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 직업 현황
(1)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의 산업구조로 변화
(2) 디지털 컨버전스를 넘어 산업 컨버전스로 변화
(3) 비정규직의 증가
2. 미국의 직업
(1) 직업별 현황
(2) 직업 사회 전망
(3) 전도유망한 직업
3. 우리나라와 미국간의 직업 비교
(1) 분야별 유망 직업군
(2) 분야별 타격받을 직업군
(3) 분야별 고소득 직업군
(4) 우리나라와 미국의 서비스업 비교
4. FTA로 인한 우리나라 직업의 변화
(1) 한·미 FTA 이후 10대 유망 직업
(2) FTA시대에 각광받을 미국 자격증
Ⅲ. 결론
Ⅱ. 본론
1. 우리나라 직업 현황
(1)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의 산업구조로 변화
(2) 디지털 컨버전스를 넘어 산업 컨버전스로 변화
(3) 비정규직의 증가
2. 미국의 직업
(1) 직업별 현황
(2) 직업 사회 전망
(3) 전도유망한 직업
3. 우리나라와 미국간의 직업 비교
(1) 분야별 유망 직업군
(2) 분야별 타격받을 직업군
(3) 분야별 고소득 직업군
(4) 우리나라와 미국의 서비스업 비교
4. FTA로 인한 우리나라 직업의 변화
(1) 한·미 FTA 이후 10대 유망 직업
(2) FTA시대에 각광받을 미국 자격증
Ⅲ. 결론
본문내용
의사’를 뽑을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고소득 직업 7순위를 차지했지만 미국에서는 당당하게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한미FTA가 체결될 경우 의료서비스 분야에서 변화가 생길 것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는데 한미간 전문직자격상호인정(MRA) 협정에 이어 비자쿼터 문제가 해결되면 의사, 간호사, 수의사, 치과의사 등 전문의료진의 미국 진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취업의 폭이 확대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약사’의 경우 우리나라의 고소득 직업 순위에는 없지만 미국의 고소득 직업 순위에는 10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같이 사실 우리나라의 경우 ‘약사’라는 직업이 전문성이 있기는 하지만 경쟁성이 있는 직업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복제약 판매에 의존해 온 국내 제약 업체들은 신약(新藥) 개발 경쟁력에서 미국의 초대형 제약회사를 당할 재간이 없다. 실제로, 코스타리카의 경우 미국과의 FTA 이후 제약회사 영업직 일자리가 격감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1위를 차지하는 변호사는 미국에서는 2위이다. 이와 같은 수치로 인해 법률분야는 한미FTA체결 후에도 별다른 변화가 없을것이라고 생각되어질지 모르겠지만 미국은 법률·금융·디자인 등 서비스 산업의 세계 최강인 만큼 이 분야 직업군이 1차적으로 타격받을 가능성이 있다. 변호사의 경우 자기만의 특화된 분야를 갖지 못하면 시장에서 도태될 위험이 더 커진다. 독일과 일본의 경우 미국에 법률시장을 개방한 이후, 독일은 토종 로펌 10개 중 8개, 일본은 토종 로펌 10개 중 5개가 미국 로펌에 합병당했다.
(4) 우리나라와 미국의 서비스업 비교
위에서 언급했듯이, 한미FTA가 체결될 경우 여러 분야에서 변화가 생길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나 그 중에서도 변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 생각되어야할 분야는 단연코 서비스업 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서비스업 비교를 통해 서비스업에 대해 더욱 더 깊이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FTA가 다른 부문에서 미치는 관세철폐의 영향이 서비스 부문에 생산유발효과를 발생시켜서 서비스 부문의 고용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협상 결과에 의해 개방도가 높아지고 가격인하 효과로 국내수요가 늘어나면 시장규모가 확대돼 서비스업 고용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경쟁력이 취약한 업체들이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일부 고용 감소도 예상된다.
