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심리학이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심리학자들이 성격을 연구하는 이유

2. 성격의 정의

3. 좋은 성격이론은 어떤 이론인가?
3-1. structure
3-2. Process
3-3. Growth and Development

4. Psychopathology에 대한 견해

5. 성격이론의 주요 issues

6. 성격이론의 평가(기준들)

7. 성격심리학과 사회심리학

본문내용

rsimony(simplicity); 여러 현상들을 economical, internally consistent way로 설명 할 수 있어야 한다.
(행동의 여러 측면에 각기 다른 개념을 사용하거나, 사용된 개념들이 서로 상충되는 이 론 → poor theory)
→ 이론이 보다 포괄적이고, 경제적이면 → abstract해 진다.
3) research relevance; 경험적으로 확증될 수 있는 많은 새로운 가설들을 이끌어 내어야 한다.
현상들간의 관계에 대한 testable hypotheses를 포함해야 한다.
negative test(어떤 이론이나 가설을 부정할 수 있는 검증)가 불가능한 이론은 나쁜 이론
7. 성격심리학과 사회심리학
Allport(1937)가 자신의 책『Personality: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에서 성격심리학을 사회심리학으로부터 분리시켜 독자적인 학문 영역으로 정립하려 시도한 이후, 둘은 각각 사회적 행동의 개인변인(person variables)과 상황변인(situational variables)을 강조하는 영역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Mischel(1968)이 전통적인 성격이론인 특성이론과 정신역동이론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사회적 행동의 대부분을 개인이 처한 사회적 맥락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최근 들어 사회적 행동의 결정요인으로 개인(person)대 상황(situation)의 오랜 논쟁은 중지되었고, 많은 이론가들이 성격심리학과 사회심리학의 관심사, 개념, 원리, 및 패러다임을 통합시켜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Strauman과 Higgins(1987)는 성격심리학의 전통적인 주제인 자아(self)를 "타인의 자신에 대한 견해와 자신의 자신에 대한 견해"로 정의하여 이런 self의 차이가 죄의식이나 무력감과 같은 측면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성격심리학의 주제가 사회심리학의 주제(일종의 social cognition)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아직 개인 대 상황의 논쟁이 일부 남아 있긴 하지만, 사회심리학자들이 대인간 상호작용 형태에서 "개인차" 변인이 중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고, 성격심리학자들이 개인 외부에 존재하는 "환경"이 그 개인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강력한 효과를 주목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심리학과 성격심리학은 점차 통합되어 가고 있다. 다시 말해, 성격심리학은 사회심리학의 개인차 분야로 흡수되고 있다.
  • 가격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5.04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98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