제공해야함
― 정치권을 포함한 공직 전반과 일반 산업계와 금융권, 언론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국가와 대학, 사회가 함께 노력
(5) 5급 공무원 임용(구, 기술고시)에 이공계 기술인력 비중 확대
― 고위 공무원의 관문이라 불리는 구 기술고시는 이름만 일반직 5급 공무원으로 통일되었을 뿐 직군 구분으로 행정직과 기술직으로 분류되어, 2010년 이공계 출신 임용 실적이 30% 정도로 부진하므로 5급 공무원 임용(구, 기술고시)에 이공계 기술인력 비중을 확대
― 또한 39개 중앙행정기관의 고위공무원단 임용의 경우도 이공계 임용이 전혀 없는 부처가 총 39개 중 6군데로 15%나 되고, 평균 임용률 25.8%이하의 부처는 전체의 절반이 넘는 56%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 이공계 출신 고위공무원 확대로 국가과학기술정책 실효성을 높여 정부는 이공계 출신 고위공무원 확대로 국가과학기술정책 실효성을 높여야 할 것 임
※ 참고문헌 :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국정감사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