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 대상자 간호, 만성 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OPD 대상자 간호, 만성 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OPD 대상자 간호

1.호흡이란?
2.호흡의 기능
3.호흡조절기전
4.호흡기의 방어기전
5.호흡기 질환


만성 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COPD 의 원인 및 위험요인
COPD의 병태생리
COPD의 진단
COPD관련 질환
COPD의 치료
1. 수분공급과 전해질 교정
2. 기관지 청결
3. 감염의 예방 및 치료
4. 기관지확장제 투여

분무흡입기(inhaler) 사용법

본문내용

시도할 수 있다.
Prednisone 0.5 - 1.0 mg/kg(30 - 40 mg)을 아침에 한번 투여하고 이것을 2주일간 계속한다. 증상이 좋아지면 증상이 유지되는 최소 용량까지 서서히 감량한다. 증상이 좋아지지 않으면 감량하면서 중단한다. 흡입 steroid 제제는 경구용보다 훨씬 안전하지만 천식과는 달리 COPD환자에서는 효과가 적다.
6. 점액용해제
COPD 환자의 객담은 그 양이 많고 진해서 제대로 배출되지 않으면 폐감염을 유발하고 폐손상을 더욱 악화시킨다. 점액용해제는 점액중에 긴 고리(chain)로 연결되어 있는 mucoprotein을 짧게 잘라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점도를 낮추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약제들이다.
*Acetylcysteine(Mucomyst, Nucomyt)
점액중의 disulfide bonds를 파괴하여 점도를 낮추는 작용이 있다.
10 % 용액 1 - 3 ml를 1일 3 - 4회 단독 또는 다른 약제와 혼합하여 기관지내로 직접 주입하거나 분무흡입하는데 최대 용량은 1회 10 % 용액10 ml이다.
부작용 ; 구역, 구토감, 작열감, 발진, 발열, 기관지수축 (고농도로 투여시) 등
7. 산소요법
COPD 환자에서 산소요법은 폐성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운동에 대한 내성을 길러주고 정신상태도 호전시킨다. COPD 환자는 pH나 PCO2보다는 낮은 PO2에 의해서 호흡이 자극되는 소위 저산소성 호흡충동(hypoxic respiratory drive)이 있으므로 고농도 산소를 피하고 산소포화도는 약 80% 정도 그리고 PaO2는 55 - 60 mmHg 정도를 유지하는 산소농도(FiO2)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강캐뉼라(Nasal cannula)
저농도에서 중정도의 산소가 필요하며 정확한 양이 요구되는 것이 아닐 때 사용한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침상내에서 움직이고 칼하고 먹을 수 있다. 유통속도가 6~8L/min 이상 초과되면 공기를 삼킬 수 있고 비인후 점막의 자극과 건조를 초래할 수 있다.
<준비단계>
① 최근의 활력징후, 의식상태, ABGA를 확인한다.
② 산소투여로 인한 CO2 정체의 위험성을 사정한다.
단점: 비강점막을 건조하게 하고 자극한다
입으로 호흡하는 환자는 대기중의 공기를 입으로 들이마심으로써 FO₂가 낮아 질수 있다. 쉽게 코에서 빠질 수 있다.
간호: 삽입이 정확하게 되었는지 확인하고 튜브가 닿는 피부면을 관찰한다
비강의 청결유지 및 근무교대시 혹은 필요시 캐뉼라를 교체한다. 비강에 수용성 젤리 를 발라준다.
<실행단계>
① 환자의 방문에 금연 표지판을 붙인다.
② 환자에게 비강 캐뉼라를 보여주고 절차를 설명한다.
③ 가습기에 증류수가 채워져 있는지 확인한다.
④ 비강 캐뉼라의 연결관을 가습기의 출구와 연결한다.
⑤ 처방된 산소의 분당 투여량을 조절한다. 캐뉼라의 끝을 통해 산소가 나오는지를 확인
⑥ 비강 캐뉼라의 끝을 환자의 코에 넣고 끈을 편안하게 귀에 건다.
8. 물리요법 - 효과적인 기침, 복식호흡, 입술을 오므리고 하는 호흡
호흡훈련과 조정으로 제한된 폐기능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도록 하여 증상을 경감시키고 환자의 기동력을 증대시켜주는 것이 물리요법의 목표다. 횡격막의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횡격막호흡을 하도록하며 입술오므리고 숨쉬기(pursed - lip breathing)로 기도가 조기에 폐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횡격막호흡법. 호기말에 환자가 배에 힘을 주어 의사나 간호사가 아래로 그리고 안쪽으로 누르는 손바닥을 위로 밀어올리도록 요구한다. 이런 동작을 여러 차례 반복하면 나중에는 환자 스스로 횡격막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
♣효과적인 기침
-자세변경:자세를 좌우로 변경하면 큰 기도쪽으로 분비물이 쉽게 배출된다
-대상자의 활동을 증가시킨다 :대상자를 의자에 앉히거나 반좌위
-진동요법 사용
-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대상자의 배위에 베개를 놓ㄱ 호기시 베개를 누르면서 기침하게 한다.
-주기적인 기침과 심호흡은 기도 분비물의 축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폐의 팽창이 잘 되도록하며 분비물이 축적되어서 올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한다.
♣복식호흡
-대상자를 편안하고 이완된 상태로 반좌위
-간호사의 오른손과 외손 엄지손가락을 대상자의 명치 끝에 놓는다 손가락을 양쪽으로 대상자의 늑골을 따라 자연스럽게 벌려서 감싼다
-대상자가 코를 통해 숨을 들이마시는 동안 간호사의 엄지손가락은 양옆으로 벌린다
-흡기의 마지막에 잠시 숨을 멈춘다(호흡을 자연스럽게하고 공기의분포 고르게함)
-호기동안 대상자에게 복부근육을 수축할 것을 가르치면서 간호사의 엄지손가락은 명치끝 쪽으로 다시 모은다 호기동안 대상자는 입술을 오므린다
-호기의 길이를 흡기의 2~3배가 되게한다
♣pursed-lip 호흡법(입을 오므리고 하는 호흡)
입술을 오므려 호기를 한층 느리게 하고 작은 세 기관지의 허탈을 방지하여 폐 안에 포회된 공기의 양을 감소시킨다 만성 폐질환에서 기도는 탄력성을 잃고 호기시 허탈된다. 허탈된 기도로 하는 호기는 더욱 어려워지고 호흡은 가쁘다. 이런 대상자에게 교육
9. 기계적 환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기계적 환기(mechanical ventilation)가 적응이 된다.
-PaCO2의 증가 및 호흡성 산증
-탈진
-심한 졸리움증(hypersomnolence)이 있는 환자
참고문헌
1. 김동수 : 호흡관리의 실제. 서울 : 군자출판사. 1995 p. 447 - 456
2. 1학년 1학기 PBL 한숨패키지 고명숙 학장님 전체 강의 유인물
3. 전시자외(1991)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549~555
4. 전시자외 4인(2001) 성인간호학 현문사 p.962~969, p.974~980
5. 서문자외 7인(1991) 성인간호학(상2) 수문사 p.968~974
6. http://nursestudy.com.ne.kr
7. http://pro-web.suwon-c.ac.kr/~hjk/2부-contents.html
8. 서울대학교의과대할편(1991) 호흡기학, 서울대학교출판부, p.201~211
9. 서문자외 7명 (1999) 성인간호학 수문사 p.997~

키워드

COPD,   chronic,   dx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9.23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7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