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본문내용
급, 생리적 불편함을 처리, 위험으로부터 안전함.)
- 진화론적으로 생존적 가치를 지닌 행동이다.
- 각인 (imprinting)
: Lorenz(동물행동학자)에 의해 발견된 현상으로 알에서 부화된 오리가 처음 접하게 되는 대상을 계속해서 따라다니는 선천적인 행동이다. (로렌즈를 엄마라고 생각.)
- Harlow의 애착행동 연구 : 어미로부터 고립된 새끼원숭이에게 두 개의 모조엄마를 제공 (엄마와 아이의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가. 그 당시에 찬장설이 있었음. 생리적 요소를 해소시켜줄 때 유대가 맺어진다고 봤음)
* 모조원숭이1 (철사와 젖병)
* 모조원숭이2 (푹신한 융단) : 젖을 먹을 때 모조원숭이1에게 감
대부분의 시간을 모조원숭이 2에서 보냄
접촉안락감(contact comfort)의 중요성
성숙 후 부적절한 교미행동과 모성행동을 보임
- Bowlby의 애착행동 연구: 시설기관의 아동을 대상으로 모성박탈의 영향을 연구함
* 어미의 반응에 따라 아이는 애착을 형성
* 엄마의 지속적 수용 -> 안정된 애착
* 일관성 없이 수용/거부 -> 불안정/ 양가적 애착
* 일관된 거부 -> 회피적 애착
유아기의 애착관계가 성장 후의 인간관계에 깊은 영향 (어른이 되어서도 큰 영향)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이의 기질
[쉬어가기]
처음에 나는 그녀를 만나기를 두려워하였으나,
당신도 알다시피
내가 그녀를 알면 알수록,
수용하고 이해하면 할수록,
나는 그녀를 더욱더 사랑하게 되었다.
그녀는 바로 내 자신이다.
② 부적응적 대인동기
극단적인 대인 동기
- 특정 대인동기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한 경우
- 지나치게 폭 넓은 관계를 추구하는 경우
- 의존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경우
- 친애동기가 지나치게 결핍된 경우
부적절한 대인동기
- 상황에 부적절한 대인동기를 지니는 경우 (선배인데 후배한테 의존하면 안되듯이.)
- 타인의 기대와 어긋나는 동기 : 지나치게 의존동기가 높은 어른
비현실적인 대인동기
- 대인관계 상황에서 실현 불가능한 욕구를 지님으로써 좌절과 불만을 경험:
ex ) 짧은 만남으로 깊이 있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려는 사람
ex ) 새로 가입한 집단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
불균형적 대인동기
- 의존, 친애, 지배, 공격 등과 같은 대인동기를 서로 간의 균형이 중요함.
- 특정 동기에 지나치게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은 부적절함
③ 부적응적 동기의 조절
현실의 대인관계 속에서 좌절된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킨다. (어릴 때 사랑을 못 받았으면 지금이라도 애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면 충족이 됨.)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의식적으로 자각하고 조절
대인동기를 조절하려면
- 자신의 인간관계 방식을 관찰
- 자신의 대인동기를 의식적 자각
- 부적절한 대인동기가 불만족스러운 인간관계의 원인이 되는 것을 이해
- 관찰자 자각을 통해 부적절한 대인동기를 조절하려고 노력
■ 3. 대인신념의 이해
① 대인신념의 특징
대인신념의 정의
- 대인관계와 대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신념
- 과거의 대인관계 경험을 체계화한 기억내용이며
- 현재와 미래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지적인 바탕이 됨. (과거의 경험이 현재와 미래에 영향을 미침)
대인신념의 속성 (잘 안 변함)
- 일시적인 것이 아닌 지속적인 안정된 사고내용, 인간관계관이라고도 이야기 함.
- 새로운 인간관계 상황에 대한 기대와 예측의 근거가 됨 (대인 신념을 가지면 새로운 인간관계에 노출됐을 때 행동을 어떻게 할지 스스로 예측가능)
- 새로운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고 평가하는 근거, 인지도식(schema)이라고 이야기함. 개인이 가진 지적인 틀~
② 대인신념의 영역
(1) 인간관계에 대한 신념
- 인간관계가 얼마나 중요한가?
- 중요시하는 인간관계 영역은 무엇인가? (4가지영역, 가족, 낭만적관계, 사교적친구관계, 직장)
- 이상적 인간관계는 무엇인가?
- 친밀한 인간관계는 어떻게 맺을 수 있나?
(2)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 자기개념(self-concept) - 내가 나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
- 자신에 대한 신념으로 대인관계에 매우 중요한 심리적 요인
- 자기 개념의 구성요소(william james):
물질적 자기 : 외모, 건강, 재산과 같은 물질적 측면
심리적 자기 : 성격, 능력, 적성과 같은 내면적 특성
사회적 자기 : 교우관계, 이성관계, 가족관계, 사회적지위/신분 같은 관계차원
(인간은 인상관리를 중요하게 여김. 남에게 잘보이려고 하는...)
