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목차
-1주차 수업
-2주차 수업
-3주차 수업
-4주차 수업
-2010년 1학기 2주차 퀴즈
-2010년 1학기 4주차 퀴즈
-2010년 1학기 7주차 퀴즈
-2010년 1학기 10주차 퀴즈
-2010년 1학기 11~13주차 단원평가
-2010년 1학기 기말고사 O X 문제 50문항
-2주차 수업
-3주차 수업
-4주차 수업
-2010년 1학기 2주차 퀴즈
-2010년 1학기 4주차 퀴즈
-2010년 1학기 7주차 퀴즈
-2010년 1학기 10주차 퀴즈
-2010년 1학기 11~13주차 단원평가
-2010년 1학기 기말고사 O X 문제 50문항
본문내용
다민족 국가인 중국은 전 인구의 92%가 한족이며 그 외 55개의 소수민족이 있다.
55개 소수 민족중에서 장족(壯族) 인구가 가장 많고, 그 밖에 회족(回族), 위구르족(維吾爾), 티베트족(西藏 장족: 藏族)의 비중이 큰 편이며 중국 정부는 주요 소수민족에 대해 자치권을 확대해 주고 있다.
--------------------------------------------
(3) 중국의 화폐
중국의 법정화폐는 인민폐(人民)인데, 국제적으로는 CHY(China Yuan) , RMB(Ren Min Bi)로 표기한다. 부호로는 숫자 앞에 \"¥\"로 표기한다.
화폐단위는 위안(元), 자오(角) 펀(分)(실제 생활에 사용하는 회화에서는 콰이(塊), 마오(毛), 펀(分)이라고 말함)이 있다.
--------------------------------------------
2차시 : 중국인의 민족성
1. 중국인의 민족성
한 민족의 민족성을 이야기 할 때 단적으로 이렇다고 단정 지어 말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중국인의 민족성을 단적으로 말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잘못되면 몇 가지 것을 가지고 전체적인 것인 양 하는 잘못을 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중국을 대표하는 민족인 한족(漢族)의 몇 가지 두드러진 특징을 살펴본다.
(1) 우월감
우월감이란 대체로 중국민족이 다른 민족을 깔보는 경향을 말한다.
전통적으로 중국을 지배해온 사상적 토대는 중화사상(中華思想)이다. 중화사상의 본질은 중국, 또는 중국인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것이다. 이 중화사상속에는 중국인의 자만심 혹은 우월감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우월감은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크게 변하지 않고 있으며 주로 중국 정부 차원에서 나타나고 있다.
(2) 인내심
중국인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고, 유럽 전체면적과 같은 큰 대륙에 사는 자연 환경과 많은 인구의 영향, 그리고 오랜 역사 만큼이나 많은 끊임없이 계속됐던 변동과 전쟁속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내력이 필요하게 되어 어떤 민족보다도 강한 인내심을 가지고 있다.
(3) 무관심
중국인들은 인내심이 강하지만 무관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많은 역사적인 사건으로 볼 때 중국인들은 정치문제에 잘못 참여하여 자신들의 목숨, 재산, 가족들이 희생되거나 자신들의 당파를 몰락시키는 것을 겪었기 때문에 마음으로는 관심이 있으면서도 표면적으로는 무관심한 태도를 취한다. 이런 태도를 비판하는 소리도 많지만,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극도로 혼란한 시대가 많았던 역사를 지닌 중국인들이 정치와 사회문제에 무관심함으로써 자신의 목숨을 보존하려 했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 모른다.
(4) 향락성
중국인들은 내세를 믿지 않는 도교(道敎)와 무관심으로 인해 향락성이 생겨 현세를 즐겁게 지내려는 향락주의 경향이 상당히 깊이 뿌리 박혀 있다. 이러한 것은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먹는 음식, 술, 차 등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5) 보수성
농경생활을 바탕으로 하였던 중국민족은 언제나 계절에 따라서 비슷한 생활을 변화 없이 계속하여 조상대대로 살아오던 땅에서 그대로 정착하여 사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이러한 생활환경의 영향으로 옛날부터 내려오는 경험을 그대로 따라고 지키려는 생각이 강하게 되어 보수성이 강하게 되었다.
(6) 평화성
농업사회는 일반적으로 자연과의 관계가 대립이나 극복이 아닌 조화와 순응이었고, 일반적으로 평화를 지향하는 것이 보편적이어서 중국민족도 외유내강적인 면모를 지니면서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기를 지향해 왔다.
(7) 개인주의
오랜 사회주의 영향으로 개인주의와 법이나 규정에 대한 의식이 희박하다. 따라서 정부나 사회의 공익을 위한 조치에는 일반적으로 무관하다.
