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외한 모든 위구르족의 할거지를 탕구트가 지배하게 되었으며, 12세기 이후 몽골의 정복이 있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과주국 (투르판 위구르)은 840년 오르콘 위구르 제국이 멸망하자 내륙 아시아를 이주해 간 위구르족이 건설한 오아시스국가로 856년 멩리(Mengli)통치시대에 왕국으로 발전되었지만 바르추크 테킨 이디쿠트와의 통치시기에 거란족에 예속되었고, 13세기 초에는 징기스칸의 몽골 제국에 예속되었다가 몽골 제국이 분할되었을 때 카가타이 칸 국에 구획되어 독립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이시기 타림분지 지역에는 불교가 성행하였는데 이 지역에 이슬람교가 전파되려고 하자 불교세력과 마찰과 투쟁이 시작되었다. 11세기 초 이슬람의 자하드정신은 불교와의 세력 다툼에서 우세를 보였고, 신강위구르 전체가 무슬림으로 되었다.
4) 몽골족의 지배와 이슬람
① 차카타이 칸국(1225-1514)
1225년 징기스칸(成吉思汗, 1155? -1227)은 말년에 자신이 정복한 지역을 4아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때 2째인 察合台는 중앙아시아 지역을 분배받았다. 그가 분배받은 지역은 서쪽으로 阿姆河, 동쪽으로 伊犁河유역, 북쪽으로 바이칼호 그리고 남쪽으로는 쿤룬산맥에 까지 이르렀다. 이후 察合台의 이름을 따라 察合台汗國으로 부르게 되었다. 察合台汗國의 기본노선은 도시화나 정착화가 아니어서 도시의 존재가 무용하다고 생각하여 일정한 수도가 없었다. 그러나 주요한 집합 중심지는 伊犁河 부근의 알말릭(伊犁부근의 Quecheng)이었다. 察合台汗國은 察合台가 1242년 사망한 후 몽골제국의 주역을 담당하지 못했으며, 중국(元朝)의 大汗으로부터 자치권을 획득한 것은 오직 10대왕 두아(1282-1307)때 뿐이었다. 두아는 察合台汗國의 재건을 위해 일칸조의 가잔의 개혁에 본받아 개혁을 단행하였으나 그가 의도한 대로 모든 개혁을 완성하지 못하고 죽게되었다. 그의 노력은 그의 후계자들 특히 14대왕 케벡(1318-1326)에 의해 계속 추진되었다. 케벡은 察合台汗國 역사상 처음으로 유목생활보다 정착 도시생활을 좋아하여 사마르칸트와 부하라등의 도시를 재건하였다. 그러나, 유목생활과 전통을 고수하는 일부 몽고인들에 의해 배척을 받게되었다. 케벡을 반대하는 몽고인들은 케벡의 형인 에센부카를 카칸으로 추대하였다. 그래서 케벡은 중아아시아河 지역으로 이동하여 서察合台汗國 즉, 중앙아시아河 중부지역과 아프가니스탄의 북부지역을 통치하게 되었다. 한편 에센부카는 동察合台汗國 - 신장지역과 중아아시아 七河 유역 - 을 통치하게 되었다. 1320년 동察合台汗國의 에센부카가 사망한 후 그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10여년이 넘게 카칸의 자리는 공백상태로 남게되었다. 이 시기ㄸ 몽고의 제부락은 카칸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쟁투를 벌여 마침내 부라지터(布拉吉特)부락이 승리를 하고 伊犁에서 당시 16세의 투헤이루티에무얼을 그들의 본거지인 阿圖什에 데리고와 에센부카의 아들로 공포하고 1346년 그를 카칸으로 세웠다. 그 당시 察合台汗國에서 이슬람교는 가장 큰 종교세력으로 무슬림들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투헤이루티에무얼은 察合台汗國의 통일과 중앙아시아지역의 통치권을 회복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무슬림들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 그래서 그는 1352년 阿圖什에서 당시 중앙아시아에서 수피파의 저명한 傳敎士인 어시딩허띠아오(額西丁和卓)의 인도 하에 이슬람교에 입교하는 의식을 거행하여, 정식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로써 그는 신장을 통치한 몽고의 카칸 중 처음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사람이 되었다. 그 후 그는 샤머니즘을 숭배하는 몽고 대신들로 하여금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하였다. 또한, 각 지역에 傳敎士들을 파견하여 몽고인들로 하여금 이슬람교를 믿도록 강요하였다. 이때 16만의 몽고인들이 무슬림이 되었다. 1360년 그는 察合台汗國의 통일을 위한 군사행동을 개시하여 1361년 서察合台汗國의 도성인 사마마르칸트를 점령하여 察合台汗國의 통일을 이룩하였다. 1363년 그는 병으로 죽어 알말릭에 매장되었다. 그는 察合台汗國을 통일하고 견고한 세력을 구축하기도 전에 죽게되어, 1370년 티무르제국에 의해 사마르칸트를 빼앗기고 통일된 察合台汗國은 다시 분열되었다.