- 다측면적 구조
현실적 자기(real self): 현재의 나의 모습
이상적 자기(ideal self): 이상적으로 되기를 바라는 나의 모습
가능한 자기(possible self): 노력하면 가능한 나의 모습
의무적 자기(ought self): 중요한 타인에 의해 기대되는 나의 모습
->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괴리가 크면 좌절감과 실패감을 경험함
현실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괴리가 크면 불안과 부담감을 경험함
가능한 자기의 역할이 큼. 가능한 자기가 수준이 높으면 자기 효능감이 있는 것. 자기 효능감은 삶에서 상당히 중요한 요소가 됨.
(3) 타인에 대한 신념 : 인간관
- 특정한 타인에 대한 신념 : 의미 있는 타인에 대한 신념의 중요성
- 특정한 집단에 대한 신념 : 성별, 인종, 나이, 출신지역 등의 범주에 따른 평가적 신념
과장되거나 왜곡된 경우에는 편견이 됨 (개인성 인정안함)
- 인간일반에 대한 신념:
인간성에 대한 평가적신념으로 긍정적신념과 부정적신념이 있음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하게 됨 (남에게 호의 많이 받으면 인간들이 호의적이라고 생각)
타인에 대해 부정적이고 피해의식적인 신념은 대인관계 부적응을 초래할 수 있음.
* 피해의식 : ‘사람은 근본적으로 이기적이고 이해타산적이다.’
‘사람들은 잘 변해서 믿을 수 없다.’
[쉬어가기]
상대방의 입자에서 사물을 보라.
다른 사람의 열렬한 욕구를 불러 일으켜라.
성공의 유일한 비결은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고,
당신의 입장과 아울러 상대방의 입장에서
사물을 바라볼 줄 아는 능력이다.
먼저 다른 사람의 마음에 열렬한 욕구를 불러일으켜라.
이것을 할 수
- 진화론적으로 생존적 가치를 지닌 행동이다.
- 각인 (imprinting)
: Lorenz(동물행동학자)에 의해 발견된 현상으로 알에서 부화된 오리가 처음 접하게 되는 대상을 계속해서 따라다니는 선천적인 행동이다. (로렌즈를 엄마라고 생각.)
- Harlow의 애착행동 연구 : 어미로부터 고립된 새끼원숭이에게 두 개의 모조엄마를 제공 (엄마와 아이의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가. 그 당시에 찬장설이 있었음. 생리적 요소를 해소시켜줄 때 유대가 맺어진다고 봤음)
* 모조원숭이1 (철사와 젖병)
* 모조원숭이2 (푹신한 융단) : 젖을 먹을 때 모조원숭이1에게 감
대부분의 시간을 모조원숭이 2에서 보냄
접촉안락감(contact comfort)의 중요성
성숙 후 부적절한 교미행동과 모성행동을 보임
- Bowlby의 애착행동 연구: 시설기관의 아동을 대상으로 모성박탈의 영향을 연구함
* 어미의 반응에 따라 아이는 애착을 형성
* 엄마의 지속적 수용 -> 안정된 애착
* 일관성 없이 수용/거부 -> 불안정/ 양가적 애착
* 일관된 거부 -> 회피적 애착
유아기의 애착관계가 성장 후의 인간관계에 깊은 영향 (어른이 되어서도 큰 영향)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이의 기질
[쉬어가기]
처음에 나는 그녀를 만나기를 두려워하였으나,
당신도 알다시피
내가 그녀를 알면 알수록,
수용하고 이해하면 할수록,
나는 그녀를 더욱더 사랑하게 되었다.
그녀는 바로 내 자신이다.
② 부적응적 대인동기
극단적인 대인 동기
- 특정 대인동기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한 경우
- 지나치게 폭 넓은 관계를 추구하는 경우
- 의존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경우
- 친애동기가 지나치게 결핍된 경우
부적절한 대인동기
- 상황에 부적절한 대인동기를 지니는 경우 (선배인데 후배한테 의존하면 안되듯이.)
- 타인의 기대와 어긋나는 동기 : 지나치게 의존동기가 높은 어른
비현실적인 대인동기
- 대인관계 상황에서 실현 불가능한 욕구를 지님으로써 좌절과 불만을 경험:
ex ) 짧은 만남으로 깊이 있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려는 사람
ex ) 새로 가입한 집단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
불균형적 대인동기
- 의존, 친애, 지배, 공격 등과 같은 대인동기를 서로 간의 균형이 중요함.
