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만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만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채만식 탐구의 의의
촌철살인의 풍자로
탁류시대를 고발한
채 만 식

2. 연구사적 개관

Ⅱ. 본론
1. 채만식 살펴보기
1.1 연보
1.2 작가적 배경
1.3 시기별 작품 경향

2. 작가의 사회ㆍ역사의식과 지향점
2.1 자율적 개인과 근대사회
2.2 식민지 경제정책과 농촌사회
2.3 사회 계급과 지식인
2.4 근대사회의 병폐 속 개인의 대응방식
2.5 굴복에의 길 - 그 논리의 허와 실

3. 채만식 문학의 표현적 특성 - 풍자
3.1 판소리 패러디+說話體(설화체)
3.2 구어, 속어, 방언 등 일상어의 적극적 활용

Ⅲ. 결론

본문내용

사랑사랑하고 사랑한 것이 정말 이해가 있고 인격을 존중하는 진실한 사랑이 아니라 노리갯감-가지고 놀고 장난하는 인형을 사랑하는 그러한 마음으로 사랑을 한 것이라는 것을 감연히 깨달은 것이다.
따라서 노라 자신은 현이라는 사람이 좋아하고 비위에 맞는 재간을 부리며 그 덕으로 목구멍 하나를 얻어먹고 살아온 완롱물로밖에는 여겨지지 아니하였다. 한국문학전집 9권, 『탁류ㆍ태평천하ㆍ기타』(민중서관, 1958), 황국명, 채만식 소설연구(서울: 태학사, 1998, 초판), 28면에서 재인용
성적 완롱물에 불과한 여성의 지위란 남성우위에서 결과하는 사회적 병폐일 것이다. 남편 현석준과 자식에 대한 강요된 “신성한 의무”는, 금욕적 헌신을 이상화함으로써 여성이 ‘신성’함 아래 끝없는 희생과 복종을 요구받게 하여, 가정은 여성에 대한 억압적 질서로 변질된다. 따라서 ‘인형의 집’을 거부하는 행위는 여성의 자아를 속박하고 여성을 가정 내의 수동적인 역할에 예속시키는 사회제도와 그 권위에 대한 대항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노라의 가출로 여성 개인의 삶이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가정을 거부하는 결정은 그녀에게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는데, 그중 가장 심각한 것이 생계를 해결하는 일이다. 생계에 대한 위협은 마침내 그녀를 카페여급이 되도록 강요하고, 이로써 그녀는 자신이 추구해 온 여성의 해방과 자유에 환멸을 느끼기에 이른다. 왜냐하면 그녀가 겪은 바, 그 자유는 “노예가 되는 자유”, 즉 “돈에 몸을 파는 자유”(167면)에 불과한 까닭이다. 이상의 맥락에서 볼 때, 채만식은 경제적 자립을 이룰 수 없는 여성에게 정신적 해방이란 공허한 관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며, 노라가 경제적 자립을 위해 제본공이 되는 결말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노동을 통한 경제적 자립은 채만식이 주장한 여성해방의 변증법적 과정에서 중요한 매개항이 된다. 이 대안은 공장 지배인이 된 남편에게 싸움은 지금부터라고 선언하게 함으로써 노라의 새로운 삶과 행동까지 암시한다.
……내가 당신의 가정에서 당신 한 사람의 노예질을 싫다고 벗어져 나왔다가……인제 다시 또 당신에게 매인 몸이 되었소. 그걸 보고 당신은 승리나 헌 듯이 통쾌하게 여기겠지만, 그러나 당신허구 나허구 싸움은 인제부터요. 내가 아직은 잘 알지 못허우만은 이 세상은 (…중략…) 싸움이러구 헙디다. 아마 그게 옳은 말인가 싶소. 그러니 지금부터 정말로 우리 싸워봅시다.(297면)