15세기 초, 天山남서부 지구에 사는 畏兀爾인들은 이미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었다. 한편 吐魯番, 哈密등지에는 아직도 불교의 세력이 적지가 않았다. 15세기 후기, 吐魯番은 기본상 이슬람교를 믿게 되었다. 16세기 초, 哈密지역에도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이로부터 전 위구르족들은 이스람교를 신봉하게 되었다.
② 야르칸드 칸국(1514-1678)
③ 서몽골의 군주 갈단 치하(1680-1750)
단순 유목국가이던 몽골이 제국체제로 전환될 때, 질적양적으로 우세한 한족을 지배하기 위해 몽골은 위구르인들을 대거 등용하였다. 20세기 초까지 위구르인들 사이에는 ‘호자’라고 불리우는 특수 집단이 있었는데, 이들은 이슬람권의 종교적 귀족으로 무함마드의 후손으로 기적을 행한다고 했다. 이들은 신비주의 교단(수니파)를 형성했고 종교적 권위를 바탕으로 세속적인 권력도 강화했다. 이들 집안에서 ‘백산당’과‘흑산당’이라는 두 파가 갈라져서 권력 다툼을 했는데, 백산당의 아팍 호자가 외세를 이용하여 흑산당을 물리치고자 했었기에 이것으로 인한 위구르인들의 독립이 더욱 약화되고 말았다.
5) 만주족의 지배와 이슬람
1750년 서몽골 국가를 무너뜨리고 청나라는 그 여세를 몰아 위구르인들이 살던 천산 남쪽도 자기들의 지배하에 두려고 했다. 호자들은 독자적인 정권을 세우길 희망하였고 반청 투쟁을 주도하다가 1759년 청군에 잡혀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위구르인들의 저항은 계속되었고 19세기 중만 청조 자체가 혼란에 빠지면서 신강지배는 더욱 힘들어지기 시작했다. 1864년 대대적인 반란이 이어졌고 청나라는 신강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각지에서는 일관성 없이 일어났으나 이들 정권에서 지도자로 추대된 사람들이 모두 종교인이었는데, 당시 위구르인들에게 종교인의 영향력이 얼마나 컸는지 알 수 있다.
6) 한족의 지배와 이슬람
1911년 신해혁명의 발발 이후에도 신장은 청조의 관리였던 양
과주국 (투르판 위구르)은 840년 오르콘 위구르 제국이 멸망하자 내륙 아시아를 이주해 간 위구르족이 건설한 오아시스국가로 856년 멩리(Mengli)통치시대에 왕국으로 발전되었지만 바르추크 테킨 이디쿠트와의 통치시기에 거란족에 예속되었고, 13세기 초에는 징기스칸의 몽골 제국에 예속되었다가 몽골 제국이 분할되었을 때 카가타이 칸 국에 구획되어 독립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이시기 타림분지 지역에는 불교가 성행하였는데 이 지역에 이슬람교가 전파되려고 하자 불교세력과 마찰과 투쟁이 시작되었다. 11세기 초 이슬람의 자하드정신은 불교와의 세력 다툼에서 우세를 보였고, 신강위구르 전체가 무슬림으로 되었다.
4) 몽골족의 지배와 이슬람
① 차카타이 칸국(1225-1514)
1225년 징기스칸(成吉思汗, 1155? -1227)은 말년에 자신이 정복한 지역을 4아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때 2째인 察合台는 중앙아시아 지역을 분배받았다. 그가 분배받은 지역은 서쪽으로 阿姆河, 동쪽으로 伊犁河유역, 북쪽으로 바이칼호 그리고 남쪽으로는 쿤룬산맥에 까지 이르렀다. 이후 察合台의 이름을 따라 察合台汗國으로 부르게 되었다. 察合台汗國의 기본노선은 도시화나 정착화가 아니어서 도시의 존재가 무용하다고 생각하여 일정한 수도가 없었다. 그러나 주요한 집합 중심지는 伊犁河 부근의 알말릭(伊犁부근의 Quecheng)이었다. 察合台汗國은 察合台가 1242년 사망한 후 몽골제국의 주역을 담당하지 못했으며, 중국(元朝)의 大汗으로부터 자치권을 획득한 것은 오직 10대왕 두아(1282-1307)때 뿐이었다. 두아는 察合台汗國의 재건을 위해 일칸조의 가잔의 개혁에 본받아 개혁을 단행하였으나 그가 의도한 대로 모든 개혁을 완성하지 못하고 죽게되었다. 그의 노력은 그의 후계자들 특히 14대왕 케벡(1318-1326)에 의해 계속 추진되었다. 케벡은 察合台汗國 역사상 처음으로 유목생활보다 정착 도시생활을 좋아하여 사마르칸트와 부하라등의 도시를 재건하였다. 그러나, 유목생활과 전통을 고수하는 일부 몽고인들에 의해 배척을 받게되었다. 케벡을 반대하는 몽고인들은 케벡의 형인 에센부카를 카칸으로 추대하였다. 그래서 케벡은 중아아시아河 지역으로 이동하여 서察合台汗國 즉, 중앙아시아河 중부지역과 아프가니스탄의 북부지역을 통치하게 되었다. 한편 에센부카는 동察合台汗國 - 신장지역과 중아아시아 七河 유역 - 을 통치하게 되었다. 1320년 동察合台汗國의 에센부카가 사망한 후 그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10여년이 넘게 카칸의 자리는 공백상태로 남게되었다. 