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계층구조에서 고위층과 생활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계층구조에서 고위층과 생활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주제설명


<본론>

계층구조

계층구조가 생기게 된 배경
고위층의 직업

고위층의 거주

고위층의 소비

고위층의 여가


<결말>

고위층을 통해 본 북한

본문내용

한의 계층구조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분류체계이다. 여기서 성분이란? “사회 계급적 관계에 의하여 규정되는 사람들의 사회적 구분, 곧 사람들의 출신과 직업, 사회생활의 경위로 사회구성원을 나눈 것으로, 북한의 전주민은 핵심군중, 기본군중, 복잡군중 등 3계층으로 구분된다.
우선 상류층을 대변하는 핵심군중은 북한체제를 이끌어 나가는 통치계급이면서 북한사회의 핵심부류에 속하는 계층이다. 핵심군중은 다시 김정일의 가계와 친인척, 혁명가 가족 등 특수계층과 전사자-피살자 가족등 일반 핵심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수계층은 북한의 최상층 간부와 혁명가 유가족 및 대남공작원, “남조선 혁명가”유가족 및 자녀들을 포함한다. 일반 핵심계층은 한국전쟁 당시 피살자, 학살자 및 전사자 가족이 중심을 이루며 고농, 영예군인, 비서국비준 순국가족 등의 일부가 포함된다.
중류층인 기본군증은 특수계층에 속하지 않는 일반노동자, 농민, 사무원 및 그 가족 등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하류층인 복잡군중은 소위 불순분자, 반동분자로 낙인찍힌 자들로서 사회로부터 소외된 계층이다.
성분에 따른 북한의 차별적인 계급정책은 이데올로기적 지향과 역사적 배경에 의해 형성, 발전되어 온 것으로 북한사회를 지탱해 가는 가장 핵심적인 사회통제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하 사회계층구조는 정치목표와 정책노선이 바뀌지 않는 한 산업화와 경제사회발전 등의 변화가 일어난다거 하더라도 변화될 가능성은 극히 제한되어 있다. 또한 북한은 신분과 직위에 따라 주택분배, 식량배극, 문화생활 = 등 중요한 생활설비에 관련된 것들이 국가의 행정적 재분배에 의해 할당되기 때문에 소폭임에도 불구하고 소득수준의 차이는 큰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계층구조가 생기게 된 배경
1958.12-1960.12
중앙당집중지도사업
1966.4-1967.3
주민재등록사업
1967-1970.6
3계층 51개 부류 구분사업
1980.4-1980.10
외국귀화인 및 월북자에 대한 요해사업 (13개의 부류 추가)
1981.1-1981.4
북송교포에 대한 요해사업
한국전쟁 이후 북한은 한국전쟁과 관련하여 전쟁가담 정도와 성격, 피해자, 월남자 등 구체적인 성 표1- 김광수외 <북한의 이해>
분분류 작업을 실시하였다. 전쟁과정에서 전사자나 피살 혹은 학살된 가족을 파악하여 체제의 핵심세력으로 동원하고 표2-북한의 계층 <해피캠퍼스>
, 체제반동분자로서 월남자 가족을 분류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0.30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10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