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민속문화의 정의
2. 구비문학의 특징
3. 민속문학의 범위
4. 구비문학연구의 諸 觀點
5. 說話
2. 구비문학의 특징
3. 민속문학의 범위
4. 구비문학연구의 諸 觀點
5. 說話
본문내용
, 잡놈들을 비판하는 노래, 세태를 고발하는 노래, 일제항거)
(7) 巫歌
가) 정의
무당( 굿을 담당하는 전문적인 사제자, 목사, 스님과 구별되는 엑시타시상태에서 신령과 직접 교섭하는 무당)이 굿(제의적, 의례행휘의 포괄적 개념, 제의적 기능)을 하면서 부 르는 노래(구비전승)
나) 무가의 전반적 특징
① 주술성 : 점복, 치병, 예언 사제자로서의 신이성
② 신성성 : 청자가 神이다. 신과 인간과의 對話
③ 전승의 제한 : 무당에게만 전승
- 전승방법 : 가계계승(세습무), 사제계승(강신무), 共同巫儀를 통해서(상태의 굿하 는 것을 보면서)
- 전승이 어려운 이유 : 불량이 많다. 내용이 어렵다, 의례의 절차에 맞추어야한다. 신과의 대화이기때문에 경원시함
④ 오락성 : 굿이 민중의 구경거리, 굿놀이 - 구경꾼을 의식하면서 오락화 구경거리(듣기 (가락, 사설), 보기(춤, 몸짓, 분장)
⑤ 律文傳承 : 무가으 가락은 그 지방 특유의 민요가락과 비숫하다. 서사무가와 같은 것 은 4음격적으로 구연
다) 무가의 종류
① 서정무가 : 서울 열두거리 굿, 노랫가락이 대표적,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서
② 교술무가 : 神統의 나열, 의례를 행하기까지의 설명, 인간의 소원을 신에게 아뢰고 신의 뜻을 인간에게 전달하는 내용
③ 서사무가 : 일정한 성격을 가진 주인공이 있고, 그 주인공을 중심으로 사건의 서술
④ 희곡무가 : 굿놀이라고 하는 무의에서 낭송되는 무가(희곡가 같은 성격)
라) 무가의 구연방식
① 신단을 향해서 구연하는 경우, 신단을 등지고 구경꾼을 향해서 하는 경우
② 앉아서 하는 구연(앉은굿), 서서하는 구연(선굿)
③ 자신이 직접 반주를 하면서 구연하는 경우, 잽이의 반주에 맞추어 하는 경우
(8) 판소리
- 구성 : 소리광대, 고수, 대본, 청중
- 得音(토굴득음, 폭포득음)
- 판소리 역사
ㅇ 발생시기 : 조선후기 민중문학이 크게 일어날 때 민중문학의 집약적 표현의 하나. 18세기 숙종 말에서 영조 초로 추정
태동기(숙종연간)- 형성기(숙종 영조) - 융성기(18세기이후) -침체기(고종 원 각사 폐지 등)
- 판소리의 구성 : 창, 아리리, 발림, 추임새
ㅇ 판소리의 기원
소설기원설 - 설화기원설 - 무가기원설 - 이야기기원설 -광대소학지희기원설
- 판소리의 성격
ㅇ 적층성이 문제,
ㅇ 부분의 독자성(부분창)
ㅇ 종합예술성
ㅇ 민족예술적인 성격
ㅇ 에로티시즘적 성격,
ㅇ 해학성
(9) 속담(Proverb)
속담:작가불명, 구비전승, 생활경험에서 창작, 평범한 표현 중에서 진리, 간결하고 구체 적이다, 풍자적, 통속적
격언:작가가 있는 개인작, 기록전승, 논리적 사고에서 창작, 기교적 표현중에서 진리, 길 고 추상적이다. 교훈적, 지적
가) 속담의 특징
① 사회적 소산 : 공동작, 민중의 산물(공감) 일상적인 대화에서 인용하여 씀( - 라고 하는데), 처음에서는 개인작이었으나 민중이 공감하는 사실과 경험을 속담형식을 빌 어서 표현함
② 민중의 생활철학을 반영함(오랜 경험 속에서 이루어짐)
- 直觀에 의한 哲學이 아니고 부단한 시행착오의 체험을 통해 일반화
- 문자나 문구보다 실감으로 느낀다
- 처세의 교훈으로 작용(싼게 비지떡, 뒷간과 사돈집은 멀어야 좋다)
- 민중의 신념이 나타난다(무쇠도 갈면 바늘이 된다.)
