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아픈이유]기말고사 최종정리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가아픈이유]기말고사 최종정리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 있으며 자궁이 남아 있는 한
임신능력을 가지게 됨
* 바이러스에 의해 매개되는 성병은 치료 불가능
- 난소암
- 난소암은 난소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50~70세 사이에 제일많이 발생 함
- 2002년 우리나라 통계에 의하면 매년 약 1000~1200명 정도가 새로 발병하고 있으며 자궁경부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부인과 암
- 난소암의 약 90%를 차지하는 상피성 난소암은 대부분 3기 이상의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5년
생존율이 매우 나빠 40%가 채 되지 않음
- 아직 조기진단 방법은 없음
- 난소암의 원인
- 난소암의 발병원인은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정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살펴볼 수 있음
- 가족력: 가족중에 난소암 환자가 있는 경우 난소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짐
이는 난소암에 유전성이 있다는 뜻으로 유전자(BRCA)검사에서 양성일 경우 음성인 경우보다 난소암에 걸릴
확률이 10배이상 높아지므로, 반드시 정기적인 조기 검진이 필요함
그러나, 95% 이상의 대다수 난소암은 이러한 가족력이 없는 환자에서 발생하고 있음
- 과거병력: 본인이나 가족이 유방암, 자궁내막암, 직장암 등의 과거 병력이 있는 경우 난소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짐. 특히, 유방암과 난소암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유방암이 생기면 난소암이 생길 가능성이 2배 높아지고 난소암이 있으면 유방암이 생길 가능성이 3~4배 많아진다고 알려져 있음
- 출산경험: 배란 횟수가 적을수록 난소암에 걸릴 위험은 낮아짐. 이러한 대표적인 경우로 임신을 들 수 있는데
출산 횟수가 한 번이면 출산을 전혀 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약 10%가량 위험이 감소하고, 세 번 출산을 하게
된다면, 난소암 위험도가 무려 50%나 줄어들게 됨. 또한 출산 후 수유를 하는 경우에도 배란을 억제하여
월경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난소암의 위험이 감소함. 마찬가지로 먹는 피임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도 피임약이
배란을 억제시키기 때문에 난소암의 위험을 감소시킴 (그러나 다른 여성질환을 증가시킴)
- 식습관: 고지방, 고단백 식품을 섭취하는 식습관, 비만, 석면과 활석 등 환경적 유발 물질 등도 난소암의
위험을 증가시킴
- 난소암의 증상 및 대처
- 난소암은 증상이 미미하여 약 60%정도가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병원을 찾게 되므로, 증상이 없더라도 1년에 한 번 정도는 반드시 정기적인 부인암 검진을 받는 것이 조기진단의 지름길
- 산부인과 의사가 내진을 하여 난소가 커져 있는지 혹이 만져지는지 등을 확인하고 필요하다고 여겨지면
초음파 검사로 난소의 혹을 검사함
- 또한 단순한 양성 물혹인지 악성 암인지를 감별하기 위해 혈액검사로 종양 표지인자를 확인하기도 함
- 그러나, 초음파나 혈액검사 모두 완벽한 검사는 아니므로 두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일찍
난소암을 발견할 수 있는 방법임
- 유방암
- 여자에게서 사망률 2위암
- 북미지역에서 최대발생
- 세계에서 매년 130만 명이 진단되고, 465천명이 사망
- 유방의 상피세포는 에스트로겐 등의 여성 호르몬의 자극을 받아 성장 및 분열을 하게 되는데, 유방의 상피세포 들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노출된 기간이 길수록, 즉 출산이나 모유 수유 경험이 없거나, 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어 생리를 오래한 여성이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음
- 또 폐경 후 여성이 비만한 경우에도 여성 호르몬이 많아져 유방암의 발생 위험이 높아짐
- 유방암 환자의 5~10%에서는 유전 소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BRCA1와 BRCA2 유전자
돌연변이가 유전성 유방암의 원인(생애 80% 발병 확률) 알려져 잇음
- 가장 흔한 증상은 덩어리가 만져지고 무게감, 부풍어 오른 느낌
- 유방 종괴(만져지는 덩어리)는 유방암의 증상 가운데 약 7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증상으로 유방에 동괴가
있을 때 유방암과의 감별이 필요함
- 유두 분비는 유방 종괴 다음으로 흔한 증상으로, 많은 환자들이 유두 분비가 있을 경우 유방암을 의심하고
걱정하지만, 유두 분비가 있는 환자의 일부만 악성 질환과 관련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전체 유방암
환자의 1%만 유두분비 증상을 보임
- 한편, 유두에서 피가 분비되는 혈액성 유두분비의 대부분은 관내 유두종 등 양성 질환으로 인한 것이지만
일부에서는 유방암의 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음
- 유전적 소인은 5~10%만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치료: 수술, 방사능, 화학요법, 표적 약물전달, 호르몬 요법
- 자가진단: 한 달에 한번 실시.
- 생리 끝나고 1주일 이내 => 가장 좋은 시기는 유방이 부풀거나 긴장 하지 않았을 때
- 바로 누워서 오른팔을 머리 뒤로 해보자. 왼손의 가운데 손가락 세 개 바닥으로 오른쪽 유방의 덩어리를 느껴
보자. 이때 손가락바닥을 원을 동전(dime)크기만큼 원을 그리면서 움직여 보자. 3단계의 힘을 가하면서 유방
전체를 만져보자 => 1. 약한힘: 손가락 바닥이 피부에만 닿는 느낌. 2. 중간힘: 조금 더 깊게 누르는 느낌
3. 강한힘: 가슴과 갈비뼈가 느껴지는 힘
- 미국암학회 (교재 p.270)
유방의 가장 바깥으로부터 손가락을 원형으로 움직여 유방의 한가운데까지 천천히 움직인다. 모든 유방조직을
눌러보자. 반대쪽 유방도 오른팔로 같은 방법으로 눌러보자. 거울 앞에 정면으로 서서 팔을 엉덩이에 단단히 붙이고 서자. 그자세에서 자신의 가슴을 천천히 관찰하여 크기와 모양(대칭), 비틀림등의 변화가 있는지 관찰해 보자. 유두의 붉은 반점, 비늘처럼 일어나는 현상, 유두를 짜서 분비물이 나오는지 조사해 보자. 바로선
자세에서 팔을 들어 겨드랑이의 몽아리 등을 조사해 보자
- 유방의 양성 종양
- fibroadenoma: 아포크린섬 유샘종
- 20~30대 여성에게 호발. 모든 연령에게 발생. 원인은 잘 모르고 예방법은 없음
- 유방에 생기는 가장 흔한 양성종양
- 소엽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호르몬의 영향을 받으면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특징은 경계가 분명하고 잘 움직이며 대부분 통증이 없다는 것
- 둥글거나 몇 개의 작은 결절이 뭉쳐진 모양으로, 만지면 고무지우개를 만

키워드

  • 가격6,000
  • 페이지수87페이지
  • 등록일2011.09.26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4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