그러나 단 며칠의 견문으로 “노동은 신성”(293면)하다고 말하는 것은 오히려 노동자의 세계와 소위 신여성인 그녀 사이의 극복하기 어려운 간극을 드러낸다. 따라서 노동이 신성하다는 그녀의 인식이 자본과 노동이라는 생산의 사회적 관계에 근거한다고 볼 수 없다. 이 마지막 결구에서 노라가 선언한 싸움은 부르조아지(Bourgeois)를 전복시키려는 것이 아닌, 남성우월적 가부장제가 강요한 주관적 예속을 돌파하려는 것 자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부르조아와의 계급투쟁 선언 자체는 작품 내에 아무런 구조적 근거도 없는 암시적 장치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있다.
2.2 식민지 경제정책과 농촌사회 김홍기, 채만식 연구(서울: 국학자료원, 2001, 초판), 91~93면/pp.91~93.
웹사이트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1&dir_id=110101&eid=DJQpHGJNVZ5yXtn3W4WZitvcy+t9ALqc&qb=MTkzMLPitOsgvcO067vzyLI= (네이버 지식iN)
김봉군이용남한상무 공저, 한국현대작가론(서울: 민지사, 2007, 증보 3판), 585~586면
정홍섭, 채만식 문학과 풍자의 정신(전자책: 역락, 2005)
김재석, 현실인식과 실험정신, 3면/p.3.
유화수, 채만식의 소설 연구(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대학원, 1987), 5~13면/pp.5~13.
1930년대 자작농창정 등을 포함한 일제의 경제 정책들로 인해 식민지 지주제가 강화되고 자본제가 확대됨으로써 농민들의 몰락은 점차 필연적인 것으로 되었다. 이러한 농민들의 몰락을 더욱 부추긴 것은 일제와 영합하는 지주계층, 물욕에 전전긍긍하는 신흥자본가들의 득세였다. 중·소 지주들이 몰락함으로써 농민 계급이 대지주와 소작농민으로 양극화되었고, 이농자들의 증가와 함께 도시 노동자 계층의 수가 급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노동자들도 전시 인플레이션하의 물가폭등으로 인해 임금이 폭락하고 장시간 노동과 값싼 임금, 일용노동제 등으로 최소한의 생계마저 유지하기 어려운 비참한 현실을 겪어야만 했다.
채만식은 이런 암울한 시대상황에서 농민들의 생활을 제재로 한 작품을 활발히 발표하였다. 그는 「암소를 팔아서」(1930), 「쑥국새」(1938), 「두 순정」(1938), 「정자나무 있는 삽화」(1938) 등 일련의 작품에서 농촌 젊은이들의 본능적 애정이나 치정 혹은 풍속을 보여 주고 있기도 한다. 그리고 30년대 전반 농촌 문제를 다룬 작품중 소작 쟁의나 동맹파업을 다룬 경향적 작품은 「밥」(1930), 「농촌스켓치」(1930), 「산동이」(1930), 「부촌」(1932), 「두부」(1931), 「감독의 안해」(1932), 「팔려간 몸」(1933) 등 소수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빈민의 궁핍한 현실과 몰락상에 초점을 두고 있다. 작가의 여러 작품 속에서는 농촌문제의 해결은 “이데올로기의 적극적인 주입”일 수도 없고, 또 주입한다 해서 즉각적인 성과를 거둘 수도 없다는 생각이 나타나 있는데, 단편소설「농민의 회계보고」(1932)에서도 그러한 생각이 보인다.
농민의 회계보고 줄거리>>
서술의 주인공인 ‘나’는 유학차 서울에 올라와서 사회주의 활동의 대가로 옥살이를 치르고 나와 중학도 중도에서 그만두어 버리고 인쇄소직공이 되어 있다. 고향친구이자 건실한 농군인 병문이 아버지가 진 빚 때문에 중농에서 소작농으로 전락하고, 일자리를 얻고자 무작정 상경하였으나 결국 지게꾼이 되고 만다.
일자리를 얻고자 무작정 상경하여 ‘나’는 찾아왔으나 힘없는 인쇄 직공인 ‘나’는 병문을 도울 길이 전혀 없다. ‘나’는 지난 10년에 걸친 병문의 몰락과정을 듣고는 다음 질문을 던진다.
“그래 논은 금년에 떼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10.13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