- 세태풍자 : 뒷구멍으로 호박씨 깐다.
- 인생관 : 사람나고 돈났다. 복없는 처자 방토방세 가 누워도 고자 옆에 눕는다
③ 향토성 반영 : 지방의 방언에 따라서, 생활습관, 풍소, 생업과 관련되어 생활방식, 가치관이 다르다
④ 속담은 시대상을 반영(끊임업시 생성 변화한다.)
갓쓰고 자전거 타기(개화기)
봉사 눈에 썬그라스(현대)
⑤ 형식이 간결한 것이 특징(속담을 부연하거나 생략하면 속담기능을 상실)
⑥ 언어생활을 윤택하게 한다(비유, 상징, 재치있는 표현)
나) 속담의 유형
① 主題만 있는 것
- 單語型 : 동네북, 개팔자
- 短文型 : 꿀먹은 벙어리, 우물 안의 개구리, 고생끝에 낙이 있다.
- 羅列型 :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잘되면 충신이요 못되면 역적이다.
② 主題 + 補助
- 여인을 돌리면 버리고 가구는 빌리면 깨진다
- 흥정을 붙이고 싸움은 말린다.
- 삼정승 사귀지말고 내 한 몸 조심하라
(10) 수수께끼(말로 숨은 것을 찾아내는 겨루기)
가) 정의 : 수수께끼는 은유를 써서 對象을 정의하는 言語表現法
어떤 사물(행위·사건·사물)에 대하여 바로 말하지 않고 빗대어(은유:metaphor) 말하여 그 사물의
(7) 巫歌
가) 정의
무당( 굿을 담당하는 전문적인 사제자, 목사, 스님과 구별되는 엑시타시상태에서 신령과 직접 교섭하는 무당)이 굿(제의적, 의례행휘의 포괄적 개념, 제의적 기능)을 하면서 부 르는 노래(구비전승)
나) 무가의 전반적 특징
① 주술성 : 점복, 치병, 예언 사제자로서의 신이성
② 신성성 : 청자가 神이다. 신과 인간과의 對話
③ 전승의 제한 : 무당에게만 전승
- 전승방법 : 가계계승(세습무), 사제계승(강신무), 共同巫儀를 통해서(상태의 굿하 는 것을 보면서)
- 전승이 어려운 이유 : 불량이 많다. 내용이 어렵다, 의례의 절차에 맞추어야한다. 신과의 대화이기때문에 경원시함
④ 오락성 : 굿이 민중의 구경거리, 굿놀이 - 구경꾼을 의식하면서 오락화 구경거리(듣기 (가락, 사설), 보기(춤, 몸짓, 분장)
⑤ 律文傳承 : 무가으 가락은 그 지방 특유의 민요가락과 비숫하다. 서사무가와 같은 것 은 4음격적으로 구연
다) 무가의 종류
① 서정무가 : 서울 열두거리 굿, 노랫가락이 대표적,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서
② 교술무가 : 神統의 나열, 의례를 행하기까지의 설명, 인간의 소원을 신에게 아뢰고 신의 뜻을 인간에게 전달하는 내용
③ 서사무가 : 일정한 성격을 가진 주인공이 있고, 그 주인공을 중심으로 사건의 서술
④ 희곡무가 : 굿놀이라고 하는 무의에서 낭송되는 무가(희곡가 같은 성격)
라) 무가의 구연방식
① 신단을 향해서 구연하는 경우, 신단을 등지고 구경꾼을 향해서 하는 경우
② 앉아서 하는 구연(앉은굿), 서서하는 구연(선굿)
③ 자신이 직접 반주를 하면서 구연하는 경우, 잽이의 반주에 맞추어 하는 경우
(8) 판소리
- 구성 : 소리광대, 고수, 대본, 청중
- 得音(토굴득음, 폭포득음)
- 판소리 역사
ㅇ 발생시기 : 조선후기 민중문학이 크게 일어날 때 민중문학의 집약적 표현의 하나. 18세기 숙종 말에서 영조 초로 추정
태동기(숙종연간)- 형성기(숙종 영조) - 융성기(18세기이후) -침체기(고종 원 각사 폐지 등)