(8) 현실성
중국인은 실질적인 것을 좋아하고, 실용주의를 추구한다. 특히 종교에 대한 중국인의 태도는 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돈을 벌게 해 준다면 아침엔 교회에 가고, 낮엔 회교사원에 가며, 저녁엔 절에 갈수도 있는 것이다.
---------------------------------------------------------------------
2. 지역별 중국인들의 특성
국토 면적이 세계 2위인 중국에는 56개 민족 13억 이상의 사람이 역사, 문화 기후조건, 자연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들을 몇 지역으로 나누어 두드러진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해 본다.
(1) 북경인(北京人)
6백여 년 동안 중국의 수도인으로서의 역사를 갖고 있는 북경인은 학벌이 높고, 정치에 관심이 크고, 권력, 명예욕이 강하며 예의가 바르고 문화를 중요시 여긴다.
(2) 상해인(上海人)
상해는 항구라는 특성 때문에 일찍부터 개방되어 국제도시로 발전해왔으며, 개방적이고 서구화 되었다. 상해인들은 내용보다는 외견은 더 중시하여 외모, 치장 등에 신경를 쓰지만 장사를 아주 잘하고 경제적인 면이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밝아서 사업에 성공한 사람들이 많다. 상해 시민이라는 자부심이 아주 강하다.
(3) 천진인(天津人)
찬진사람들은 성격은 활발하지만 일에 대한 추진력이 약하며 현실에 안주하려는 경향이 짙은 ‘현실만족형’의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하북지방의 사람들의 성격이 쾌활하고 명랑하며 중국전역에서 가장 유머가 풍부한 것처럼, 천진 사람들은 유머감각이 뛰어나 주변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는 재주가 있다.
(4) 산동인(山東人)
산동인이라 함은 산동을 중심으로 한 황하유역의 평야에 사는 사람들로, 체격이 크고 재치가 있으며 성격이 순박하며 직선적인 편이다. 관용적이어서 남의 잘못을 잘 이해해주는 편이지만 정의감과 단결심이 강하고 대담한 면이 있는 관계로 무인으로서의 기질을 다분히 지니고 있다.
(5) 복건인(福建人)
복건사람들은 체격이 적고 얼굴은 장방형으로 넓은 이마, 둥근 코, 작은 눈이 특징이다. 복건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두뇌회전이 빨라 총명하며, 다소 구두쇠라는 평판이 있을 정도로 저축욕이 강하다. 지역적으로는 농지가 적은 산간지역으로 가난한데다가 복건인들은 모험심이 강하며 진취적인 성격의 소유자가 많아 일찍부터 해외로 진출한 화교가 많은 지역이다.
(6) 광동인(廣東人)
네모난 얼굴에 둥근 코, 짙은 눈썹, 약간
55개 소수 민족중에서 장족(壯族) 인구가 가장 많고, 그 밖에 회족(回族), 위구르족(維吾爾), 티베트족(西藏 장족: 藏族)의 비중이 큰 편이며 중국 정부는 주요 소수민족에 대해 자치권을 확대해 주고 있다.
--------------------------------------------
(3) 중국의 화폐
중국의 법정화폐는 인민폐(人民)인데, 국제적으로는 CHY(China Yuan) , RMB(Ren Min Bi)로 표기한다. 부호로는 숫자 앞에 \"¥\"로 표기한다.
화폐단위는 위안(元), 자오(角) 펀(分)(실제 생활에 사용하는 회화에서는 콰이(塊), 마오(毛), 펀(分)이라고 말함)이 있다.
--------------------------------------------
2차시 : 중국인의 민족성
1. 중국인의 민족성
한 민족의 민족성을 이야기 할 때 단적으로 이렇다고 단정 지어 말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중국인의 민족성을 단적으로 말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잘못되면 몇 가지 것을 가지고 전체적인 것인 양 하는 잘못을 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중국을 대표하는 민족인 한족(漢族)의 몇 가지 두드러진 특징을 살펴본다.
(1) 우월감
우월감이란 대체로 중국민족이 다른 민족을 깔보는 경향을 말한다.
전통적으로 중국을 지배해온 사상적 토대는 중화사상(中華思想)이다. 중화사상의 본질은 중국, 또는 중국인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것이다. 이 중화사상속에는 중국인의 자만심 혹은 우월감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우월감은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크게 변하지 않고 있으며 주로 중국 정부 차원에서 나타나고 있다.
(2) 인내심
중국인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고, 유럽 전체면적과 같은 큰 대륙에 사는 자연 환경과 많은 인구의 영향, 그리고 오랜 역사 만큼이나 많은 끊임없이 계속됐던 변동과 전쟁속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내력이 필요하게 되어 어떤 민족보다도 강한 인내심을 가지고 있다.