사업체당 종업원수(명)
1인당 매출액(백만원)
분야
한국(2004)
미국(2002)
한국(2004)
미국(2002)
도소매
2.8
13.2
180.3
468.8
음식숙박
2.6
17.9
32.3
55.6
부동산임대
3.6
6.0
66.4
215.5
사업서비스
11.5
15.9
62.1
96.0
교육서비스
4.0
8.7
35.3
89.3
보건사회복지
8.2
21.4
57.4
100.4
문화오락운동
2.9
16.8
78.9
96.0
기타서비스
1.8
6.5
21.4
110.5
우리나라 통계청의 서비스업 통계 자료와 미국의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이 매 5년마다 실시하는 서비스업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서비스업종별 한ㆍ미간의 서비스업 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미국에 비해 업체당 매출액이나 종업원 규모가 매우 작고, 종업원 1인당 매출액도 미국 서비스업체들의 수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에 비해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관련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부족하고 시장규모 자체가 크지 않은 데다, 영세한 기업규모와 자본규모, 그리고 낙후한 경영방식과 전문성 부족 등이 해당 업종의 낮은 생산성을 초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서비스시장 개방과 관련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교육, 의료, 오락문화(영화 포함), 법률회계 및 컨설팅, 전문디자인 등 비즈니스 지원성격의 서비스 분야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은 우선 규모의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관련 종사자들의 생산성 수준도 상대적으로 크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업원 1인당 매출액을 보면 전문디자인 서비스의 경우 미국의 34% 수준이며, 법률회계 서비스의 경우 36% 수준, 영화산업 44%, 경영컨설팅 52%, 병원업 61% 등에 그치고 있다. LG경제연구원. http://www.lgeri.com - LG주간경제 2006.4.26.
즉 한ㆍ미 FTA 체결로 서비스시장 개방이 실현될 경우, 우리나라 서비스기업들은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지닌 미국기업들과의 전면적이고 직접적인 경쟁에 노출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시장개방에 의해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해 도산하는 서비스기업들도 많이 생길것이고, 일자리 부족현상등 많은 사회문제들이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시장개방을 반대하며 있을수도 없는 현실이기에, 무한 경쟁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우리나라의 본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기업차원에서는 국내 기업들 간의 M&A를 통한 규모의 경제 창출, 해외선진 기업들과의 적극적인 제휴를 통한 선진 서비스 노하우 및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 서비스관련 인력에 대한 과감한 교육훈련 투자 등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나 서비스분야는 한국경제를 좌지우지하는 중요한 분야이기에 정부의 대책 또한 필히 요구된다.
4. FTA로 인한 우리나라의 직업변화
(1) 한· 미 FTA 이후 10대 유망 직업 김준성,김농주. 한미FTA 후 직업의 미래. 살림. 2007.06.05.
한·미 FTA는 한국과 미국을 단일한 시장으로 묶는 것으로 직업 세계에도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이 틀림없다. 미국계 기업이 한국에 많이 진출하고 또한 한국 기업이 미국에 활발히 진출하는 분야의 경우 인력 수요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위에서 다룬 유망 직업군을 바탕으로 한·미 FTA가 가져 올 변화를 예상하여 향후 유망한 10대 직업군을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1) 외국 투자은행의 준법 감시인
미국 월스트리트의 투자은행에서는 준법 감시인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한·미 FTA 타결로 미국의 선진 금융 시스템이 한국에 더 많이 들어오면 이 직업은 유망해진다. 이들이 하는 일은 은행원들이 법을 지키면서 그
또한, 우리나라에서 1위를 차지하는 변호사는 미국에서는 2위이다. 이와 같은 수치로 인해 법률분야는 한미FTA체결 후에도 별다른 변화가 없을것이라고 생각되어질지 모르겠지만 미국은 법률·금융·디자인 등 서비스 산업의 세계 최강인 만큼 이 분야 직업군이 1차적으로 타격받을 가능성이 있다. 변호사의 경우 자기만의 특화된 분야를 갖지 못하면 시장에서 도태될 위험이 더 커진다. 독일과 일본의 경우 미국에 법률시장을 개방한 이후, 독일은 토종 로펌 10개 중 8개, 일본은 토종 로펌 10개 중 5개가 미국 로펌에 합병당했다.
