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 접합 다이오드
② 순방향/역방향 바이어스
③ 순방향/역방향 전압-전류 특성
④ 다이오드 모델
② 순방향/역방향 바이어스
③ 순방향/역방향 전압-전류 특성
④ 다이오드 모델
본문내용
되며, 이 때 다이오드는 낮은 순방향 저항을 갖는다고 말한다.
반대로 N형쪽에 전지의 양극을, P형쪽에 전지의 음극을 연결하면 역방향 바이어스이다. 전지의 양극은 N형 실리콘의 자유 전자를 끌어당기고, 음극은 P형 실리콘 내의 정공을 끌어당기므로, 접합부에서 자유 전자와 정공의 결합이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다수 캐리어에 의한 전류의 흐름이 없다. 소수 캐리어에 의한 미소 전류만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결과로 다이오드는 높은 역방향 저항을 갖는다.
③ 순방향/역방향 전압-전류 특성
이상적인 다이오드의 경우에 턴-온 전압(turn-on voltage)가 0V로써, 역바이어스에서 완전한 절연체가 되고 순바이어스에서 완전한 도체로 동작한다.
그러나 실제 실리콘 다이오드의 모델에서 순방향 턴-온 전압은 대개 0.7V 정도이다. 인가 전압이 턴-온 전압보다 낮은 범위에서 다이오드 내에 흐르는 전류는 매우 작다. 그러나 0.7V 이상의 순방향 전압을 인가하면 다이오드 내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0.7V 이상에서는 인가 전압이 조금만 높아져도 전류의 증가는 매우 커지게 된다.
다이오드가 역바이어스되었을 때, 소수 캐리어에 의한 미소 전류가 어느 전압까지는 일정하게 흐
반대로 N형쪽에 전지의 양극을, P형쪽에 전지의 음극을 연결하면 역방향 바이어스이다. 전지의 양극은 N형 실리콘의 자유 전자를 끌어당기고, 음극은 P형 실리콘 내의 정공을 끌어당기므로, 접합부에서 자유 전자와 정공의 결합이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다수 캐리어에 의한 전류의 흐름이 없다. 소수 캐리어에 의한 미소 전류만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결과로 다이오드는 높은 역방향 저항을 갖는다.
③ 순방향/역방향 전압-전류 특성
이상적인 다이오드의 경우에 턴-온 전압(turn-on voltage)가 0V로써, 역바이어스에서 완전한 절연체가 되고 순바이어스에서 완전한 도체로 동작한다.
그러나 실제 실리콘 다이오드의 모델에서 순방향 턴-온 전압은 대개 0.7V 정도이다. 인가 전압이 턴-온 전압보다 낮은 범위에서 다이오드 내에 흐르는 전류는 매우 작다. 그러나 0.7V 이상의 순방향 전압을 인가하면 다이오드 내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0.7V 이상에서는 인가 전압이 조금만 높아져도 전류의 증가는 매우 커지게 된다.
다이오드가 역바이어스되었을 때, 소수 캐리어에 의한 미소 전류가 어느 전압까지는 일정하게 흐
추천자료
[공과대]-광소자 실험 레포트
정류회로 정류 전파 반파 브릿지 배전압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OP-amp 실험
다이오드 특성 파악 실험 리포트
기초공학실험 - RC 필터와 정류회로
[물리학 실험] 지너다이오드 특성 실험
다이오드에 관하여 / 트랜지스터에 관하여 / * SCR에 관하여 / IGBT에 관하여 / IGBT에 관하여
프로젝트 결과 보고서(진짜 내가 한거1)
다이오드 특성 실험
[물리학 실험] 3-5 전기저항(옴의 저항, 다이오드 특성)
[전기전자실험] BJT소자
[일반물리학 실험] 전기 저항 (옴의 법칙 및 다이오드 특성)
트랜지스터 (예비보고서)
고정 바이어스 회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