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법 (국제십진분류법, 콜론 분류법, 미국의회도서관 분류, 서지분류법)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류법 (국제십진분류법, 콜론 분류법, 미국의회도서관 분류, 서지분류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국제십진분류법 (UDC :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1.1 역사
1.2 구성
1.2.1 주분류표
1.2.2 보조분류표
1.2.3 조합기호
1.3 평가

2. 콜론 분류법 (CC : Colon Classification)
2.1 역사
2.2 구성과 사용법(7판 기준)
2.2.1 주분류표
2.2.2 기본적 범주
2.2.3 보조구분표
2.2.4 사용법
2.2.5 상(相)관계
2.2.6 조기성
2.2.7 색인
2.3. 특징 및 평가

3. 미국의회도서관 분류법 (LCC :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3.1 역사
3.2 구성과 사용법
3.2.1 주류구성
3.2.2 보조표
3.2.3 색인
3.2.4 기호법과 카터(Cutter)기호법
3.2.5 조기성
3.3 특징 및 평가
3.3.1 장 점
3.3.2 단점

4. 서지분류법 (BC : Bibliographic Classification)
4.1 역사
4.2 구성과 사용법
4.2.1 주류의 구성
4.2.2 보조표
4.2.3 기호법
4.3 특징 및 평가
4.3.1 장점
4.3.2 단점

본문내용

, 추가와 변경에 관한 내용 등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3.2.2 보조표
LCC에서는 다른 열거식 분류표에서와 같이 전 주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형식구분이나 지리구분과 같은 조기성 보조표를 구비하고 있지는 않다. 대신 자료의 양에 따라서 각 주제 아래에 필요한 항목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표가 방대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표의 마지막에 보조표를 제시하고 있는 것도 있다.
1) 공통구분
LCC의 각 강목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 주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칙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전개한다.
① General form division : Periodicals, Socieries, Collections, Dicrionaries, Yearbooks, Documents, etc.
② Theory, Philosophy
③ History
④ Treatises, General works
⑤ Law, Regulation, State Relations
⑥ Study and teaching
⑦ special subjects and subdivisions of subjects progressing from the more general to specific and as far as possible in logical order
2) 지리구분
LCC에서는 주제에 따라 표 중에서 지리구분을 열거하는 방법,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은 표 중에서 열거하고 나머지는 알파벳 문자와 숫자를 사용한 보조표(Table of countries in one alphabet)상의 지역 기호를 사용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지역구분을 위한 이 보조표는 “by region and country, A-Z\" 등의 지시가 있는 곳에서 해당 주제의 지리구분을 위하여 사용된다.
3.2.3 색인
LCC의 분책들은 각각 독립된 색인을 갖고 있으며 분류표 전체으 종합색인은 작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LC 주제명표목표의 많은 표목들에는 LCC의 분류기호가 부여되어 있어 LCC의 종합색인으로서의 기능을 일부 담당할 수 있다.
3.2.4 기호법과 카터(Cutter)기호법
LCC는 문자와 아라비아 숫자의 혼합기호법을 채택하고 있다. 주류는 1문자로, 예를 들면 Q(Science)와 같이 표시된다. 그런다음 두 문자나 세 문자로 하위류를 나타내게 되는데, 예를 들면 QD(Chemistry), DJK(Eastern Europe), KFF(Law of Florida)와 같다. 처음로 작성된 류들인 E, F, Z는 하위류로 세분되지 않은 채 한문자만이 사용되고 있다.
알파벳 두 문자나 세 문자로 표현된 하위류의 세목은 1~9999(정수)의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되며, 가능한 범위 내에서 소수에 의한 전개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더 세분할 필요가 있으면 Cutter기호(대문자 1자와 십진숫자의 조합)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LCC의 기호법은 다른 분류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호법과 비교하여, 몇 가지 이유로 인하여 훨씬 더 큰 수용력을 갖게 된다. 다른 분류표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전개는 공기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 방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다른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우선 LCC의 기호법은 계층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동위주제나 상위주제에 대해서도 소수에 의한 전개를 사용할 수 있다.
TX724 → Jewish cookbooks
TX725 → other cookbooks
예와 같이 두 범주(주제)의 중간에 위치하는 Oriental cookbooks를 나타내는 기호가 필요해 졌을 때에는 TX724.5를 부여하였다. 기호법이 계층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TX724.5가 부여된 주제는 TX724로 표시되어 있는 주제의 세목이 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한 가지 방법은 소수를 통해 전개된 것을 더 세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아라비아 숫자의 아래에 하위주제를 알파벳순으로 배열하는 것을 들 수 있다.
TX723.5A3-Z other European cookbooks 국별 구분으로 A-Z 사용
예와 같은 경우 Cutter기호. A3-Z는 지리구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류기호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Cutter기호를 주제성(논제성)Cutter기호라고 한다.
Cutter table은 원래 LCC에 적용하는 저자기호표이었으나 LCC 내에서의 주제세분 혹은 분류기호 확장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카터표를 적용하도록 지시된 사항들이 본표내에서 주제별 분책의 하나인 Special subject and subdivision의 형식으로, 특정주제를 더욱 세분하는 수단으로 흔히 나타나는데 지리구분, 문학작품구분, 철학문헌구분, 기타 사물구분 등을 위해서 by country, A-Z, Individuals, A-Z 등의 지시형식을 취한다.
3.2.5 조기성
LCC는 전시스템에 걸쳐 적용되는 형태, 지리적 하위구분, 그밖의 하위구분을 나타내는 같은 기호법의 부호의 사용을 만드는 다른 시스템에서 발견되어지는 기호와 부호가 부족하다. 한정된 양의 기억형 코드는 분류A에서 사용되어지는데 하위분류의 두 번째 문자는 예를들어 장서를 나타내는 AC, 백과사전을 나태내는AE, 협회를 나타내는 AS와 같이 다루어진 주제의 이름으로부터 취해진다.
3.3 특징 및 평가
LCC의 주료는 EC를 참고하였으나 그 전개와 세분은 LC의 장서구성상의 특성과 편이성을 고려한 것으로, 근본적으로는 LC를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분류표의 상세상이나 방대함, 그리고 주제별 분책으로 간행되는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세계의 많은 도서관들이 이 분류법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LC의 MARK데이터가 배포되므로서 여기에 수록된 LCC 분류기호를 그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LCC를 채택하는 도서관이 늘고 있다.
이 분류법의 장단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3.1 장 점
1) 비십진식 분류법이어서 구분력이 우수하고 새로운 주제의 삽입이 가능하여 포용력이 있 다.
2) 분책으로 간행되며 각 주제는 전문가들에 의하여 전개되고 개정되므로 정확하고 비교적 최신성 유지가 용이하다.
3) 독립된 조기성 보조표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고 기호의 합성이 거의 없기
  • 가격5,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1.10.28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