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아픈이유]중간고사 최종정리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가아픈이유]중간고사 최종정리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가능한 spongiform encephalopathy 발견
- 전율 균형, 이동감각상실(직립보행 불가능), 치매로 발전, 발병 후 1년내 사망. 발병율 1%로 높음
- 원인: cannibalism - 망자의 뇌를 나눠 먹음. 유전될 수 있음을 확인
- Gajdusek 박사가 kuru 환자의 뇌에서 추출한 조직의 일부를 침팬지에게 투여하여 kuru가 전염됨을 밝혀
1976년 노벨의학상 수상
scrapie(=sc)
- 영국의 가축(sheep, goat)에서 몇백년 전에 보고됨
- 발열없이 가려움. 문지르는 것에서 병명 유래
- spongiform encephalopathy 로 발전. 잠복기는 2~5년으로 보고
원인물질
- 유전자 없이 단백질이 발병
- 단백질만으로 전염, 발병가능: PrP => 정상 프리온
- scrapie 전염능은 핵산파괴시약(zinc ion, nuclease)에는 매우 저항
- 단백질파괴시약(강염기, 페놀, SDS)에는 매우 민감, 활성 상실
PrP : 기억, 인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
기능은 모름, 포유류 뇌에서 잘 보존되어 있음. 생쥐에게서 PrP 유전자를 제거해도 생존에 지장 없음
- prusiner 박사가 proteinaceous infectious particle(PrP)이 존재.
- PrP(정상)가 PrPsc(CJD 환자)로 변하여 발병함(정상->변형)을 증명하여 1982년 노벨상 수상
- 아미노산 1개의 변이인 것으로 추정, 건강한 단백질이 변화하여 질병을 일으킬 수도..
변형된 단백질이 서로 뭉쳐 amyloid fibril 형성=>치매 β-sheet가 많아진다. 건강한 PrP가 PrPsc를 만나면 변이, 축적, 증가. PrPsc가 침전 응집될 때 알파나선구조가 감소하고 새로운 베타나선구조를 형성한다. 아밀로이드 형성
prion disease
프리온: 단백질 유사물질로 감염능력이 있음. 크류츠펠드-제이콥 질병(CJD), 뇌의 단백질 이상 유발
아밀로이드 응집, PrPsc가 뇌에 응집, 아밀로이드 병변 형성
원인: 자발적 발생 가능, 오염된 조직 섭취
특징: 유전자의 개입 없이도 발현, 복제, 전염 가능
BSE: 광우병
- scrapie 와 유사한 증상이 소에게서 1980년대에 보고(1970~1980년대에 동물성사료 소비 급증)
- 현재까지 중간 직접 감염이 가능한지는 아직 불분명함
- 영국과 유럽에서 수백만 마리의 소가 소각됨
vCJD: 인간 광우병
- 1994년 영국에서 인간광우병 환자 첫 보고(1992년이 최고치), vCJD로 명명
CJD: 수술도구 오염, 이식수술 등으로 인간-인간 전염가능(병원 내 감염)
GSS 증후군, fatal familial insomina
유사광우병의 종간 전염
- 일반적으로 prion 질병은 종간 장벽을 넘지 못함
=> 프리온의 감염은 공여자와 수용자의 프리온 아미노산 서열이 유사해야 가능함
그러나 종간 장벽이 절대적이지는 않음
예) 양의 scrapie가 생쥐와 햄스터에게 전염되었음
- 양은 BSE에 쉽게 감염되지만, 소는 양의 scrapie에 감염되지 않는다 (양과 소는 아미노산이 8개 다르다)
- 진화상 하위동물이 상위동물로 전염가능 할 확률은 매우 낮음
vCJD로 죽을 확률: 1/100만, 축구하다 죽을확률: 1/1만 (영국)
감염원, 병원균
- 바이러스: DNA 혹은 RNA +단백질. 리피드막이 존재하기도 함.
숙주가 필요하고, 대부분 특정 종에 대해서만 감염
- 세균: 단세포 (1~10μm). 세포벽을 가짐
모양에 따라 cocci(구형), bacilli(막대기형), spirilla(나선형), spirochetes(코르크스크류형), vibrio(콤마형)
대장균
- 학명: 출혈성장염(heamorrhagic colitis)
- 미국에서는 매년 대장균 0157:H7에 감염되는 환자의 수는 7만명에 이르고, 대장균 0157:H7에 감염되어
사망하는 사람들의 수가 매년 250명 정도인데 사망자 가운데 대부분이 5살 이하
- 햄버거 병은 대장균 0157:H7이라는 박테리아의 균에 의한 식중독으로 오게됨. 특히 햄버거용으로 다진 고기를
포함한 육류에서 발생
증상: 심한 설사가 오게 되며 때론 혈변을 보이기도 함. 구토와 복부통증 및 미열이 따르게 되느데 상한 음식을
먹고 2일 후부터 나타나게 되고 5~10일 정도 고생
- 대장균 0157:H7에서 나오는 독성물질에 의해 일어나는 용혈성요독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HUS)이
나타날 경우 신부전, 빈혈과 장내출혈을 일으켜서 생명에 위협을 준다. 어린아이 노약자 특히 위험
프로토조아(세균보다 더 큰 생물체)
- 단세포 진핵 미생물. amoeboids, flagellates, ciliates sporozoans
- 대부분 거주지역에서 발견되나 대부분 질병을 유발하지 않음. 그러나 세포에 침입하여 면역 반응을 일으킴
- 위족운동(pseudopodia)으로 이동
- plasmodium : 말라리아 유발. 매년 500만 명이 감염, 100만명이 사망.
대부분 아프리카의 유아, 소아, 임산부가 희생. 모기에 의해 매개
곰팡이류
- 단세포 혹은 다세포로 chitin 다당류가 세포벽에 존재하는 생명체
- mycoses: 곰팡이 감염. 건강한 사람은 곰팡이 감염에 저항. 감염되면 독소 분비, 염증과 앨러지 유발
- 캔디다증: pneumocytosis (원충류감염): 사상균 감염
기생충
- 다세포 고등 동물
ascaris (회충)
- 14억명이 감염. 전세계적 분포이나 열대, 아열대 지방에서 주로 발생. 비위생적 환경/음식에서 회충 알을
섭취하면 소장에서 부화하여 성충이 되고, 성충은 알을 낳아 변으로 배출, 전파됨. 감염되어도 증상은 없음.
철저한 위생관리로 예방가능
hookworms (십이지장충)
- 빈혈과 단백질 결핍 유발. 열대지방 근처 개도국(남미, 동남아, 중국 등)이 주로 감염. 7억4천만명으로 추산
유충이 피부를 뚫고 발, 팔. 손 등으로 침투하여 소장으로 이동. 하루에 수천개의 알을 낳아 변으로 배출.
예방: 위생철저, 맨발로 걷지 않기, 인분을 비료로 사용하지 않기 등
pin worm (요충)
- 전세계적으로 2천만명 감염. 암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11.09.26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4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