- 특정 동기에 지나치게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은 부적절함
③ 부적응적 동기의 조절
현실의 대인관계 속에서 좌절된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킨다. (어릴 때 사랑을 못 받았으면 지금이라도 애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면 충족이 됨.)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의식적으로 자각하고 조절
대인동기를 조절하려면
- 자신의 인간관계 방식을 관찰
- 자신의 대인동기를 의식적 자각
- 부적절한 대인동기가 불만족스러운 인간관계의 원인이 되는 것을 이해
- 관찰자 자각을 통해 부적절한 대인동기를 조절하려고 노력
■ 3. 대인신념의 이해
① 대인신념의 특징
대인신념의 정의
- 대인관계와 대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신념
- 과거의 대인관계 경험을 체계화한 기억내용이며
- 현재와 미래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지적인 바탕이 됨. (과거의 경험이 현재와 미래에 영향을 미침)
대인신념의 속성 (잘 안 변함)
- 일시적인 것이 아닌 지속적인 안정된 사고내용, 인간관계관이라고도 이야기 함.
- 새로운 인간관계 상황에 대한 기대와 예측의 근거가 됨 (대인 신념을 가지면 새로운 인간관계에 노출됐을 때 행동을 어떻게 할지 스스로 예측가능)
- 새로운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고 평가하는 근거, 인지도식(schema)이라고 이야기함. 개인이 가진 지적인 틀~
② 대인신념의 영역
(1) 인간관계에 대한 신념
- 인간관계가 얼마나 중요한가?
- 중요시하는 인간관계 영역은 무엇인가? (4가지영역, 가족, 낭만적관계, 사교적친구관계, 직장)
- 이상적 인간관계는 무엇인가?
- 친밀한 인간관계는 어떻게 맺을 수 있나?
(2)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 자기개념(self-concept) - 내가 나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
- 자신에 대한 신념으로 대인관계에 매우 중요한 심리적 요인
- 자기 개념의 구성요소(william james):
물질적 자기 : 외모, 건강, 재산과 같은 물질적 측면
심리적 자기 : 성격, 능력, 적성과 같은 내면적 특성
사회적 자기 : 교우관계, 이성관계, 가족관계, 사회적지위/신분 같은 관계차원
(인간은 인상관리를 중요하게 여김. 남에게 잘보이려고 하는...)
- 다측면적 구조
현실적 자기(real self): 현재의 나의 모습
이상적 자기(ideal self): 이상적으로 되기를 바라는 나의 모습
가능한 자기(possible self): 노력하면 가능한 나의 모습
의무적 자기(ought self): 중요한 타인에 의해 기대되는 나의 모습
->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괴리가 크면 좌절감과 실패감을 경험함
현실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괴리가 크면 불안과 부담감을 경험함
가능한 자기의 역할이 큼. 가능한 자기가 수준이 높으면 자기 효능감이 있는 것. 자기 효능감은 삶에서 상당히 중요한 요소가 됨.
(3) 타인에 대한 신념 : 인간관
- 특정한 타인에 대한 신념 : 의미 있는 타인에 대한 신념의 중요성
- 특정한 집단에 대한 신념 : 성별, 인종, 나이, 출신지역 등의 범주에 따른 평가적 신념
과장되거나 왜곡된 경우에는 편견이 됨 (개인성 인정안함)
- 인간일반에 대한 신념:
인간성에 대한 평가적신념으로 긍정적신념과 부정적신념이 있음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하게 됨 (남에게 호의 많이 받으면 인간들이 호의적이라고 생각)
타인에 대해 부정적이고 피해의식적인 신념은 대인관계 부적응을 초래할 수 있음.
* 피해의식 : ‘사람은 근본적으로 이기적이고 이해타산적이다.’
‘사람들은 잘 변해서 믿을 수 없다.’
[쉬어가기]
상대방의 입자에서 사물을 보라.
다른 사람의 열렬한 욕구를 불러 일으켜라.
성공의 유일한 비결은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고,
당신의 입장과 아울러 상대방의 입장에서
사물을 바라볼 줄 아는 능력이다.
먼저 다른 사람의 마음에 열렬한 욕구를 불러일으켜라.
이것을 할 수
추천자료
대인관계에 능력에서의 성차 연구
대인관계 능력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자아성장 및 대인관계향상 집단상담 결과보고서
인간관계론 현대사회에서 인간관계의 기술이 중요시 되는 이유에 대해 서술하시오
문제성 도박중독자들의 성적과 대인관계 문제성 조사(대학생을 중심으로)
자기발견과 성공전략-(장점및 단점보완& 사람마다 패러다임이 다른이유& 적극적 경청...
MMTIC의 개요와 MMTIC의 대인관계와 학습지도 방법
동기부여 이론 중 인간관계이론의 개념 및 사회복지 조직관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설명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상행동 - 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 사회적 및 대인관계적 장애.pptx
[청소년 상담의 필요성과 사례] 성상담 & 대인관계 상담 - 청소년 성문제 상담, 성상담, ...
청소년 상담심리 - 청소년 문제 ( 학업 및 진로 문제, 대인관계 문제, 비행 및 일탈, 자아 정...
2017년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적시사점, 가...
교육심리학 2017년-가드너다중지능이론&매슬로우동기위계설] 1. 가드너다중지능이론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