이 시기ㄸ 몽고의 제부락은 카칸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쟁투를 벌여 마침내 부라지터(布拉吉特)부락이 승리를 하고 伊犁에서 당시 16세의 투헤이루티에무얼을 그들의 본거지인 阿圖什에 데리고와 에센부카의 아들로 공포하고 1346년 그를 카칸으로 세웠다. 그 당시 察合台汗國에서 이슬람교는 가장 큰 종교세력으로 무슬림들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투헤이루티에무얼은 察合台汗國의 통일과 중앙아시아지역의 통치권을 회복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무슬림들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 그래서 그는 1352년 阿圖什에서 당시 중앙아시아에서 수피파의 저명한 傳敎士인 어시딩허띠아오(額西丁和卓)의 인도 하에 이슬람교에 입교하는 의식을 거행하여, 정식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로써 그는 신장을 통치한 몽고의 카칸 중 처음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사람이 되었다. 그 후 그는 샤머니즘을 숭배하는 몽고 대신들로 하여금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하였다. 또한, 각 지역에 傳敎士들을 파견하여 몽고인들로 하여금 이슬람교를 믿도록 강요하였다. 이때 16만의 몽고인들이 무슬림이 되었다. 1360년 그는 察合台汗國의 통일을 위한 군사행동을 개시하여 1361년 서察合台汗國의 도성인 사마마르칸트를 점령하여 察合台汗國의 통일을 이룩하였다. 1363년 그는 병으로 죽어 알말릭에 매장되었다. 그는 察合台汗國을 통일하고 견고한 세력을 구축하기도 전에 죽게되어, 1370년 티무르제국에 의해 사마르칸트를 빼앗기고 통일된 察合台汗國은 다시 분열되었다.
15세기 초, 天山남서부 지구에 사는 畏兀爾인들은 이미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었다. 한편 吐魯番, 哈密등지에는 아직도 불교의 세력이 적지가 않았다. 15세기 후기, 吐魯番은 기본상 이슬람교를 믿게 되었다. 16세기 초, 哈密지역에도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이로부터 전 위구르족들은 이스람교를 신봉하게 되었다.
② 야르칸드 칸국(1514-1678)
③ 서몽골의 군주 갈단 치하(1680-1750)
단순 유목국가이던 몽골이 제국체제로 전환될 때, 질적양적으로 우세한 한족을 지배하기 위해 몽골은 위구르인들을 대거 등용하였다. 20세기 초까지 위구르인들 사이에는 ‘호자’라고 불리우는 특수 집단이 있었는데, 이들은 이슬람권의 종교적 귀족으로 무함마드의 후손으로 기적을 행한다고 했다. 이들은 신비주의 교단(수니파)를 형성했고 종교적 권위를 바탕으로 세속적인 권력도 강화했다. 이들 집안에서 ‘백산당’과‘흑산당’이라는 두 파가 갈라져서 권력 다툼을 했는데, 백산당의 아팍 호자가 외세를 이용하여 흑산당을 물리치고자 했었기에 이것으로 인한 위구르인들의 독립이 더욱 약화되고 말았다.
5) 만주족의 지배와 이슬람
1750년 서몽골 국가를 무너뜨리고 청나라는 그 여세를 몰아 위구르인들이 살던 천산 남쪽도 자기들의 지배하에 두려고 했다. 호자들은 독자적인 정권을 세우길 희망하였고 반청 투쟁을 주도하다가 1759년 청군에 잡혀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위구르인들의 저항은 계속되었고 19세기 중만 청조 자체가 혼란에 빠지면서 신강지배는 더욱 힘들어지기 시작했다. 1864년 대대적인 반란이 이어졌고 청나라는 신강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각지에서는 일관성 없이 일어났으나 이들 정권에서 지도자로 추대된 사람들이 모두 종교인이었는데, 당시 위구르인들에게 종교인의 영향력이 얼마나 컸는지 알 수 있다.
6) 한족의 지배와 이슬람
1911년 신해혁명의 발발 이후에도 신장은 청조의 관리였던 양
추천자료
[중국 경제] 중국 IT 산업의 부상과 한국의 대응
중국의 무역관리체제 개혁과 무역의 신장
중국의 대외 무역 신장과 현황
중국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그 신장방안
(중국 사회문제) 중국 노동자의 실태와 문제점 및 특징에 대한 중국 당국의 해결방안과 고찰
[고등학교중국어교육][고등학교][중국어교육]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과목, 고등학교 중국어교...
[중국][명청사회][명청시대]중국 명청사회(명청시대)의 성립, 중국 명청사회(명청시대)의 발...
[중국어교육][중국문화교육]중국어교육(중국문화교육)의 특성, 중국어교육(중국문화교육)의 ...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성공할것인가? 실패할 것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