(3) 무관심
중국인들은 인내심이 강하지만 무관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많은 역사적인 사건으로 볼 때 중국인들은 정치문제에 잘못 참여하여 자신들의 목숨, 재산, 가족들이 희생되거나 자신들의 당파를 몰락시키는 것을 겪었기 때문에 마음으로는 관심이 있으면서도 표면적으로는 무관심한 태도를 취한다. 이런 태도를 비판하는 소리도 많지만,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극도로 혼란한 시대가 많았던 역사를 지닌 중국인들이 정치와 사회문제에 무관심함으로써 자신의 목숨을 보존하려 했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 모른다.
(4) 향락성
중국인들은 내세를 믿지 않는 도교(道敎)와 무관심으로 인해 향락성이 생겨 현세를 즐겁게 지내려는 향락주의 경향이 상당히 깊이 뿌리 박혀 있다. 이러한 것은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먹는 음식, 술, 차 등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5) 보수성
농경생활을 바탕으로 하였던 중국민족은 언제나 계절에 따라서 비슷한 생활을 변화 없이 계속하여 조상대대로 살아오던 땅에서 그대로 정착하여 사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이러한 생활환경의 영향으로 옛날부터 내려오는 경험을 그대로 따라고 지키려는 생각이 강하게 되어 보수성이 강하게 되었다.
(6) 평화성
농업사회는 일반적으로 자연과의 관계가 대립이나 극복이 아닌 조화와 순응이었고, 일반적으로 평화를 지향하는 것이 보편적이어서 중국민족도 외유내강적인 면모를 지니면서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기를 지향해 왔다.
(7) 개인주의
오랜 사회주의 영향으로 개인주의와 법이나 규정에 대한 의식이 희박하다. 따라서 정부나 사회의 공익을 위한 조치에는 일반적으로 무관하다.
(8) 현실성
중국인은 실질적인 것을 좋아하고, 실용주의를 추구한다. 특히 종교에 대한 중국인의 태도는 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돈을 벌게 해 준다면 아침엔 교회에 가고, 낮엔 회교사원에 가며, 저녁엔 절에 갈수도 있는 것이다.
---------------------------------------------------------------------
2. 지역별 중국인들의 특성
국토 면적이 세계 2위인 중국에는 56개 민족 13억 이상의 사람이 역사, 문화 기후조건, 자연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들을 몇 지역으로 나누어 두드러진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해 본다.
(1) 북경인(北京人)
6백여 년 동안 중국의 수도인으로서의 역사를 갖고 있는 북경인은 학벌이 높고, 정치에 관심이 크고, 권력, 명예욕이 강하며 예의가 바르고 문화를 중요시 여긴다.
(2) 상해인(上海人)
상해는 항구라는 특성 때문에 일찍부터 개방되어 국제도시로 발전해왔으며, 개방적이고 서구화 되었다. 상해인들은 내용보다는 외견은 더 중시하여 외모, 치장 등에 신경를 쓰지만 장사를 아주 잘하고 경제적인 면이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밝아서 사업에 성공한 사람들이 많다. 상해 시민이라는 자부심이 아주 강하다.
(3) 천진인(天津人)
찬진사람들은 성격은 활발하지만 일에 대한 추진력이 약하며 현실에 안주하려는 경향이 짙은 ‘현실만족형’의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하북지방의 사람들의 성격이 쾌활하고 명랑하며 중국전역에서 가장 유머가 풍부한 것처럼, 천진 사람들은 유머감각이 뛰어나 주변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는 재주가 있다.
(4) 산동인(山東人)
산동인이라 함은 산동을 중심으로 한 황하유역의 평야에 사는 사람들로, 체격이 크고 재치가 있으며 성격이 순박하며 직선적인 편이다. 관용적이어서 남의 잘못을 잘 이해해주는 편이지만 정의감과 단결심이 강하고 대담한 면이 있는 관계로 무인으로서의 기질을 다분히 지니고 있다.
(5) 복건인(福建人)
복건사람들은 체격이 적고 얼굴은 장방형으로 넓은 이마, 둥근 코, 작은 눈이 특징이다. 복건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두뇌회전이 빨라 총명하며, 다소 구두쇠라는 평판이 있을 정도로 저축욕이 강하다. 지역적으로는 농지가 적은 산간지역으로 가난한데다가 복건인들은 모험심이 강하며 진취적인 성격의 소유자가 많아 일찍부터 해외로 진출한 화교가 많은 지역이다.
(6) 광동인(廣東人)
네모난 얼굴에 둥근 코, 짙은 눈썹, 약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