(4) 우리나라와 미국의 서비스업 비교
위에서 언급했듯이, 한미FTA가 체결될 경우 여러 분야에서 변화가 생길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나 그 중에서도 변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 생각되어야할 분야는 단연코 서비스업 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서비스업 비교를 통해 서비스업에 대해 더욱 더 깊이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FTA가 다른 부문에서 미치는 관세철폐의 영향이 서비스 부문에 생산유발효과를 발생시켜서 서비스 부문의 고용규모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협상 결과에 의해 개방도가 높아지고 가격인하 효과로 국내수요가 늘어나면 시장규모가 확대돼 서비스업 고용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경쟁력이 취약한 업체들이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일부 고용 감소도 예상된다.
사업체당 종업원수(명)
1인당 매출액(백만원)
분야
한국(2004)
미국(2002)
한국(2004)
미국(2002)
도소매
2.8
13.2
180.3
468.8
음식숙박
2.6
17.9
32.3
55.6
부동산임대
3.6
6.0
66.4
215.5
사업서비스
11.5
15.9
62.1
96.0
교육서비스
4.0
8.7
35.3
89.3
보건사회복지
8.2
21.4
57.4
100.4
문화오락운동
2.9
16.8
78.9
96.0
기타서비스
1.8
6.5
21.4
110.5
우리나라 통계청의 서비스업 통계 자료와 미국의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이 매 5년마다 실시하는 서비스업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서비스업종별 한ㆍ미간의 서비스업 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미국에 비해 업체당 매출액이나 종업원 규모가 매우 작고, 종업원 1인당 매출액도 미국 서비스업체들의 수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에 비해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관련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부족하고 시장규모 자체가 크지 않은 데다, 영세한 기업규모와 자본규모, 그리고 낙후한 경영방식과 전문성 부족 등이 해당 업종의 낮은 생산성을 초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서비스시장 개방과 관련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교육, 의료, 오락문화(영화 포함), 법률회계 및 컨설팅, 전문디자인 등 비즈니스 지원성격의 서비스 분야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은 우선 규모의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관련 종사자들의 생산성 수준도 상대적으로 크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업원 1인당 매출액을 보면 전문디자인 서비스의 경우 미국의 34% 수준이며, 법률회계 서비스의 경우 36% 수준, 영화산업 44%, 경영컨설팅 52%, 병원업 61% 등에 그치고 있다. LG경제연구원. http://www.lgeri.com - LG주간경제 2006.4.26.
즉 한ㆍ미 FTA 체결로 서비스시장 개방이 실현될 경우, 우리나라 서비스기업들은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지닌 미국기업들과의 전면적이고 직접적인 경쟁에 노출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시장개방에 의해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해 도산하는 서비스기업들도 많이 생길것이고, 일자리 부족현상등 많은 사회문제들이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시장개방을 반대하며 있을수도 없는 현실이기에, 무한 경쟁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우리나라의 본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기업차원에서는 국내 기업들 간의 M&A를 통한 규모의 경제 창출, 해외선진 기업들과의 적극적인 제휴를 통한 선진 서비스 노하우 및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 서비스관련 인력에 대한 과감한 교육훈련 투자 등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나 서비스분야는 한국경제를 좌지우지하는 중요한 분야이기에 정부의 대책 또한 필히 요구된다.
4. FTA로 인한 우리나라의 직업변화
(1) 한· 미 FTA 이후 10대 유망 직업 김준성,김농주. 한미FTA 후 직업의 미래. 살림. 2007.06.05.
한·미 FTA는 한국과 미국을 단일한 시장으로 묶는 것으로 직업 세계에도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이 틀림없다. 미국계 기업이 한국에 많이 진출하고 또한 한국 기업이 미국에 활발히 진출하는 분야의 경우 인력 수요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위에서 다룬 유망 직업군을 바탕으로 한·미 FTA가 가져 올 변화를 예상하여 향후 유망한 10대 직업군을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1) 외국 투자은행의 준법 감시인
미국 월스트리트의 투자은행에서는 준법 감시인들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한·미 FTA 타결로 미국의 선진 금융 시스템이 한국에 더 많이 들어오면 이 직업은 유망해진다. 이들이 하는 일은 은행원들이 법을 지키면서 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