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쇼크의 정의
2.쇼크의 병태생리
3.쇼크의 진단 및 임상증상
(1)보상성 쇼크
(2)비보상성 쇼크
(3)비가역성 쇼크
4.쇼크의 치료
(1)환기 지지
(2)심혈관 지지
5.쇼크의 간호
2.쇼크의 병태생리
3.쇼크의 진단 및 임상증상
(1)보상성 쇼크
(2)비보상성 쇼크
(3)비가역성 쇼크
4.쇼크의 치료
(1)환기 지지
(2)심혈관 지지
5.쇼크의 간호
본문내용
선적인 조치는 충분한 조직의 산소화를 확보하는 것이다. 적절한 방법으로 산소를 퉁하고 삽관과 환기요법을 하는데 도울 준비를 하며, 즉각적인 주의를 요하는 처치와 중재는 정맥선 확보, 체중측정 및 비교기준이 되는 활력징후 측정과 기록, 유치카테터의 유지, 혈중 가스 및 다른 검사, 처방된 약물투여이다.
환기(Ventilation)
ㆍintubation 준비를 해 기도확보를 준비한다.
ㆍ산소마스크를 사용해 100% 농도로 산소를 투여한다.
수액의 공급(Fluid administration)
ㆍ응급시 IV로 약물 및 수액의 공급위해 혈관을 확보한다.
ㆍ처방이 있으면 체액량 회복윌 위해 초기 용적 회복을 위해 5~20분 동안 등장성 crystalloid를 20mL/kg로 투여한다.
심혈관계 지지(Cardiovascular Support)
ㆍ혈압상승제를 투여하며 특히 epinephirine을 정맥으로 투여시 용량은 1:1000 희석액으로 0.01mg/kg=0.1mL/kg로 투여한다.
ㆍ심정지 시, 3~5분마다 다시 투여한다.
일반적인 지지(General Support)
ㆍ지속적으로 심전도 감시
ㆍ산소농도계의 감시
ㆍ아동을 따뜻하고 평온하게 유지
-쇼크의 응급치료방법
환기(Ventilation)
ㆍintubation 준비를 해 기도확보를 준비한다.
ㆍ산소마스크를 사용해 100% 농도로 산소를 투여한다.
수액의 공급(Fluid administration)
ㆍ응급시 IV로 약물 및 수액의 공급위해 혈관을 확보한다.
ㆍ처방이 있으면 체액량 회복윌 위해 초기 용적 회복을 위해 5~20분 동안 등장성 crystalloid를 20mL/kg로 투여한다.
심혈관계 지지(Cardiovascular Support)
ㆍ혈압상승제를 투여하며 특히 epinephirine을 정맥으로 투여시 용량은 1:1000 희석액으로 0.01mg/kg=0.1mL/kg로 투여한다.
ㆍ심정지 시, 3~5분마다 다시 투여한다.
일반적인 지지(General Support)
ㆍ지속적으로 심전도 감시
ㆍ산소농도계의 감시
ㆍ아동을 따뜻하고 평온하게 유지
-쇼크의 응급치료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