- 판소리의 구성 : 창, 아리리, 발림, 추임새
ㅇ 판소리의 기원
소설기원설 - 설화기원설 - 무가기원설 - 이야기기원설 -광대소학지희기원설
- 판소리의 성격
ㅇ 적층성이 문제,
ㅇ 부분의 독자성(부분창)
ㅇ 종합예술성
ㅇ 민족예술적인 성격
ㅇ 에로티시즘적 성격,
ㅇ 해학성
(9) 속담(Proverb)
속담:작가불명, 구비전승, 생활경험에서 창작, 평범한 표현 중에서 진리, 간결하고 구체 적이다, 풍자적, 통속적
격언:작가가 있는 개인작, 기록전승, 논리적 사고에서 창작, 기교적 표현중에서 진리, 길 고 추상적이다. 교훈적, 지적
가) 속담의 특징
① 사회적 소산 : 공동작, 민중의 산물(공감) 일상적인 대화에서 인용하여 씀( - 라고 하는데), 처음에서는 개인작이었으나 민중이 공감하는 사실과 경험을 속담형식을 빌 어서 표현함
② 민중의 생활철학을 반영함(오랜 경험 속에서 이루어짐)
- 直觀에 의한 哲學이 아니고 부단한 시행착오의 체험을 통해 일반화
- 문자나 문구보다 실감으로 느낀다
- 처세의 교훈으로 작용(싼게 비지떡, 뒷간과 사돈집은 멀어야 좋다)
- 민중의 신념이 나타난다(무쇠도 갈면 바늘이 된다.)
- 세태풍자 : 뒷구멍으로 호박씨 깐다.
- 인생관 : 사람나고 돈났다. 복없는 처자 방토방세 가 누워도 고자 옆에 눕는다
③ 향토성 반영 : 지방의 방언에 따라서, 생활습관, 풍소, 생업과 관련되어 생활방식, 가치관이 다르다
④ 속담은 시대상을 반영(끊임업시 생성 변화한다.)
갓쓰고 자전거 타기(개화기)
봉사 눈에 썬그라스(현대)
⑤ 형식이 간결한 것이 특징(속담을 부연하거나 생략하면 속담기능을 상실)
⑥ 언어생활을 윤택하게 한다(비유, 상징, 재치있는 표현)
나) 속담의 유형
① 主題만 있는 것
- 單語型 : 동네북, 개팔자
- 短文型 : 꿀먹은 벙어리, 우물 안의 개구리, 고생끝에 낙이 있다.
- 羅列型 :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잘되면 충신이요 못되면 역적이다.
② 主題 + 補助
- 여인을 돌리면 버리고 가구는 빌리면 깨진다
- 흥정을 붙이고 싸움은 말린다.
- 삼정승 사귀지말고 내 한 몸 조심하라
(10) 수수께끼(말로 숨은 것을 찾아내는 겨루기)
가) 정의 : 수수께끼는 은유를 써서 對象을 정의하는 言語表現法
어떤 사물(행위·사건·사물)에 대하여 바로 말하지 않고 빗대어(은유:metaphor) 말하여 그 사물의
추천자료
남북한 문학사 비교
현대사회의 구비문학
삼국시대의 문학
삼국유사의 문학사적 의의
[구비문학] '판소리'에 대한 심층 고찰 및 특징 연구
남북국 문학과 최치원
이인로의 문학세계
러시아 문학
[아동문학] <동화수업 활동 계획 및 구성> 동화책 즐거운 날 - 활동명 : 우리나라 명절에 대...
교사로서 아동문학의 역사를 알아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논하시오.
[구비문학의 세계 공통] 단군신화, 동명신화, 혁거세신화, 수로신화를 비교하여 같은 점과 다...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고전문학 교육론] 살아있는 민요교육-노동요를 중심으로
[고전문학 교육론] 사회적 삶을 고려한 ‘민요’ 배우기 - 시집살이 노래를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