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2.1 고찰 할 주제
2.2 문자의 길이
2.3 띄어쓰기
2.4 음가 첨가
2.5 비속어 사용
2.6 이모티콘 사용
2.7 특이한 맞춤법 오용
2.8 유행어
III.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2.1 고찰 할 주제
2.2 문자의 길이
2.3 띄어쓰기
2.4 음가 첨가
2.5 비속어 사용
2.6 이모티콘 사용
2.7 특이한 맞춤법 오용
2.8 유행어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2.8 유행어
유행어의 사용은 여학생의 문자에서 상당수 찾을 수 있었는데 주로 방언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웃찾사’ 라는 개그 프로그램에서 인기있는 유행어 중 ‘우리 셋만 되는겨’라는 유행어가 있는데 여학생의 문자에서 ‘집에 온겨, 같이 가는겨’ 라는 문장이 있었고 그외 ‘몰라유, 문자혀, 아들(애들), 핵교’ 등 방언이 사용된 문자가 있다. 남학생의 문자에서는 ‘켓아’ 라는 인터넷 채팅 유행어가 있었다. 이처럼 남학생은 여학생처럼 매스컴에서 유행하는 언어가 아닌 인터넷상에서 유행하는 언어를 찾을 수 있었고 ‘애파, 랩, 쩔해주다, 카트라이더’ 등 온라인 게임에서 유행하는 언어가 많았다고 한다
Ⅲ. 결론
이와 같이 7개의 항목으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휴대폰 문자 메시지를 조사해본 결과 첫 번째 가설 ‘성별에 따라 휴대폰 문자를 보낼 때 사용하는 언어에 차이점이 있을 것이다.’ 는 타당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러나 두 번째 가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비 표준형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할 것이다.’ 는 성립될 수 없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남자와 여자는 분명 육체적, 정신적으로 차이점이 많기 때문에 문자 상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차이가 생기는 결과는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비 표준형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결과는 조금은 의외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특히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비속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것은 적잖이 놀라운 사실이었다. 물론 남학생들이 비속어가 사용된 문자를 거의 제외하는 식으로 조사에 참여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 더 폭넓게 현장조사를 한다면 결과가 바뀔 수도 있지만 어쨌든 여학생들도 적잖이 비속어를 구사한다는 것만큼은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생각된다.
청소년들이 인터넷 채팅, 휴대폰 문자 등 통신언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잘못된 언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그러나 이번 조사를 하면서 학생들이 실제로 맞춤법을 제대로 모르기 때문에 잘못된 단어를 표기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 대화에서 의식적으로 표준어를 사용하려고 노력하는 경우가 거의 없듯이 학생들 또한 통신언어를 일상 대화에서 말하듯이 편하게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을 표현하기 위해서 표준어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시간이 지나 표준어가 자신의 목소리를 대신하기에 더 편하게 느껴지게 될 때 청소년들은 자연스럽게 표준어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통신언어 또한 청소년 특유의 문화로 인정하고 욕설과 같은 언어폭력에 대한 인식만 바로잡아 준다면 청소년의 언어생활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1) jonee.egloos.com ,해방촌길
2) 보라난초 http://blog.daum.net/jk6123/15643164 ,폰문자 이모티콘 ,2008.10.07
3) http://cafe.naver.com/sdw9.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4
,요즘 쓰는 이모티콘 ,2007.02.09
2.8 유행어
유행어의 사용은 여학생의 문자에서 상당수 찾을 수 있었는데 주로 방언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웃찾사’ 라는 개그 프로그램에서 인기있는 유행어 중 ‘우리 셋만 되는겨’라는 유행어가 있는데 여학생의 문자에서 ‘집에 온겨, 같이 가는겨’ 라는 문장이 있었고 그외 ‘몰라유, 문자혀, 아들(애들), 핵교’ 등 방언이 사용된 문자가 있다. 남학생의 문자에서는 ‘켓아’ 라는 인터넷 채팅 유행어가 있었다. 이처럼 남학생은 여학생처럼 매스컴에서 유행하는 언어가 아닌 인터넷상에서 유행하는 언어를 찾을 수 있었고 ‘애파, 랩, 쩔해주다, 카트라이더’ 등 온라인 게임에서 유행하는 언어가 많았다고 한다
Ⅲ. 결론
이와 같이 7개의 항목으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휴대폰 문자 메시지를 조사해본 결과 첫 번째 가설 ‘성별에 따라 휴대폰 문자를 보낼 때 사용하는 언어에 차이점이 있을 것이다.’ 는 타당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러나 두 번째 가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비 표준형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할 것이다.’ 는 성립될 수 없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남자와 여자는 분명 육체적, 정신적으로 차이점이 많기 때문에 문자 상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차이가 생기는 결과는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비 표준형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결과는 조금은 의외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특히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비속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것은 적잖이 놀라운 사실이었다. 물론 남학생들이 비속어가 사용된 문자를 거의 제외하는 식으로 조사에 참여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 더 폭넓게 현장조사를 한다면 결과가 바뀔 수도 있지만 어쨌든 여학생들도 적잖이 비속어를 구사한다는 것만큼은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생각된다.
청소년들이 인터넷 채팅, 휴대폰 문자 등 통신언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잘못된 언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그러나 이번 조사를 하면서 학생들이 실제로 맞춤법을 제대로 모르기 때문에 잘못된 단어를 표기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 대화에서 의식적으로 표준어를 사용하려고 노력하는 경우가 거의 없듯이 학생들 또한 통신언어를 일상 대화에서 말하듯이 편하게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을 표현하기 위해서 표준어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시간이 지나 표준어가 자신의 목소리를 대신하기에 더 편하게 느껴지게 될 때 청소년들은 자연스럽게 표준어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통신언어 또한 청소년 특유의 문화로 인정하고 욕설과 같은 언어폭력에 대한 인식만 바로잡아 준다면 청소년의 언어생활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1) jonee.egloos.com ,해방촌길
2) 보라난초 http://blog.daum.net/jk6123/15643164 ,폰문자 이모티콘 ,2008.10.07
3) http://cafe.naver.com/sdw9.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4
,요즘 쓰는 이모티콘 ,2007.02.09
추천자료
언어와 언어학(Timenon어에 대해)
[언어학개론]언어의 산출과 대화
C언어를 이용해 문자열을 역(문자의 순서를 반대로)으로 출력하는 프로그램
C언어를 이용해 두 문자의 크기를 비교하는 프로그램
C언어를 이용해 문자열을 추출하는 프로그램
국어의 변화와 한글표기 규정의 변화에 관한 고찰
방송언어의 특성과 장단점
말하기지도(말하기교육) 유형과 목표, 말하기지도(말하기교육) 원리, 말하기지도(말하기교육)...
말하기와 쓰기의 관계
말하기와 쓰기의 관계
한국과중국의 언어와문자문화
[미디어교육론]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서술
영화 <향수 (Perfume : The Story Of A Murderer)>의 영상언어와 문체언어
(언어의이해 B) 세계의 주요 문자에 간략히 기술하시오 - 1학년B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